||<-2> '''{{{#fff {{{+1 모래꽃동멸}}}[br]Synodus fuscus}}}'''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모래꽃동멸.jpg|width=100%]]}}} || || [[학명|{{{#000 '''학명'''}}}]] || ''' ''Synodus fuscus'' '''[br]S. Tanaka (I), 1917 || ||<-2> {{{#000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척삭동물문]](Chordata) ||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조기어강]](Actinopterygii) ||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홍메치목(Aulopiformes) ||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매퉁이과(Synodontidae) ||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꽃동멸속(''Synodus'') || ||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모래꽃동멸(''S. fuscus'')''' || [목차] [clearfix] == 개요 == 홍메치목 매퉁이과에 속하는 물고기의 일종. == 상세 == [[대한민국]]에서는 [[제주도]]에서 모래꽃동멸 1개체가 최초로 발견되었다. 이에 최윤 학자가 이 물고기의 국명을 모래꽃동멸로 명명했다. 모래꽃동멸은 측선 윗쪽 비늘 수가 3~4개, 아래쪽 비늘 수는 5개란 특징을 가져 [[꽃동멸속]]의 다른 [[생물 분류 단계#s-2.8|종]]과 구분된다.[* 최윤, (2012). [[http://academic.naver.com/openUrl.nhn?doc_id=57106889&linkType=doclink|“한국산 꽃동멸속 어류 1 미기록종, ''Synodus fuscus'' Tanaka”]]. 《한국어류학회지》 '''24''' (4), pp.311-313.] [[분류:꽃동멸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