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헤드폰]][[분류:젠하이저]][[분류:무선 이어폰]] [목차] == 개요 == [[https://ko-kr.sennheiser.com/momentumtruewireless-2|공식 소개 페이지]] [[젠하이저]]에서 처음 제작한 [[무선 이어폰|완전 무선형 이어폰]] [[모멘텀 트루 와이어리스]]의 후속작. 2019년 10월경 젠하이저 모멘텀 트루 와이어리스 2라는 이름으로 FCC 인증이 등록되었으며, 한국의 블루투스 전파인증도 M3IETW2 모델명으로 2019년 10월 28일 완료되었다. [[https://fccid.io/DMOM3IETW2R|FCC 인증 관련 참고링크]] [[https://rra.go.kr/ko/license/A_b_popup.do?app_no=201917210000271351|대한민국 전파인증 참고 링크]] 2020년 3월 중순부터 예약주문을 받기 시작했으며 4월 1일에 한국에 정식 출시됐다. 가격은 전작 대비 동일한 399,000원이라고 한다. [[https://www.theverge.com/2020/3/13/21176874/sennheiser-true-momentum-true-wireless-2-release-date-news-features-specs-battery-life|The Verge의 참고 기사]] == 사양 == ||<-2> {{{#ffffff '''종류'''}}} || 폐쇄형 || 다이나믹 || ||<-2> {{{#ffffff '''드라이버'''}}} ||<-2> 7mm 다이나믹 드라이버 || ||<-2> {{{#ffffff '''무게'''}}} ||<-2> 6g (이어버드)[br]58g(충전 케이스)[br]70g(이어버드 + 충전 케이스) || ||<-4> {{{#ffffff {{{#ffffff '''무선'''}}}}}} || ||<-2> {{{#ffffff '''통신 방식'''}}} ||<-2> Bluetooth®5.1 || ||<-2> {{{#ffffff '''최대 통신 거리'''}}} ||<-2> 10m (환경에 따라 상이할 수 있음.) || ||<-2> {{{#ffffff '''사용 주파수 대역'''}}} ||<-2> 2.4 GHz 대역 (2.4 - 2.4835 GHz) || ||<-2> {{{#ffffff '''블루투스 프로파일'''}}} ||<-2> A2DP [br] AVRCP [br] HSP [br] HFP || ||<-2> {{{#ffffff '''지원 코덱'''}}} ||<-2> SBC[br]AAC[br]aptX || ||<-2> {{{#ffffff '''전송 대역(A2DP 기준)'''}}} ||<-2> 20 - 20,000 Hz (44.1 ㎑) || ||<-4> {{{#ffffff '''전원'''}}} || ||<-2><|2> {{{#ffffff '''전원'''}}} ||<-2> 충전식 내장 리튬 이온 배터리 || ||<-2> DC 5V 650mA || ||<-2> {{{#ffffff '''사용 가능 시간'''}}} || '''블루투스 사용 시''' || 음악 재생 시간 : 최대 7시간[br]* 충전 케이스로 최대 28시간까지 재생 시간 연장 || ||<-2> {{{#ffffff '''충전 시간'''}}} ||<-2> 약 90분 || == 특징 == 퀄컴 QCC5121칩셋을 탑재했다. 이 칩셋을 통해 [[노이즈 캔슬링|액티브 노이즈 캔슬링]]이 가능하며, [[aptX]] 오디오 코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어버드 단독 7시간 음악 재생, 케이스 충전을 통해 약 28시간 정도까지 사용 가능하다. 유닛은 약 2mm 정도로 크기가 소폭 작아졌으며 블루투스 5.1을 지원하고 IPX4의 방수등급을 갖추었다. 회색 단일 색상이었던 전작과 달리 검은색과 흰색으로 색상이 이원화되었다. 힌지 크기가 작아 여러 번 여닫으면 쉽게 고장이 난다는 전작에서의 불만을 수용해 힌지 크기가 2배가량 커지고 보강되었다. 액티브 노이즈 캔슬링 성능은 기대 이하라고 한다. 외부 소음을 잘 차폐하도록 설계하여 패시브 노이즈 캔슬링이 뛰어나지만, 액티브 노이즈 캔슬링에 Feed-back마이크를 추가 사용하는 [[에어팟 프로]]나 [[WF-1000XM3]] 보다 못한 성능, 측정치를 보이고 있다.[* 젠하이저 측에서는 음질을 위해서 노이즈 캔슬링 성능을 타협했다고 설명한다. 외부 소음 파형과 '''반대되는 소리를 재생'''해 소음을 억제하는 노이즈 캔슬링 특성상 강도가 강해질수록 3~5kHz 부근의 화이트 노이즈가 발생한다. 화이트 노이즈가 소비자의 몰입에 방해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 젠하이저 입장이다.][* 차음력이 뛰어나 '''트랜스페어런트 히어링'''을 켜지 않으면 외부 소리가 거의 들리지 않기 때문에 노이즈 캔슬링은 보조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이해는 할 수 있다. 하지만 기호에 따라 더 강한 정도의 노이즈 캔슬링을 원하는 소비자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부족한 노이즈 캔슬링은 단점으로 꼽을 수 있다.] 4.13.0 업데이트 이후 노이즈 캔슬링을 켜고 끄는 안내음이 생겼다. 연결성 역시 1과 마찬가지로 좋지 못하다. 퀄컴 고급 칩셋을 썼지만 여전히 마스터 슬레이브 시스템을 채용해서 왼쪽 유닛은 혼자서 쓸 수도 없고[* 왼쪽 유닛을 착용한 상태에서 오른쪽 유닛을 케이스에 집어넣으면 그대로 연결이 끊긴다. --처참하다--], 연결 테스트 결과도 메이저 코드리스들에 비해 좋지 못했다. 무선 충전 역시 지원되지 않는다는 점이 단점이다. 동급 혹은 그 이상의 코드리스 이어폰들이 거의 모두 QI 인증 무선 충전을 지원하는 점을 감안하면 더더욱 체감되는 점. 음향기기 제조사가 제조한 음질 중심의 코드리스인 것을 감안해도 가격대를 고려하면 편의성 면에서 아쉬운 점이 아닐 수 없다.[* 정가 기준 '''무려 39만원'''이나 하는 이어폰인걸 고려해야 한다. 동급인 소니 [[WF-1000XM4]]와 한 체급 이상의 드비알레 제미니와 B&W PI7는 물론 MTW2 미만의 수많은 이어폰 중 대부분 역시 무선 충전을 지원한다.] 음향 성능은 큰 틀에서 전작과 비슷하다. 드라이버는 젠하이저에서 자체 개발한 7mm 다이나믹 드라이버를 사용한다. 전작에서 지적받았던 너무 부하게 올라오는 저음을 가라앉히고,[* 하지만 여전히 저음 강조 성향에 가깝다. 젠하이저의 ''''모멘텀'''' 라인업은 일반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컨슈머 라인업이다. 해당 라인업 제품들(모멘텀 헤드폰, 모멘텀 인이어)은 CX100 정도를 제외한 여타 젠하이저의 헤드폰/인이어와는 다르게 저음이 많이 강조되어 있는 편이다.] 고음을 다듬은 정도의 차이가 있다. 저음이 부담스럽지 않을 정도의 수준으로 바뀐 것은 평가가 긍정적이다. 하지만 ANC를 위해 퀄컴 칩셋을 탑재하며 성향이 바뀐 탓인지 몰라도 전작에서 들려 주었던 16k~22k 대역의 섬세함이 덜하다는 평이 있다.[[https://www.0db.co.kr/REVIEW_0DB/1267943|측정 리뷰]][* 인이어 타겟 2019 보정 그래프 및 ANC 그래프를 볼 수 있다.] 전작과 같이 해상도만큼은 코드리스 중에서 최상급이다.--젠하이저의 변태 같은 튜닝 덕분이다.-- 음질이야 개인의 기호에 따라 평가가 갈리겠지만, 대체적으로는 좋은 평가를 받는 편이다. 주무기로 삼는 저음은 단순히 양도 많을뿐더러 중~고역대를 마스킹하는 현상이 훨씬 덜하고, 엣지가 살아 있다. 마찬가지로 고음도 부족함 없이 섬세하게 잘 밀어 주는 편이다. 중음역대는 조금 덜 나오는 편이다. 모멘텀 인이어의 특성인 3k~5k의 딥 구간(스쿠프)은 곡의 장르에 따라 호불호가 갈린다.[* 악기가 많고 리듬이 복잡한 곡에서는 해상력이 높아지는 효과를 볼 수 있지만, 보컬이 주가 되는 곡은 보컬이 다소 어둡고 주위 악기에 묻히는(보컬 백킹) 현상이 발생한다.] '젠하이저 스마트 커넥트' 앱을 이용하면 EQ 조절, 버튼 매핑[* 터치 동작에 따라 원하는 기능을 마음대로 배치할 수 있다. 커스텀이 한정적인 타사의 코드리스에 비해 장점으로 꼽히고 있다.], 트랜스페어런트 히어링,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등의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 앱 자체의 퀄리티는 매우 좋은 편이나, 부가기능들이 부족한 편이기 때문에 아쉽다는 의견이 많다. 유닛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는 기기와 페어링 된 상태에서 앱을 통해 진행한다. 이때 업데이트 진행 도중에는 유닛을 케이스에 넣으면 안 된다.--뭐?-- 2022년 4월 2일 기준으로 최신 소프트웨어는 4.14.0이다. 2021년 7월 22일 소프트웨어 4.14.0으로 업데이트되었다. 큰 개선사항은 없으며, 통화품질이 향상된듯하다. EQ설정은 초창기에 틸트 EQ만 존재했으나 이후에 소비자들의 의견--원성--을 반영했는지 3밴드 EQ도 추가되었다. 보컬 백킹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면 틸트 EQ를 고음 쪽으로 살짝 올리거나 3밴드 EQ에서 중음과 고음을 1dB 정도 올리면 나아진다.[*주의사항 틸트EQ에서 3밴드 EQ로 변경 시(혹은 그 역의 경우) 모든 프리셋이 초기화되니 값을 캡처해 두거나 사운드 성향을 기억하는 편이 좋다.] 요약하자면 음질에 올인한 기함급 코드리스 이어폰이라 할 수 있다. 시중의 많은 코드리스들은 하만 타겟을 따라 튜닝하지만, 젠하이저는 그들 고유의 성향과 색깔을 지키고 있다. 연결성이나 부가기능은 부족한 게 사실이고, 이는 '''399,000원''' 이라는 정신나간 가격과 맞물려 까이고 있긴 하지만 음향 성능만큼은 인정을 받는다. [[뱅앤올룹슨]]의 E8과 같이 코드리스 계의 끝판왕--가격도 끝판왕--으로 꼽히고 있다. == 관련 문서 == * [[젠하이저]] * [[모멘텀 트루 와이어리스]] * [[모멘텀(젠하이저)|모멘텀]] * [[무선 이어폰]] * [[노이즈 캔슬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