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 {{{+1 모래무지}}}(두루치, 모래마자, 모래무치)[br]鯊 | Goby minnow}}}'''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모래무지.jpg|width=100%]]}}} || || [[학명|{{{#000 '''학명'''}}}]] || ''' ''Pseudogobio esocinus'' '''[br]Temminck & Schlegel, 1846 || ||<-2> {{{#000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척삭동물문]](Chordata) ||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조기어강]](Actinopterygii) ||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잉어목(Cypriniformes) ||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잉어과(Cyprinidae) ||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모래무지속(''Pseudogobio'') || ||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모래무지(''P. esocinus'')''' || [[파일:모래무지1.jpg|width=450]] [목차] == 개요 == [[잉어]]목 잉어과의 민물고기로 한국, 중국, 일본 등의 [[동아시아]]에 서식한다. 모래무치, 모래마자라고도 하며, 18세기 말 [[조선]]의 백과사전인 《[[재물보]]》에는 '사어(鯊魚)', '취사어(吹沙魚)', '사온(沙鰮)', '아랑어(阿浪魚)'라고도 부른다고 되어 있다. == 상세 == 몸길이는 10~20 cm이지만 25 cm까지 자라기도 한다. 몸빛은 은백색이고 배는 흰색, 등은 진한 갈색이다. 검은 반점이 몸통 옆면에는 6~7개, 등에는 여러 개 있어 모래와 비슷한 보호색을 띤다. 몸은 길고 원통형이며 뒤쪽으로 갈수록 가늘어진다. 머리와 주둥이는 길고 입은 아래쪽에 있으며, 입 주변에는 수염 한 쌍이 있다. 강의 모래바닥에 서식하며, 수생곤충이나 작은 동물을 잡아먹는다. 먹이를 먹을 때에는 바닥에 있는 모래와 함께 삼킨 뒤 아가미구멍으로 모래를 내보낸다. 산란기는 5~6월이며 모래나 자갈바닥에 알을 낳는다. 수질오염 민감도는 일반적인 인식과 달리 중간 정도이고, 꼭 깨끗한 물이 아니더라도 모래바닥이 적절한 환경이라면 서식할 수 있다. 모래나 작은 돌의 유기물을 걸러 먹기 때문에 물의 정화작용을 돕는 역할도 한다. 맛이 좋아 소금구이, 조림, 매운탕 등으로 만들어 먹는다. [[비파(어류)|비파]]를 비롯한 [[플레코]]류와 상당히 비슷하게 생겼지만 플레코는 메기목이고 모래무지는 잉어목으로 목 단위에서 다른 어종이라 비슷하게 생긴건 [[수렴 진화|단순 우연일 뿐]]이다. 또한 모래무지는 플레코처럼 입으로 벽에 붙지 못하며 항상 바닥에서만 생활한다. [[분류:모래무지속]][[분류:생선]][[분류:담수관상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