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철도 관련 정보]] * [[역 관련 정보]] * 상위 항목 : [[러시아 철도]] |||||||||| 모스크바-민스크 철도 ||<|2> 운영기관 : 러시아 철도[br] 개업일 : 1870년 9월 17일 || || 시종착역 || {{{+1 ←}}} || 모스크바 벨라루스 || {{{+1 →}}} || [[민스크]] 방면[br]베고바야 || ||||||||||<#af1634> {{{#ffffff 아에로익스프레스}}} ||<#af1634><|2>{{{#ffffff 운영기관 : [[아에로익스프레스]]}}}[br]{{{#ffffff 개업일 : 2005년 12월}}} || || 시종착역 || {{{+1 ← }}} || 모스크바 벨라루스 || {{{+1 → }}} || [[셰레메티예보 국제공항]] 방면 || ||||||||||<#228B22> {{{#ffffff 자모스크보레츠카야선}}} ||<#228B22><|2>{{{#ffffff 운영기관 : 모스크바 지하철}}}[br]{{{#ffffff 개업일 : 1938년 11월 1일}}} || || [[레치노이 복잘]] 방면[br][[디나모]] || {{{+1 ←}}} || 벨로루스스카야 || {{{+1 →}}} || [[알마-아틴스카야]] 방면[br][[마야콥스카야]] || ||||||||||<#8B4513> {{{#ffffff 콜체바야선}}} ||<#8B4513><|2>{{{#ffffff 운영기관 : 모스크바 지하철}}}[br]{{{#ffffff 개업일 : 1952년 1월 30일}}} || || 시계방향[br][[노보슬로보드스카야]] || {{{+1 ←}}} || 벨로루스스카야 || {{{+1 →}}} || 반시계방향[br][[크라스노프레스넨스카야]] || [[러시아어]] : Белорусский вокзал [[영어]] : Belorussky railway station [[파일:fQWDw0A.jpg]] [목차] == 개요 == [[러시아]]의 [[수도(행정구역)|수도]] [[모스크바]] 시에 위치한 [[러시아 철도]]와 [[아에로익스프레스]], [[모스크바 지하철]]의 [[역(교통)|역]]. == 역 정보 == 모스크바에 있는 9개의 [[터미널역]] 중 하나이다. 역명의 유래는 [[벨라루스]] 방면으로 가는 열차가 출발하는 곳이라는 뜻. 참고로 이 역이 생길 당시였던 시절 벨라루스는 [[러시아 제국]]의 일부였다. 이름대로 [[벨라루스]] [[민스크]] 등 모스크바 기준 서쪽 방면 열차가 주로 발착한다. [[폴란드]]나 [[체코]] 등 [[동유럽]]은 물론 [[독일]] [[베를린 중앙역]]이나 [[프랑스]] [[파리 동역]] 등 [[서유럽]] 방향으로 넘어가는 직통 국제열차도 벨라루스 역에서 발착한다.[* [[시베리아 횡단철도]]를 타고 와서 모스크바에서 바로 서유럽까지 직통으로 넘어가려는 계획을 짜는 [[한국인]] 여행자가 종종 있는데, 모스크바에서 서유럽으로 최단거리로 갈 때 거쳐가는 벨라루스는 [[2014년]] 현재 [[유럽]] [[대륙]]에서 유일하게 한국인 사전 [[관광]][[비자]] 발급이 필수인 국가이다. 통과비자도 발급수수료가 저렴하지 않으니 꼭 빨리 서유럽으로 넘어가야만 하거나 [[동유럽]]에 아무 관심이 없는 것이 아니라면 무비자에다 관광지가 많은 [[발트 3국]]이나 [[핀란드]], [[우크라이나]]로 우회하는 편이 낫다. 우크라이나는 소요시간상으로는 북유럽 경우보다 좋긴한데 [[유로마이단]]과 [[2014년 크림 위기]]로 상황이 좋은것만은 아닌고로 어느정도 조심할 필요가 있다.] [[역사]]의 건축양식은 반대편 종점이라고 할 수 있는 [[민스크 중앙역]]과 비슷하게 생겼다. 사실 이건 이 역뿐만 아니라 모스크바 안에 있는 주요 터미널역들 대부분이 그렇다. [[시베리아 횡단철도]]의 기점역인 [[모스크바 야로슬라블 역]]과 [[블라디보스토크 역]]도 비슷한 모양으로 맞췄다. 모스크바의 3개 국제[[공항]] 중 하나인 [[셰레메티예보 국제공항]]으로 가는 [[공항철도]] [[아에로익스프레스]]를 이 역에서 탈 수 있다. == 구조 == 6면 10선의 역이며 모두 [[두단식 승강장]]이다. == 역 주변 정보 == [[모스크바 지하철]] [[자모스크보레츠카야선]]과 [[순환선]] [[콜체바야선]]의 [[환승역]]인 [[벨로루스스카야]] 역으로 바로 연결된다. 기차역 위층에 호스텔 겸 호텔이 있는데 호텔 예약 사이트에서도 예약 가능하다. 보통 [[아에로플로트]] 이용하면서 모스크바를 [[레이오버]] 또는 [[스탑오버]]로 당일치기 여행할 때 애용하게 된다. 벨라루스 역 호텔 직원들은 교대로 하루종일 근무하는데, 이 말인 즉슨 운이 좋아서 착한 직원에게 걸리면 정말 좋은 호텔이 되지만 못된 직원한테 걸리면 여러모로 짜증나고 피곤해진다. 역사 내에는 라케타라는 이름의 햄버거 가게도 있고, 근처에 한식당 및 조지아 식당, 패스트푸드점이 널려있으며 굳이 지하철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도보로도 근처에 트베르스카야 거리나 붉은 광장까지 쉽게 이동 가능하다 == [[메트로 2033]] == [[순환선]] [[콜체바야선]]의 벨라루스카야 역은 [[유토피아]]와 같은 무역 중심지로 여겨진다. [[분류:러시아의 철도역]] [[분류:모스크바 지하철 정거장]] [[분류:한자동맹(메트로 유니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