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관련 문서, top1=모리야스 재팬)] [include(틀:아시아축구연맹 소속 국가대표팀 감독)]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E2136 0%, #263164 30%, #263164 70%, #1E2136)" {{{#ffffff '''모리야스 하지메의 역임 직책'''}}}}}} || || {{{#!folding ▼ ---- ||<-4> {{{#333333,#cccccc '''둘러보기 틀 모음'''}}} || ||<-4> {{{#333333,#cccccc '''대표팀'''}}} || || [[틀: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파일: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263164; font-size: 0.9em" [[틀: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ffffff '''일본'''}}}]]}}}[br]{{{-2 36대}}} || || || || ||<-4> {{{#333333,#cccccc '''클럽'''}}} || || || || || || }}}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E2136 0%, #263164 30%, #263164 70%, #1E2136)" {{{+1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ffffff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 ||<-3> {{{#cb1e40 '''サッカー日本代表'''}}}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모리야스 1.jpg|width=100%]]}}} || ||<-2> {{{#ffffff '''이름''' }}} || '''{{{+1 모리야스 하지메}}}[br][ruby(森保 一, ruby=もりやす はじめ)]|Hajime Moriyasu''' || ||<|2><-2> {{{#ffffff '''출생''' }}} ||[[1968년]] [[8월 23일]] ([age(1968-08-23)]세) || ||[[시즈오카현]] [[카케가와시]][* 성장은 [[나가사키현]] [[나가사키시]]에서 했다.] || ||<-2> {{{#ffffff '''국적'''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 ||<-2> {{{#ffffff '''신체''' }}} ||174cm, 68kg || ||<-2> {{{#ffffff '''주발''' }}} ||오른발[* 왼발을 활용한 패스도 능했다.] || ||<-2> {{{#ffffff '''직업''' }}} ||[[축구 선수]] ([[수비형 미드필더]], [[센터백]] / ^^은퇴^^)[br][[축구 감독]] || ||<|3> {{{#ffffff '''소속''' }}} || {{{#ffffff '''선수''' }}} ||'''[[산프레체 히로시마]] (1987~2001)'''[br]→ {{{-1 [[교토 퍼플 상가]] (1998 / ^^임대^^)}}}[br][[베갈타 센다이]] (2002~2003) || || {{{#ffffff '''코치''' }}} ||[[산프레체 히로시마]] (2004~2009)[br][[알비렉스 니가타]] (2010~2011)[br][[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일본 대표팀]] (2018) || || {{{#ffffff '''감독''' }}}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일본 U-18 대표팀]] (2005)[br][[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일본 U-20 대표팀]] (2005~2007)[br]'''[[산프레체 히로시마]] (2012~2017)'''[br][[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일본 U-23 대표팀]] (2017~2021)[br]'''[[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일본 대표팀]] (2018~ )''' || ||<-2> {{{#ffffff '''국가대표''' }}} ||35경기 1골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일본]] / 1992~1996)^^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5px" {{{#!folding 정보 더 보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2> '''{{{#ffffff 역대 등번호}}}'''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일본 대표팀]] - '''6, 17'''[br][[산프레체 히로시마]] - '''7''', 12, 14, 27[br][[교토 퍼플 상가]] - '''7'''[br][[베갈타 센다이]] - '''27''' || ||<-2> '''{{{#ffffff 학력}}}''' ||나가사키 시립 후카호리 초등학교[br]나가사키 시립 후카호리 중학교[br][[나가사키대학]] 부속 고등학교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의 [[축구 선수]] 출신 [[축구 감독|감독]]. [[2018년]]부터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을 맡고 있다. == 상세 == 현역 시절 [[산프레체 히로시마]]의 간판 스타로 활약했고, 감독으로서 친정팀을 [[J리그]]에서 3번 우승시켰다. 이후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일본 올림픽 대표팀]]을 이끌어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축구|남자축구]] 은메달과 [[2019 AFC 아시안컵]] 준우승, [[2020 도쿄 올림픽]]에서 4위, 2022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우승을 차지했다.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에선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을 이끌어 우승 후보인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독일]]과 [[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스페인]]에게 모두 2:1 역전승을 거둬 E조 1위로 16강 진출에 성공시키는 대이변을 일으켰다. 16강전에서 [[크로아티아 축구 국가대표팀|크로아티아]]에게 승부차기 끝에 패하여 8강 진출은 실패했으나 전임인 [[니시노 아키라]]에 이어 월드컵 16강 진출을 성공시켜 일본은 아시아 역사상 최초로 월드컵 두 대회 연속 16강에 진출하는 기록을 세웠다. == 선수 경력 == === 클럽 경력 === [[1987년]]에 [[산프레체 히로시마]]의 전신인 실업 축구단 '마츠다 축구 클럽'에 입단해 본격적으로 선수 경력을 시작했다. 실업 구단 입단 당시에는 기대를 받지 못했던 무명 선수였기에 위성 구단인 '마츠다SC동양'에서 뛰었고 하부 구단에서 어느정도 실력을 인정받은 후 1991년 정식으로 프로 계약을 맺게 된다. 1993년 [[J리그]]가 개막하며 개편한 [[산프레체 히로시마]]의 원년 멤버가 됐다. 프로에서는 주로 [[수비형 미드필더|볼란치]]와 [[센터백|리베로]] 위치를 맡았고 1994년 시리즈 우승에 기여했다. [[파일:MoriyasuHajime_Hirosima_player.png]] 1997년말 모회사의 경영 악화가 극심해져 히로시마 구단도 주력 선수를 팔아야만 하는 상황에 쳐해졌고 모리야스도 그런 매각 대상에 포함됐지만 당시 히로시마 서포터들이 서명운동까지 벌여가며 모리야스의 완전 이적을 적극 반대하며 나선 결과, 간신히 [[교토 퍼플 상가]]로의 임대 이적을 가게 됐다. 1999년 다시 히로시마로 복귀했지만 이때부터 이미 팀의 주력에선 멀어져 있었고 부상까지 겹치며 점점 출전 기회가 줄어들었다. 2002년 히로시마 구단은 모리야스에게 현역 은퇴 후 코치직 전환을 권유했지만 본인이 선수 생활 지속 의지를 표명하여 [[베갈타 센다이]]로 이적하게 된다. 이적한 센다이에서는 주력 멤버로 경기 출장 횟수는 늘었지만 팀의 성적은 바닥을 쳐 2003년 J2리그로 강등 당했고 본인도 팀에서 방출 당해 2004년 1월 정식으로 현역 은퇴를 선언했다. === 국가대표 경력 === [[파일:moriyasu_JFA_player.jpg|width=500]] 1992년 4월, 처음으로 성인 대표팀에 선발됐는데, 당시 워낙 무명의 선수였던지라 대표팀 동료들이 이름조차 제대로 읽지 못했다는 에피소드[* 一이라고 쓰고 [[하지메]]라고 읽는 독법은 듣고 나면 이해는 가지만 처음부터 떠올리기 쉬운 이름은 아니다. 이 때문에 반면 모리라는 성은 비교적 흔하기 때문에 森가 성, 保一이 이름이라고 잘못 읽기 쉽다. 기타 문단 참고.]가 있다. 같은 해, 5월 도쿄 [[국립 카스미가오카 육상 경기장]]에서 열린 [[아르헨티나]]와의 친선 경기에서 선발로 출전하여 데뷔전을 가졌다. 이 경기에서 좋은 폼을 보여주면서 본인의 이름과 본인의 역할인 '볼란치'를 세간에 알리는 계기가 됐다. 이후 [[1992 AFC 아시안컵 일본]]에도 출전하여 자국의 아시안컵 첫 우승을 이끌기도 하였고, [[1993년]]에는 [[1994 FIFA 월드컵 미국|1994년 미국 월드컵]] 최종예선에 [[https://sports.news.naver.com/news?oid=421&aid=0005585822|출전하였고,]] [[도하의 기적|도하의 비극]]을 직접 현장에서 [[https://youtu.be/6Cw0L8FBtR0?t=276|경험하기도 했다.]] (4분 35초부터 인터뷰를 하는 모습이 나온다.) [[1996년]] [[2월 10일]] [[호주 축구 국가대표팀|호주]]전에서 대표팀에서의 첫 득점을 기록했으나 이후 대표팀 경쟁에서 밀리면서 소집이 되지 않으면서 그대로 처음이자 마지막 골이 되어버렸다. == 지도자 경력 == === 일본 대표팀 이전 === 2004년 본인이 몸담았던 [[산프레체 히로시마]]의 전력 강화팀 코치로 지도자 커리어를 시작했고 같은 해에 JFA S급 코치 라이선스[* 일본축구협회가 공인하는 최상급 지도자 자격으로 취득하게 되면 J리그 및 각급 국가대표 감독을 맡을 수 있다.]를 취득했다. 2005년 2월 요시다 야스시 감독 휘하에서 일본 U19 국가대표팀 코치를 겸임했고 2006년 11월 AFC U19 챔피언쉽에서 U19 대표팀 코치로 준우승, [[2007년 FIFA U-20 월드컵]]에도 코치로 참가했다. 2007년 9월부터 미하일로 페트로비치 감독이 이끄는 산프레체 히로시마의 1군팀 코치로 취임했다. 2010년부터 [[알비렉스 니가타]]에 수석 코치로 취임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JL12498_452.jpg|width=100%]]}}} || || '''{{{#000,#e5e5e5 부임 첫해에 리그 우승을 달성한 2012 시즌 우승 세레모니}}}''' || 2011년말 히로시마 구단이 재정 악화로 페트로비치 감독과의 재계약에 난항을 격었고, 차기 감독으로 구단 OB를 활용하기로 하여 히로시마 구단 OB 출신 중에서는 최초로 모리야스가 차기 1군 감독으로 취임하게 된다. 2012 시즌 일본인 J리거 출신 감독으로는 최초로 J1리그 우승을 달성했고 2013 시즌 2년 연속 리그 우승을 달성하며 J리그 최우수 감독상을 수상했다. 2014 시즌에는 리그 8위에 그쳤지만 2015 시즌에 다시 리그 우승을 차지하면서 4년 동안 리그 우승만 세번 하는, 초보 감독으로는 괄목할만한 성과를 거두었다. 특히 2015 시즌 개최국 리그 우승팀 자격으로 클럽월드컵에 진출해서 4강까지 진출했고 3/4위전에서 스콜라리의 광저우에 승리하며 3위를 기록했다. 이후 2017 시즌 팀 성적이 강등권까지 추락하면서 시즌 도중 성적부진을 이유로 사임했다. 당시 산프레체 부임 당시 K리그팀들과 AFC챔피언스리그에서의 주요 경기들이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ApHWGcIFBik)]}}} || || {{{#000000 2013년 산프레체 0:1 포항[* [[https://www.transfermarkt.com/spielbericht/index/spielbericht/2294333|당시 경기 라인업 자료]]]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Q7dSUvXMwM8)]}}} || || {{{#000000 2016년 FC서울 4:1 산프레체[* 그리고 2016 ACL 우승은 전북이 우승했다.] }}} || === [[모리야스 재팬|일본 대표팀]]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fp_en_b9752053493b09361d761c344df22a98b373a185.jpg|width=100%]]}}}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모리야스 재팬)] == 기록 == === 선수 === ==== 대회 기록 ==== *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1992~1996) * [[AFC 아시안컵]]: 1992 === 감독 === ==== 대회 기록 ==== * [[산프레체 히로시마]] (2012~2017) * [[J1리그]]: 2012, 2013, 2015 * [[후지 제록스 슈퍼컵]]: 2013, 2014, 2016 *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일본 U-23 축구 국가대표팀]] (2017~2021) * [[아시안 게임]] 은메달: 2018 *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2018~ ) * [[AFC 아시안컵]] 준우승: 2019 * [[EAFF E-1 풋볼 챔피언십]]: 2022 ==== 개인 수상 ==== * [[J리그]] 올해의 감독: 2012, 2013, 2015 * [[AFC]] 올해의 감독: 2022 == 논란 ==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2022 카타르 월드컵]] 16강전 승부차기 당시 [[미나미노 타쿠미]]가 하지메 감독이 본인의 결정이 아닌 선수로부터 승부차기 키커 자원을 받았다는 사실을 폭로해 충격을 주었고, 일본의 8강 진출 실패의 원인으로 모리야스의 키커 선정 방식이 지적돼 논란이 일고 있다. 미나미노의 주장에 따르면 모리야스는 2020년 도쿄올림픽 8강 뉴질랜드전 때부터 승부차기 키커 순서 결정을 선수들에게 맡기는 입후보제를 채택했다고 하며, 당시 모리야스가 선수들에게 자원을 받을지 몰랐고, 미나미노는 자신감이 있었기에 첫 번째 아니면 다섯 번째에 차고 싶었는데, 정작 선수들이 모두 눈치를 보며 5초 동안 아무도 손을 들지 않아 결국 미나미노가 1번 키커가 됐다고 한다. 일각에서는 이러한 방식이 선수들에게 가해지는 심리적 압박감을 가중시킬 수 있다는 지적인데, 먼저 차겠다고 나선 선수가 실축할 경우 그 비판이 한층 커진다는 것이며, 결과적으로 일본은 심리적 압박감을 이겨내지 못했고 대거 실축했다고 주장한다.[[http://m.stoo.com/article.php?aid=84212139187|#]] 원래 이런 승부차기는 감독과 코칭스태프에서 논의해서 결정하기 마련이데 당시 일본 대표팀 측은 승부차기 직전까지도 명단을 제출하지 않았고, 뒤늦게 감독은 누가 차겠느냐고 선수들에게 지원을 요구하고 나섰다고 한다. 사실상 승부차기에 대해 전혀 대비나 준비를 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여지는데, 그만큼 정규시간이나 연장전에서 크로아티아를 이길 수 있다고 판단한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결론적으로 크로아티아는 러시아 월드컵에서도 연이은 연장전과 승부차기를 거치며 결승까지 올라간 근성의 팀이었기 때문이었고, 일본은 월드컵에서 승부차기를 12년 전 남아공 월드컵 때 딱 한번 해본게 전부인 팀이었는데, 연이은 강팀과의 승리로 조 1위로 16강에 진출한 탓에 너무 방심한 나머지 크로아티아를 너무 얕잡아본거 아니냐는 비판도 존재한다. 결론은 '''모리야스 특유의 강강약약'''이 논란의 근본 원인인 셈이었다. == 여담 == * 팬들에게 불리는 애칭은 '''포이치.''' 유래는 고교시절 본인의 이름인 '森保 一'(모리야스 하지메)를 동급생들이 '森 保一'(모리 포이치)로 잘못 띄워 읽어서 생긴 별명이라고 한다. * 본인 슬하에 아들이 셋 있으며 모두 축구를 하고 있으나 프로에서 큰 두각을 드러내진 못했고 하부리그에서 뛰고 있다. * 전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을 맡았던 [[고쿠보 히로키]]와 비슷한 행보를 보여준다. 먼저 모리야스 하지메가 이끄는 축구 국가대표팀은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과 [[2019 AFC 아시안컵 아랍에미리트]]와 [[2019 EAFF E-1 풋볼 챔피언십]]에서도 연달아 [[2등|2위]]를 기록하고, ~~[[콩라인]]~~ 고쿠보 히로키가 이끄는 일본은 [[2015 WBSC 프리미어 12]]와 [[2017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에서 연달아 [[3등|3위]]를 기록했다. 게다가 [[2015 WBSC 프리미어 12/결선 토너먼트/준결승 2경기|대참사]]를 당하고 [[멕시코 야구 국가대표팀|멕시코]]와 [[2015 WBSC 프리미어 12/결선 토너먼트#s-3.3|3·4위전]]에서 홈런 5방을 포함해 11점으로 대거 난타하면서 [[콜드게임|콜드승]]을 거두었는데도 그에 대한 경질설이 연일 불거지게 되었고, 모리야스 하지메가 이끄는 일본 U-21팀이 [[2020 AFC U-23 챔피언십 태국]]에서 조별리그 꼴찌로 탈락하는 변수를 보여주면서 경질설과 해임설 등이 많았다. 게다가 얼추 비슷한걸 또 뽑자면, 모리야스 하지메가 이끄는 일본축구는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축구/남자 8강~결승#s-5|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결승 한일전]]과 [[2019 EAFF E-1 풋볼 챔피언십#s-6.3.2|2019 EAFF E-1 풋볼 챔피언십 결승 한일전]]에서 패해 2위에 머물고, 고쿠보 히로키가 이끄는 일본야구는 [[2015 WBSC 프리미어 12/결선 토너먼트/준결승 2경기|2015 WBSC 프리미어 12 준결승 한일전]]에서 패해 [[3위 결정전|3·4위전]]에 대승을 거둬 3위에 머물며 양쪽 감독 모두 [[한일전]]에 진 감독이 되었다. 그래도 고쿠보는 [[2015 WBSC 프리미어 12/조별 리그/B조#s-3.1|개막전 조별리그 한일전]]에서 5:0으로 완봉승하고 모리야스는 [[벤투호/2021년#s-2.2|2021년 한일전]]에서 대다수 주전이 빠진 한국을 3:0으로 이겨서 두 감독 역시 한일전에 이긴 전적이 있게됐다. 또한 [[2022 EAFF E-1 풋볼 챔피언십|2022년 동아시안컵]] [[2022 EAFF E-1 풋볼 챔피언십#s-4.3.2|한일전에서 한국을 3:0으로 완파하고]] 대회 [[1등|우승]]을 차지하면서 콩라인을 벗어나게 되었다. 게다가 [[모리야스 재팬]]은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카타르 월드컵]]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E조|조별리그]]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E조/독일 vs 일본|첫경기에서부터 세계적인 강호인 독일을 잡고,]]'''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E조#s-7|코스타리카전에서는 패배했지만]]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E조/일본 vs 스페인|또 다른 최강팀 스페인을 잡아내면서]]''' '''조별리그 1위를 차지하고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16강|16강]]에 진출하는 어마어마한 이변을 일으켰다.'''[* 그리고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16강#s-8|크로아티아와의 16강전에서 승부차기까지 가는 접전을 보여줬고 아깝게 패배해 탈락(9등)했다.]]] 그 후, 모리야스 하지메 감독은 월드컵 대회 종료 후 [[2026 FIFA 월드컵|2026 FIFA 월드컵]]까지 재계약을 했다. [[https://naver.me/5WBUVsCJ|#]] 결정적으로 위의 고쿠보 히로키와는 달리 모리야스 하지메가 확연하게 더 나은 성적을 받았다고 볼 수 있다. * 대한민국 축구인 중에서 일본 생활 경험이 있는 [[최용수]]와 친분이 두터운 편이라고 한다. 선수 시절에는 J리그에서 서로 다른 팀 소속으로 같이 뛴 적이 있고[* 모리야스의 현역 말년 시절이던 2001년 최용수가 일본으로 넘어갔다. 모리야스는 2003년에 클럽팀 생활을 정리했고 최용수는 2006년 친정팀 [[FC 서울]]로 돌아간다. 두 사람 모두 J리그에서는 레전드 플레이어로 꼽히는 인물이다.] 지도자 생활을 하면서도 친분이 이어졌는데 특히 위에 나온데로 2016년에는 [[AFC 챔피언스 리그/2016년|아시아 챔피언스리그]] 본선 32강 F조에서 FC 서울 감독과 산프레체 히로시마 감독으로 맞붙은 적도 있다.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때는 일본 대표팀 감독과 TV 해설위원으로 만나서 [[https://youtu.be/l4eH6NEfRmU|결승전 직전에 경기장에서 담소를 나누기도 했다.]] * 경기를 이기고 있건, 지고 있건 간에 표정변화가 거의 없는 [[포커페이스]]로 유명하며, 경기 내내 항상 수첩에 무언가를 적는 습관을 가지고 있다. 또한, 프레스 인터뷰도 지나칠 정도로 낙관적으로 하는 경우가 많아 현실과 동떨어진 생각을 한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이 때문에 결과가 좋지 않다면 [[명장병]] 걸린 감독이라고 까이는 상황이 자주 발생했는데, 도리어 결과가 좋을 경우에는 역으로 크게 재평가를 받을 정도로 '''[[명장]]'''과 '''명장병''' 사이에서 외줄타기를 하는 셈이다. 이 때문에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일본 내에서도 평가가 극과 극을 달리던 인물이었으나 2022 카타르 월드컵에서 신묘한 전술과 용병술로 최강의 강호라 여겨지던 팀을 잡아내고 E조를 [[죽음의 조/축구|죽음의 조]]로 만든 뒤 상대적으로 보통인 팀에게 져서 위태위태해진 상황에서 막판에 결국 또 다른 최강팀을 잡아내서 비판여론을 잠재우고 명장이라 불리게 되었다. [[블루 록]]을 비롯한 [[https://www.fmkorea.com/search.php?mid=humor&document_srl=5271738389&search_keyword=45%EB%B6%84&search_target=title_content&page=1|각종 애니메이션에 빗대어 가지각색의 무수한 찬양들이 가득한 스페인전 전반 종료 후 감독이 찍힌 장면]] [[https://www.fmkorea.com/search.php?mid=best&sort_index=pop&listStyle=webzine&document_srl=5271660955&search_keyword=%EB%AA%A8%EB%A6%AC%EC%95%BC%EC%8A%A4&search_target=title_content&page=1|또 다른 예시.]] 하지만 아쉽게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16강|16강]]인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16강#s-8|크로아티아전]]에서는 승부차기 대책을 하나도 세우지 않고 자원으로 선수를 내세웠다는 인터뷰가 나와 평가가 조금 깎이게 되었다.[* 다만 크로아티아는 2018 러시아 월드컵에서 16강, 8강 또한 2022 카타르 월드컵에서도 16강, 8강을 연장전과 승부차기로 승리하였을 만큼 토너먼트에서의 연장승부에 극강인 국가이다. 반면 일본은 월드컵과 같은 큰 경기에서의 토너먼트와 승부차기 경험이 적은 국가였던 만큼 전후반 정규시간 내에 승부를 보지 않으면 상성상 불리할 수밖에 없었고 실제 경기 양상도 정규시간에 주요 공격수를 전부 투입하여 승부를 보려는 전술을 구사했다. 이후의 이야기이지만 8강전에서 크로아티아는 브라질마저 연장전-승부차기로 꺾어버리고 4강에 진출할 정도로 토너먼트에서의 장기전에 강한 면모를 보였기에 일본 입장에서는 선방했다고 볼 수 있는 셈.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승부차기 키커를 선정할 때 큰 무대 경험과 같은 특별한 기준 없이 차고 싶은 사람이 키커로 선정되는 무책임한 방식에 대해서는 변명의 여지가 없다.] * 2022년 월드컵에서 [[모리야스 재팬|일본 축구 대표팀이 만든 파란의 선봉에 서서 선수들보다 더 주목받는 최고의 스타 감독이 되었다.]] 고정된 주전 선수가 없는 축구, 수비만 하고 밀리는 듯하다가 결정적일때 스피드스터 교체투입으로 갑자기 빠른 공격에 동원하는 방식을 보이며 전후반을 완전히 다른 형태로 운영하여 상대 리듬과 호흡의 틈을 만들어 적은 패스로 한번에 상대 골대앞까지 깊게 침투하여 득점을 성공시키는 혁신적 방식으로 독일과 스페인을 모두 이기는 이변을 일으켰기 때문이다. 아르헨티나를 이긴 사우디아라비아와 벨기에를 이긴 모로코[* 모로코는 이후 16강에서 스페인을 승부차기로 꺾고 8강에 진출, 포르투갈을 꺾고 4강에 진출하는 '''더욱 강력한 파란을 일으켰다.'''], 포르투갈을 이기며 우루과이도 제친 대한민국과 함께 카타르 월드컵의 대표적인 이변으로 뽑히게 된 것이다. * [[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2023 WBC]] 시구자로 마운드에 올랐다.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카타르 월드컵]]에서의 열정이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WBC]]에도 이어지는 의미 있는 시구가 됐으면 좋겠다고 했다.[* 또한 [[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본선 1라운드/B조|조별리그]] [[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본선 1라운드/B조#s-4.2|중국전]]에서 [[시구(야구)|시구]]를 했다. [[https://naver.me/5QGVjCJA|#]]] [[https://naver.me/xejGKRgY|#]] '''[[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결승|그리고 정말로 일본이 우승했다.]]''' [[https://naver.me/x7ruBEHF|#]] 또 [[2026 FIFA 월드컵|2026 월드컵]] 목표를 우승으로 삼았다. [[https://naver.me/xZOBTNZH|#]] * 우수한 역량을 가지고 있는 감독이라 평가받는 모리야스지만 감독 커리어를 통틀어서 토너먼트 대회 우승 경험이 단 한 번도 없다. 정확히는 토너먼트에 약한 감독은 아니지만 '''결승만 올라가면 패배하는 준우승 징크스'''가 심한데, 히로시마 감독 시절 천황배 준우승과 J리그컵 준우승, 일본 U-23 감독 시절 아시안게임 은메달, 일본 A대표팀 감독 시절 아시안컵 준우승을 경험했다.[* 이 때문에 [[2023 AFC 아시안컵 카타르]]에서 일본의 우승을 확신하지 못하는 시선도 일부 존재한다. 우승후보 1순위로 평가받는 일본이지만 2019년에 열린 지난 아시안컵에서 모리야스 지휘 하에 이전까지 이어져오던 결승전 전승 행진이 깨졌고 토너먼트 대회에서는 감독이 이끌어내는 우승에 대한 위닝 멘탈리티도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이다.] == 둘러보기 == [include(틀:2019 AFC 아시안컵 아랍에미리트 참가 감독)] [include(틀: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참가 감독)] [include(틀: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명단(2022 카타르 월드컵))] [include(틀:2023 AFC 아시안컵 카타르 참가 감독)] [[분류:모리야스 하지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