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2011년 영화]][[분류:한국의 스릴러 영화]][[분류:한국의 미스터리 영화]][[분류:한국의 드라마 영화]][[분류:한국의 느와르 영화]][[분류:한국의 범죄 영화]][[분류:한국의 정치 영화]][[분류:하드보일드 영화]][[분류:서스펜스 영화]][[분류:복수물]][[분류:테크노 스릴러]][[분류:15세이상관람가 영화]] ||<-2>
{{{#ffffff,#dddddd '''{{{+1 모비 딕}}}''' (2011)[br]''Moby Dick''}}}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모비딕.jpg|width=100%]]}}} || || '''장르''' ||{{{#!wiki style="margin: 0px 10px" [[드라마]], [[테크노 스릴러]], [[미스터리]], [[서스펜스]], [[느와르]], [[범죄물|범죄]], [[정치물|정치]], [[하드보일드]]}}} || || '''감독''' ||{{{#!wiki style="margin: 0px 10px" 박인제}}} || || '''각본''' ||{{{#!wiki style="margin: 0px 10px" 박인제, 박신규}}} || || '''프로듀서''' ||{{{#!wiki style="margin: 0px 10px" 오영석}}} || || '''제작''' ||{{{#!wiki style="margin: 0px 10px" 유정훈, 박신규, 박은경, 정현주}}} || || '''투자''' ||{{{#!wiki style="margin: 0px 10px" 유정훈, 신강영, 조일형, 박철, 손영호, 박은경}}} || || '''기획''' ||{{{#!wiki style="margin: 0px 10px" 박신규}}} || || '''주연''' ||{{{#!wiki style="margin: 0px 10px" [[황정민]], [[진구]], [[김민희(1982)|김민희]], [[김상호(배우)|김상호]] 외}}} || || '''촬영''' ||{{{#!wiki style="margin: 0px 10px" 김동영}}} || || '''조명''' ||{{{#!wiki style="margin: 0px 10px" 김승규}}} || || '''편집''' ||{{{#!wiki style="margin: 0px 10px" 김선민}}} || || '''음악''' ||{{{#!wiki style="margin: 0px 10px" 장영규, [[달파란]]}}} || || '''미술''' ||{{{#!wiki style="margin: 0px 10px" 조화성}}} || || '''세트''' ||{{{#!wiki style="margin: 0px 10px" 남성주}}} || || '''소품''' ||{{{#!wiki style="margin: 0px 10px" 화성공작소}}} || || '''의상''' ||{{{#!wiki style="margin: 0px 10px" 해인엔터테인먼트}}} || || '''분장''' ||{{{#!wiki style="margin: 0px 10px" 손은주}}} || || '''동시녹음''' ||{{{#!wiki style="margin: 0px 10px" 안복남}}} || || '''음향''' ||{{{#!wiki style="margin: 0px 10px" 최태영}}} || || '''특수효과''' ||{{{#!wiki style="margin: 0px 10px" 김광수}}} || || '''시각효과''' ||{{{#!wiki style="margin: 0px 10px" Macrograph Inc.}}} || || '''무술감독''' ||{{{#!wiki style="margin: 0px 10px" 박정률}}} || || '''조감독''' ||{{{#!wiki style="margin: 0px 10px" 임경진}}} || || '''스틸''' ||{{{#!wiki style="margin: 0px 10px" 김설우}}} || || '''현상''' ||{{{#!wiki style="margin: 0px 10px" SDL, 윤광병 외}}} || || '''텔레시네''' ||{{{#!wiki style="margin: 0px 10px" 윤명순, 최우진}}} || || '''색보정''' ||{{{#!wiki style="margin: 0px 10px" 박진호}}} || || '''메이킹''' ||{{{#!wiki style="margin: 0px 10px" 김영국, 이상호, 최은진, 장정관}}} || || '''스토리보드''' ||{{{#!wiki style="margin: 0px 10px" 김영웅, 이윤호}}} || || '''스크립터''' ||{{{#!wiki style="margin: 0px 10px" 박수진}}} || || '''현장편집''' ||{{{#!wiki style="margin: 0px 10px" 이익성}}} || || '''제작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쇼박스]], 팔레트 픽처스}}} || || '''투자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쇼박스]], CJ창업투자, 미시간벤처캐피탈, 아시아인베스트먼트, 제미니투자}}} || || '''배급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쇼박스]]}}} || || '''개봉일'''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1년 6월 9일}}} || || '''화면비''' ||{{{#!wiki style="margin: 0px 10px" 2.35:1}}} || || '''상영 시간''' ||{{{#!wiki style="margin: 0px 10px" 112분}}} || || '''대한민국 총 관객 수''' ||{{{#!wiki style="margin: 0px 10px" 430,936명}}} || || '''상영 등급''' ||{{{#!wiki style="margin: 0px 10px" '''[[15세 이용가|[[파일:영등위_15세이상_2021.svg|width=30]] {{{#373a3c,#dddddd 15세 이상 관람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2011년에 개봉한 스릴러 영화. [[청명계획]]에서 모티브를 가져오고, 보안사의 위장 카페 [[모비 딕#과거 존재했던 보안사령부의 위장카페]]에서 제목을 가져왔다. [[황정민]], [[진구]], [[김민희(1982)|김민희]], [[김상호(배우)|김상호]] 주연. 소재는 좋았으나 스토리가 엉성하고 몰입감이 떨어졌다. 등장인물들은 허구이나 국내 첫 신문기자가 주인공인 영화다. 취재과정, 기자들 간의 관계를 리얼하게 다뤘다. == 예고편 == [youtube(hodtUF023DA)] == 시놉시스 == >당신이 보고 있는 이 모든 것은 진실입니까? 1994년 11월 20일 서울 근교 발암교에서 일어난 의문의 폭발 사건. 사건을 추적하던 열혈 사회부 기자 이방우([[황정민]]) 앞에 어느 날 오랫동안 연락이 끊겼던 고향 후배 윤혁([[진구]])이 나타난다. 그는 이방우에게 일련의 자료들을 건네며 발암교 사건이 보여지는 것과 달리, 조작된 사건임을 암시한다. 발암교 사건의 진실을 파헤치기 위해 이방우는 동료기자 성효관([[김민희(1982)|김민희]]), 손진기([[김상호(배우)|김상호]])와 특별 취재팀을 꾸리지만, 취재를 방해하는 의문의 일당들로 인해 그들은 위험에 처하게 된다. 음모의 배후에 있는 정부 위의 정부, 검은 그림자 조직이 드러날수록 열혈 기자들의 진실을 향한 사투는 점점 미궁 속으로 빠져드는데…대한민국을 조작하는 검은 그림자, 목숨을 걸고 도망친 내부고발자, 그리고 진실을 파헤치는 열혈기자. 이들의 숨막히는 진실공방전이 시작된다! == 등장인물 == * [[황정민]] - 이방우 역 * [[진구]] - 윤혁 역 * [[김민희(1982)|김민희]] - 성효관 역 * [[김상호(배우)|김상호]] - 손진기 역 * [[이경영(1960)|이경영]] - 장 선생 역 * [[김보연]] - 조 부장 역 * [[정만식]] - 남 선수 역 * [[김민재(1979)|김민재]] - 김용성 역 * [[배성우]] - 맹 사장 역 * [[조한철]] - 박정길 역 * [[한수연]] - 서은숙 역 * 정동규 - 장 의원 역 * 박기산 - 박 장군 역 * 강성해 - 류 회장 역 * 권범택 - 김 국장 역 * 이일섭 - 이 총장 역 * 임형태 - 노인 역 * 김성현 - 킬러 역 * [[이희준]] - 현덕 역 * [[송영창]][*특별출연] - 신부 역 * [[안길강]][*특별출연] - 마 형사 역 * [[조희봉]][*특별출연] - 임 찍사 역 {{{#!folding [ 단역 펼치기ㆍ접기 ] * 강미진 - 아나운서 역 * 임정운, 여민구 - 리포터 역 * 홍주환 - 다방 종업원 역 * [[송영재]] - 선배기자 역 * 서정하 - 비자금운전기사 역 * 조용재 - 김 형사 역 * 김승훈 - 택시기사 역 * 박하영 - 손희민 역 * [[이태형]] - 정석영 역 * 김영주 - 김상식 역 * [[오대환]] - 발암교 덩치 역 * 배윤범 - 공항직원 역 * 안남희 - 승무원 역 * 최우형 - 콩코드운전자2 역 * 유정호 - 전화국 덩치 역 * 안민영 - 손진기 아내 역 * 전소현 - 슈퍼주인 역 * 김유안 - 공중전화여자 역 * [[홍기준]], 김성표, 성열석, 장우진 - 기자 역 * 김선영[* 이 [[김선영(배우)|김선영]]이 아니다.], 이지영 - 여기자 역 * 김현수, 김민성 - 모비딕감청실직원 역 * 안치욱 - 형사 역 * 이성일 - 진행자 역 * 김태호 - 그림자 역 * 송용호 - 덩치1(명섭이) 역 * 설우신 - 덩치2 역 * 서정주 - 덩치3 역 * 강풍 - 덩치4 역 * 김용운 - 덩치5 역 * 최광락 - 덩치6 역 * 김철준 - 콩코드운전자1 역 * 이건문 - 트럭 운전자 역 * 김은겸 - 극장관객녀 역 * 김승필 - 퍽치기 역}}} == 흥행 == 흥행은 하지 못했다. 한국 관객 430,936명의 성적을 거두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모비 딕, version=2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