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스포일러)] || 모블릿 베이너 소속 || || {{{#!wiki style="color: #373a3c,#ddd" {{{#!folding 보기 ---- [include(틀:조사병단/구성원 일람)] }}}}}} || ||<-3> {{{+1 '''모블릿 베이너'''}}}[br]モブリット・バーナー[br]Moblit Berner || ||<-3>{{{#!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oblit Berner.png|width=100%]]}}}|| ||<-3> '''프로필''' || || '''본명''' ||<-2>모블릿 베이너 || || '''성별''' ||<-2>[[남성]] || || '''출생''' ||<-2>[[4월 24일]] || || '''신체''' ||<-2>176cm | 65kg || || '''소속[br]직책''' ||<-2>{{{#!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458c; font-size: .9em" [[조사병단|{{{#fff '''조사병단 제4분대 부분대장'''}}}]]}}} || ||<|2> '''성우'''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1 [[니시 린타로]]}}} ||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1 [[제리 주얼]]}}}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정보 더보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거주지''' ||<-2>[[파라디 섬]] [[월 로제]] 트로스트 구 || || '''상부''' || [[파라디 섬 왕정|최상위 결정 기관]] ||? ~ 850년 || }}}}}}}}}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공식 평가 및 능력치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츳코미|태클]]''' || 두뇌전 || 협조성 || 행동력 || 격투술 || || '''10''' || 8 || 9 || 7 || 7 || }}}}}}}}} || [목차] [clearfix] == 개요 == ||<-2> '''[[진격의 거인|{{{#373a3c,#ddd 진격의 거인 원작}}}]]'''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oblit Berner Manga 850.pn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oblit Berner Manga 850-1.png|width=100%]]}}}|| [[이사야마 하지메]]의 만화 《[[진격의 거인]]》의 등장인물. == 특징 == >'''[[한지 조에|분대장님]], 물러 나십쇼!! 정말로 죽습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oblit Berner EP35.png|width=100%]]}}}|| [[조사병단]]의 일원이자, [[한지 조에]] 휘하의 분대원으로 한지를 보필하는 직속 보좌관이다. 정확한 지위는 조사병단 제4분대 부장. [[한지 조에|상관]]의 기행성(奇行性)이 워낙 상식을 초월하는 수준이라 마음고생이 이만저만이 아닌 것으로 보이며, 한지가 거인을 실험하며 위험한 짓을 할 때마다 "분대장님!", "한지 씨!", "당신 정말 죽습니다!"와 "제발 진정 좀 하십시오!" 같은 대사를 아예 입에 달고 사는 불쌍한 캐릭터다. 말 그대로 '''한지 지킴이'''나 다름없다.[* OVA "일제의 수첩"에서 이러한 면이 크게 부각된다.] 한지의 아스트랄한 기행들에 기겁하는 표정도 깨알 같은 재미로 거인이라면 발작(?)하는 한지를 뒤로 끌어내는 게 일상다반사. 그래도 조사병단의 괴짜 상관 밑에서 살아남은 것으로 볼 때 조사병단의 병사로서의 우수한 소양은 있는 것으로 보인다. 리바이가 입단하기 전부터 조사병단에 있었던 것을 보면 모블릿도 베테랑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 작중 행적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oblit Berner EP32.png|width=100%]]}}}|| [[초대형 거인]]이 내뿜은 열풍에 휩싸여 한지와 함께 상처를 입었고, 누워있는 와중에도 시선은 한지를 향하고 있었다. 부상을 치료한 후에는 한지와 함께 [[닉(진격의 거인)|닉 사제]]가 살해당한 현장에 같이 등장하는데, 이때 한지의 멱살을 잡은 채로 조사병단을 조롱하던 [[제르 사네스]]의 손목을 붙잡아서 저지했다. 한지반[* 한지 조에 휘하의 분대원들을 팬들이 편의상 이렇게 부르고 있다. 정식명칭은 조사병단 제4분대.]의 다른 구성원들은 신 [[리바이반]]과 함께 [[엘런 예거]]와 [[크리스타 렌즈]]의 구출 작전에 참여하고 있었으나, 모블릿은 한지와 함께 다른 곳에 있었다. 덕분에 57화에서 나머지 한지반원들이 [[케니 아커만|케니]]가 이끄는 대인 제압부대의 습격으로 [[끔살]]당하는 와중에 유일하게 목숨을 건졌다. 한지가 신문사를 습격할 때 같이 행동하는데, 동료들의 갑작스런 죽음과 그에 대한 왜곡 보도에 매우 분노했는지 평소답지 않게 표정이 어둡고 메모하려는 퓨레의 손목을 꺽는 등 행동이 거칠었다. 이후 쿠데타가 성공하자, 한지가 추리한 엘런의 단서를 엘빈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맡았다. === 최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oblit Berner EP52.pn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oblit Berner EP55.gif|width=100%]]}}}|| > 나도... 살리고 싶은 사람이 있어, 몇백명이나... [[조사병단]]에 처음 들어왔을 때부터, 매일이 작별의 나날이었지. 하지만... 알잖아? 누구에게나 언제가는 헤어질 날이 온다는 걸. > ---- > 한지 조에, 원작 84화 中 초대형 거인의 열기에 숯덩이가 된 아르민을 보고 동요하는 [[미카사 아커만|미카사]]를 진정시키면서 하는 말. [* 이때 한지는 자신을 살리려다 전사한 모블릿을 떠올린다.] 원작 84화에서 [[한지 조에|한지]]를 우물로 밀쳐 구출해내고 자신은 그대로 초대형 거인의 증기 폭발에 휘말려 형체조차 온데간데없이 '''전사한 것이 드러났다.''' 한지가 미카사를 설득할 때 나오는 회상으로 사망경위가 묘사된다.[* 역시 조사병단다운 기량을 가졌는지 고속 기동하는 와중에 확실한 엄폐물을 감지하고 정확하게 우물에 밀쳐 넣었다.] 당시 고열폭풍에 휩싸이면서 손에 '''폭발물'''인 뇌창을 들고 있었으니 [[아르민 알레르토|아르민]]처럼 숯덩이로나마 살 가능성은 전혀 없는 셈. TVA Season 3 EP55에서는 아예 파편에 직격으로 휩쓸리면서 한지의 안경에 파편과 함께 모블릿의 '''혈흔이 튀는 것을 보여주며''' 확인사살 연출을 보여줬다. 평소 작중에서 그랬듯 마지막까지도 한지를 호위하며 희생정신을 발휘한 것이다. === 사망 이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rwin Smith EP88.png|width=100%]]}}}|| 원작 132화에서 전사한 한지를 다른 동료와 함께 맞이한다. 항상 함께 다녔던 부관답게 한지의 손을 붙잡아 일으켜주는 모습이 눈에 띈다. == 명대사 == >'''[[한지 조에|당신]] 정말로 죽습니다!''' >'''[[한지 조에|분대장님]]! 당신에게 사람의 마음이란 게 있긴 한 겁니까?!'''[* 엘런이 3번의 거인화 실험 끝에 거인과 일체화 된 것을 강제로 떼어낼 때, 폐인 몰골이 된 엘런의 얼굴을 한지가 빨리 모블릿에게 스케치하라고 하자 태클 건 대사. 그래도 그리긴 그렸다.] >'''분대장님! 너무 와일드하십니다!''' == 기타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모블릿과 한지.gif|width=100%]]}}}|| * 2차 창작에서는 상관인 한지와 많이 엮인다. 커플링 이름은 "모브한지". 마지막까지 한지 바라기의 면모를 보여준 덕에, 마이너 커플링이지만 그래도 알 사람은 다 아는 편. 캐릭터 이름은 몰라도 '거인성애자 한지에게 매번 츳코미를 거는 부관 캐릭터', '한지를 우물에 빠뜨려 구해주고 대신 죽은 캐릭터'라고 하면 보통 기억할 것이다. * 한지의 성우 [[박로미]]와 모블릿의 성우 [[니시 린타로]]는 [[사무라이전대 신켄저]]에서 같은 외도중 동료였다. 니시 린타로는 최종보스 [[치마츠리 도우코쿠]]였고 박로미는 여간부 [[우스카와 타유]]. 하지만 여기서는 상하가 뒤바뀌어서 박로미가 부관, 니시 린타로가 상관이다. * 모블릿의 죽음과 동시에 한지의 한쪽 눈도 실명했는데, 이는 모블릿이 한지에게 한쪽 눈만큼이나 중요한 부하였다고도 생각해 볼 수 있는 장면이다. * 모블릿의 일본어 표기인 モブリット 중에서 モブ([[모브(신조어)|모브]])는 엑스트라를 뜻하는 일본식 신조어다. 현지에선 노리고 지은 이름으로 의심받는 중. [[분류:진격의 거인/등장인물]][[분류:조사병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