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The Velvet Underground Discography)] ||<-2> '''{{{+1 모린 터커}}}[br]Maureen Tuck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8d3d4dc41e9563b17fac1f6bbcfb7c1be2bcbce0.jfif.jpg|width=100%]]}}} || || '''본명''' ||Maureen Ann Tucker[br]{{{-1 모린 앤 터커}}}|| || '''이명''' ||Moe Tucker[br]{{{-1 모 터커}}}|| ||<|2> '''출생''' ||[[1944년]] [[8월 26일]] {{{-1 ([age(1944-08-26)]세)}}}|| ||[[미국]] [[뉴욕 주]] [[뉴욕 시]] [[퀸스]] 잭슨하이츠|| || '''직업''' ||[[음악가]], [[싱어송라이터]]|| || '''악기''' ||[[드럼]], [[타악기]], [[보컬리스트|보컬]], [[기타]], [[베이스]]|| || '''데뷔''' ||1967년 [[벨벳 언더그라운드]] 앨범 '[[The Velvet Underground & Nico]]'|| || '''종교''' ||[[가톨릭]]||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뮤지션. == 생애 == === 출생 ~ [[벨벳 언더그라운드]] === 1944년 8월 26일 뉴욕 [[퀸즈]]에서 태어났다. 라디오를 통해 음악을 듣다 바바툰데 올라툰지(Babatunde Olatunji), [[롤링 스톤스]], [[보 디들리]]의 음악에 심취해 10대 시절부터 드럼 연주를 시작했다. 정형화된 음악 교육을 배운 적 없이 독학으로 드럼을 배운 터커는 대학을 중퇴한 이후 1965년 [[IBM]]에서 근무하다 오빠의 친구인 [[스털링 모리슨]]으로부터 밴드 [[벨벳 언더그라운드]]의 제의를 받았다. 원래 드러머였던 앵거스 맥라이스(Angus MacLise)가 탈퇴하여 빈 자리가 생긴 것. 이후 모린 터커는 1970년까지 벨벳 언더그라운드의 드러머로 활동하였다.1970년 초반 임신으로 인해 [[Loaded]] 앨범 시기에는 잠시 탈퇴했다. === 솔로 활동 === 벨벳 활동 이후 80년대까지는 음악 활동보다는 가족과 함께 조용히 생활하다 80년대 후반부터 벨벳 언더그라운드의 재결합 투어를 비롯해 음악 활동을 재개했다. 나머지 벨벳 멤버들의 솔로 앨범에 참여하기도 했다. == 영향력 == 모린 터커의 드럼 연주는 당대 주류의 연주 방식에 편승하지 않고 자신만의 스타일을 개척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는다. 후대의 인디/얼터너티브 장르의 드러머들에게 많은 영향을 끼쳤다. [* 특히 인디/얼터너티브 계열 여성 드러머 얘기가 나오면 이 사람이 반드시 언급된다. [[요 라 텡고]]의 조지아 허블리가 대표적,] 모린은 드럼 키트를 독특하게 편성한 채로 연주했는데, 기본적으로 앉아서 연주하지 않고 서서 연주하기 위해 베이스 드럼을 눕힌 다음 스탠드에 거치해놓았다. [[앤디 워홀]]의 스튜디오에서 장기간 잼 세션을 가졌을 때 고안된 세팅이라고. 심벌즈는 드러머의 역할에서 불필요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거의 사용하지 않았으며 그 덕분에 미니멀하면서 독특한 사운드가 나왔다. [[Heroin]]같은 곡에서 그런 사운드가 극대화되는데, 미니멀한 연주가 점차 극대화되며 드럼스틱 대신 [[망치]]를 떨어트려 소리를 내기도 한다. 그러나 벨벳 팬들에게는 실력 및 공과는 별개로 사적으로 그리 좋지 못한 평가를 받는 인물인데, [[티 파티]] 열성 회원일 정도로 극우 인사가 돼 버려서 그렇다. [[분류:미국의 드러머]][[분류:미국의 기타리스트]][[분류:미국의 베이시스트]][[분류:미국의 싱어송라이터]][[분류:벨벳 언더그라운드 멤버]][[분류:1944년 출생]][[분류:1967년 데뷔]][[분류:퀸스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