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항목 : [[군가/해외]], [[소련군]], [[대조국전쟁]], [[모스크바 공방전]] Марш защитников Москвы[* 'защитников'를 직역하면 ''''수호자들의''''라는 뜻이다.]([[러시아어]]) 작사: 알렉세이 수르코프 (Алексе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Сурков, 1899-1983) 작곡: 보리스 모크로우소프 (Борис Андреевич Мокроусов, 1909-1968) [목차] == 개요 == [[모스크바 공방전]]을 상징하는 군가. 가사는 수르코프가 [[독소전쟁]] 발발 직후인 [[1941년]]에 쓴 시였고, 여기에 작곡가 모크로우소프가 곡을 붙여 [[1942년]]에 발표했다. 모스크바 공방전은 [[독소전쟁]]이 한창일 때 [[스탈린그라드 전투]]과 함께 [[나치 독일]]의 기세를 꺾은 매우 중대한 사건으로, [[레닌그라드]]와 달리 [[모스크바]]에는 [[독일군]]이 근접하긴 했으나 핵심적 도시 기능을 수행했다. [[모스크바]]는 [[시베리아 횡단철도]]의 종점이자 대도시로, [[시베리아]] 등지에서 몰려드는 보급품이나 병기 인프라를 정비하고 배치할 수 있는 마지막 보루이므로 만일 [[독일군]]에게 빼앗겼거나 도시 기능이 상실되었을 경우 타격은 컸겠지만 [[히틀러]]의 능력 상 [[나치 독일]]이 제대로 지배하지는 못했을 것이다. 그러나 공장이나 기업들을 모조리 철수시키거나 [[레닌 영묘]][* [[블라디미르 레닌]]의 시신은 이미 [[시베리아]]로 반출한 뒤였으나, 건물 자체가 [[랜드마크]]이고 엄청난 정성을 들여 지은 것이라 폭격될까 봐 일반적인 [[공장]] 건물로 위장했다.] 등 국가 주요시설을 위장하는 일련의 사건 때문에 시민들이 크게 동요하게 되어 모스크바는 도시기능이 상실될 지경에 이르나, [[스탈린]]이 수도를 떠나지 않겠다고 선언한 이후부터 혼란이 자츰 사그라들 수 있었다.[* 그러나 [[스탈린]]은 이 선언 이후 똥줄이 타 미칠 지경이 되는데 실제로 그만큼 [[독소전]] 당시 [[소련]]의 상태가 나빴다. 실제로 스탈린은 [[크렘린]] 구석에 있는 작은 [[예배당]]에 매일같이 들러 하느님에게 ''''[[야훼|당신]]을 [[공산주의자|버려서]] 죄송합니다. 전쟁 좀 이기게 해주세요.''''라고 기도했다. 그 예배당은 아직도 보존되어 있으나, 일반인 출입금지구역이라 [[다큐]] 등에서만 볼 수 있다.] [[1965년]] [[제2차 세계 대전]] 승전 20주년 기념으로 모스크바는 [[영웅도시]] 칭호를 받는다. 이 곡이 작사된 것은 이미 모스크바 공방전이 시작된 [[1941년]] 11월로[* 전투가 시작된 것은 10월로 간주된다.], 시인이었던 알렉세이 수르코프가 [[11월 3일]] "붉은 군대 프라우다"라는 신문에 이 군가의 가사가 되는 시를 써서 실었고, 이후 보리스 모크로우소프라는 작곡자가 이 시에 곡을 붙이면서 군가가 완성된다. 이후 이듬해 1월 모스크바 공방전이 끝날 때까지 전투의 상징과도 같은 곡으로 사랑받았으며, 당시 보르디노를 비롯한 [[모스크바주|모스크바 근교]]의 전황을 촬영한 [[다큐멘터리]]의 음악으로 채용되기도 하였다. == 가사 == [youtube(bm11Hs0gcAQ)] [youtube(7errebOZZLQ)] || 절 || [[러시아어]] || [[한국어]] 번역 || 독음 || || 1 ||В атаку стальными рядами[br]Мы поступью твёрдой идём.[br]Родная столица за нами,[br]Рубеж наш назначен Вождём.[* [[스탈린]]이 정부부처를 피난시키고 [[모스크바]]에 남기로 결정한 뒤, 모스크바에 대해 수비명령을 내린 것. 그러나 스탈린은 유사시를 대비해서 [[크렘린]] 지하에 피난용 [[철도]]를 미리 만들어놓고 있었다. 지금도 내부의 역 등은 그대로 보존되어 있을 것으로 사료되지만, 입구를 '''시멘트로 틀어막아놔서''' 안으로 들어가지 못한다. 어쩌면 [[메트로2]]로 편입되었을지도?] ||강철의 대열로 공세 속으로[br]우리는 확고한 걸음으로 나아간다.[br]친애하는 수도가 우리 뒤에 있고,[br]우리의 전선은 [[이오시프 스탈린|지도자]]로부터 지명되었다. ||브 아타쿠 스탈리늬미 랴다미[br]믜 뽀스투삐유 트뵤르도이 이둄[br]라드나야 스탈리차 자 나미[br]루베즈 나쉬 나즈나췐 보즈둄|| || 후렴 ||Мы не дрогнем в бою за столицу свою,[br]Нам родная Москва дорога.[br]Нерушимой стеной, обороной стальной[br]Разгромим, уничтожим врага! ||우리는 우리 [[모스크바|수도]]를 위한 [[모스크바 공방전|전투]]에서 얼지 않는다.[br]우리에게 친애하는 [[모스크바]]는 귀중하다.[br]불파의 장벽으로, 철통의 수비로,[br]적을 궤멸하고 격퇴할 것이다! ||믜 네 드로그넴 브 보유 자 스탈리추 스바유[br]남 라드나야 마스크바 다로가[br]녜루쉬모이 스테노이 아바로노이 스탈리노이[br]라즈그로밈 우니취토쥠 브라가|| || 2 ||На марше равняются взводы[br]Гудит под ногами земля,[br]За нами родные заводы [br]И красные звёзды Кремля. ||전투 소대의 행진 속에서[br]발 밑의 대지가 소리를 낸다.[br]우리 뒤에는 경애하는 공장들과[br][[크렘린]]의 붉은 별들이 있다. ||나 마르쉐 라브냐유트샤 브즈바듸[br]구딭 빧 나가미 제믈랴[br]자 나미 라드늬에 자보듸[br]이 크라스늬에 즈뵤즈듸 크레믈랴|| || 3 ||Для счастья своими руками[br]Мы строили город родной.[br]За каждый расколотый камень[br]Отплатим мы страшной ценой. ||희망을 위하여 우리들 손으로[br]우리는 고향의 도시를 창건했다.[br]모든 깨지고 있는 돌을 위해[* [[독일군]]이 폭격을 해서 부서진 [[모스크바]]를 말한다.][br]우리는 처절한 대가로 응징하리라. ||들랴 스촤스티야 스보이미 루카미[br]믜 스트라일리 가라다 라드노이[br]자 카즈듸이 라스칼로틔이 카메니[br]앝쁠라팀 믜 스트라쉬노이 췌노이|| || 4 ||Не смять богатырскую силу,[br]Могуч наш отпор огневой.[br]И враг наш отыщет могилу[br]В туманных боях под Москвой. ||[[보가트리|바가띄르]][* 동슬라브의 구전문학인 브일리나에서 즈뮤(용, 드래곤)이나 괴물들을 무찌르던 영웅 캐릭터들.]의 힘을 무너뜨릴 수 없으니,[br]우리의 불과 같은 저항은 막강하다.[br]그리고 안개 자욱한 모스크바 근교의 전투 속에서[br]우리의 적은 무덤을 찾게 될 것이다. ||녜 스먀티 바가틔르스쿠유 실루[br]모구츠 나쉬 앝빠르 아그녜보이[br]이 브라그 나쉬 아틔쉩 모길루[br]브 투만늬흐 바야흐 빧 마스크보이|| == 기타 == [youtube(lEMBN8n4Sq8)] [[Hearts of Iron IV]]의 DLC인 No Step Back의 추가 곡으로 등장하였다. [[분류:소련 및 러시아의 군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