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모션_예시_01.gif]] {{{+1 모션 그래픽 / Motion Graphics}}} [목차] == 개요 == 움직임(Motion)과 그래픽(graphics)의 합성어로, 간단하게 말하자면 움직이는 그래픽을 뜻한다. 디지털 이미지에 아이디어를 더해 영상으로 의미(메세지)를 전달하는 것으로, 방송 프로그램의 오프닝 타이틀 영상이나 기업의 브랜딩 영상, 영화 속 크레딧 시퀀스, TV 채널의 스테이션 ID 영상 등과 같은 영상들을 말한다. 최근에는 모션그래픽의 경계가 모호해진 면이 있는데, CG, VFX, 애니메이션도 모션그래픽의 일종으로 보기도 한다. 모션 그래픽 특유의 창의적이고 현란한 그래픽은 보는 이의 시선을 사로잡는 효과가 있고 이러한 특징은 영화와 광고 뿐만 아니라 박람회나 전시장, 웹, 모바일, 인터넷, 전광판 등의 여러 미디어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과거에는 TV에 국한되어 있던 모션 그래픽의 범위가 현재는 건물 외벽에 LED 조명을 비춰 영상을 표현하는 미디어 파사드 등과 같이 표현 형식도 다양해지고 있다. 주된 사용 그래픽 툴로는 [[어도비 애프터 이펙트]], [[시네마 4D]]가 있다. 디자인의 기본이 되는 툴인 [[어도비 포토샵]]과 [[어도비 일러스트레이터]]도 거의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 분류 == === 2D 모션 그래픽 === ||[[파일:모션_예시_04.gif|width=100%&align=center]] || [[파일:모션_예시_08.gif|width=100%&align=center]]|| || 채널 브랜드 ID 영상[* 엠넷 2019] || 방송 타이틀 영상[* JTBC 백종원의 국민음식] || ||
[[파일:모션_예시_02.gif|width=100%&align=center]] || [[파일:모션_예시_09.gif|width=100%&align=center]]|| || 인포그래픽 영상[* 쿠르츠게작트] || 게임 프로모션 영상[* 원신] || 주로 [[에프터 이펙트]]와 [[일러|일러스트레이터]], [[포토샵]]을 이용하여 만드는 도형 + 일러스트 + 텍스트 애니메이션. 요소들의 색채감, 애니메이션 연출 효과가 현란함을 이뤄 보는 이로 하여금 주목을 끈다. 키네틱 타이포, 바이럴 영상, 홈쇼핑 영상, 드라마 편집 및 후반 작업, CF 누끼 및 자막 작업, SNS 광고, 화장품 광고, TV 광고, 미디어 전시, 애니메이션, 강의 영상, 크리에이터 영상 등 다양한 형식의 작업이 있다. === 3D 모션 그래픽 === ||
[[파일:모션_예시_10.gif|width=100%&align=center]] || [[파일:모션_예시_11.gif|width=100%&align=center]]|| || 하이엔드 브랜드 영상[* 마이크로 소프트] || 캐릭터 제품 광고 영상[* 라인 프렌즈] || ||
[[파일:모션_예시_12.gif|width=100%&align=center]] || [[파일:모션_예시_13.gif|width=100%&align=center]]|| || 제품 광고 영상[* 삼성의 정식 광고는 아닌 팬 메이드 광고영상] || 미디어 아트 영상[* 코엑스 웨이브] || 캐주얼 스타일(카툰 형식의 텍스쳐와 비율 등으로 제작)과 실사풍 스타일(실제 느낌의 텍스쳐와 그 비율로 제작)정도로 스타일을 나눠볼 수 있다. 보통의 3D 작업은 렌더링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데, 캐주얼이 실사보다 렌더 시간이 상대적으로 덜 소요된다.[* 물론 캐주얼에서 픽사급 퀄리티로 가면 시간과 단가가 달라진다.] 렌더팜이라는 렌더링 시간이 오래 걸리는 작업을 대신 해주는 사업체도 존재한다. 모델링부터 애니메이션, 리깅(3D 모델링에 뼈를 심는 것), 라이팅, 카메라, 렌더링, 후보정 등 총괄적으로 할 수 있는 사람을 보통 제너럴리스트라고 부르며, 애셋, 리거, 애니메이터, FX(물리 시뮬레이션), 헤어, Cloth, Composite(합성) 등 어떤 한 부분에 특화된 사람을 스페셜리스트라고 부른다. [[Cinema 4D]], [[3ds Max]], 마야, 블렌더, 후디니, 소이 등의 여러 3d 툴이 있으며, 자기가 가고싶은 분야에 산업 표준인 툴을 사용하는 게 좋다.[* 툴마다의 각 장단점이 있다. C4D는 모그라프, 디포머 등 때문에 일반적인 모션 그래픽에 강한 편이다.] 광고, 영화, 게임 시네마틱, 캐릭터 애니메이션, 드라마, 전시 등 2D 모션 그래픽과 마찬가지로 다양한 형식의 작업이 있다. 3D 디자인을 할 수 있다면 영상의 표현 범위가 확 넓어지기 때문에 2D 분야에 있는 모션그래픽 디자이너들도 대부분 추가적으로 공부하는 추세이다. == 관련 문서 == * [[시각디자인]] * [[애니메이션]] * [[포트폴리오]] * [[비메오]] * [[키네틱 타이포그래피]] : 모션그래픽의 분야중 하나로, 여러 모션그래픽 중 [[텍스트]]를 다루는 분야이다. === 관련 그래픽 툴 문서 열람 === [include(틀:그래픽 툴)] == 관련 채널 및 인터넷 방송인[* 나무위키에 등재되어 있는 채널 및 인물들.] == * [[쿠르츠게작트]] * [[존코바]] * [[편집하는여자]] : [[프리미어 프로]], [[애프터이펙트]] 강좌 전문 유튜버 * [[비됴클래스]] * [[러셀]] * [[리틱]] * [[SparkeyJinJin]] * [[4096(유튜버)|4096]] [[분류:디자인/기법]][[분류:컴퓨터 그래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