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패션 관련 정보]] [include(틀:섬유)] [목차] == 개요 == [[파일:모시.jpg]] 쐐기풀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인 모시풀의 인피섬유로 제작된 직물, 옷감. 저마(苧麻), 저마포(紵麻布), 저포(紵布)라고 불리기도 한다. 영어, 프랑스어권에서는 "라미(Ramie)", 에스파냐어권에서는 "보에머 니베아(Boehmeria nivea)"이라고 부른다. == 설명 == 뿌리와 잎은 음식으로 이용하거나, 약재로 이용하기도 한다. 즉, 한방에서 [[뿌리]]는 저마근(苧麻根), 제니(齊苨)라고 하며, 잎은 저마엽(苧麻葉)이라하여 [[각혈]], [[토혈]], [[지혈]], 소변 [[출혈]], 항문의 [[부종]]과 동통, 자궁염, [[종기]], [[타박상]], 옹종, [[외상(의학)]], 유선염, [[해독]] 및 [[거담제]]로 사용한다.[[https://www.koreascience.or.kr/article/JAKO200934152714062.pdf|근거]] 모시풀은 여름철에 기온이 높고 연평균 강수량이 1000mm 이상이며 습기가 많은 곳에서 잘 자라는 속성이 있어, [[중국]] 남부, 인도, 동남아시아 등 [[아열대기후]] 지방에서 주로 자라는 풀인데 이를 이용한 옷감을 모시라 한다. [[한반도]]에서는 삼국시대부터 직조되어 왔으나 [[삼베]]와는 달리 [[충청도]]와 [[전라도]] 지역에서 제한적으로 생산되고 있다. 한국에선 특히 [[충청남도]] [[서천군]], 그 중에서도 한산면의 세모시가 품질과 제직기술이 뛰어나기로 유명하다. 한산의 세모시[* 모시는 통상적으로 7새에서 15새까지 제작되는데 보통 10새 이상을 세모시(가는 모시)라고 하며 그 숫자가 높을수록 고급품으로 여긴다. 1새는 30 cm 포폭에 80올 날실로 짠 것을 말한다.] 짜기는 중요[[무형문화재]] 제14호로 지정되었다. 한산은 예부터 기후가 온난하고 바다를 끼어 습도가 높아 모시풀이 자라기 좋은 환경이어서 좋은 모시로 명성이 높았다. 예부터 여름용 옷의 옷감으로 사용했다. 입으면 질감이 깔깔하고 통풍이 잘 되어 습기가 빨리 말라 시원한 느낌이 들므로 각광받았다. 비단 같은 광택이 나고 내구도가 높으며 삼베보다 더 짜임새가 곱기 때문에 고급스런 옷감으로 통했다. 지금도 한산모시 같은 특상급 고급 모시는 꽤 비싸다. == 제작 과정 == 우선 모시를 재배하여 수확한 모시를 훑고 겉껍질을 벗겨 태모시를 만든 다음, 하루쯤 물에 담가 말린 후 이를 다시 물에 적셔 실의 올을 하나하나 쪼갠다. 이것을 모시째기라고 한다.[* 모시짜기는 통풍이 되지 않는 움집에서 짜는데, 이는 습도가 적으면 모시 실이 끊어지기 쉽기 때문이다.] 실의 재료를 5월~6월 초, 8월 초~8월 하순, 10월 초~10월 하순 등 한 해 동안 세 번 거두는데, 두 번째 수확한 모시의 품질이 가장 좋다. 이후 쪼갠 모시올을 이어 실을 만드는데, 이 과정을 모시삼기라 한다. 모시삼기에서 중요한 점은 실이 균일해야 한다는 것이다. 실이 균일할수록 고급품이다. 이렇게 만든 실을 체에 일정한 크기로 담아 노끈으로 열 십(十)자로 묶어 모시굿을 만든다. 모시날기는 실의 굵기에 의해 한 폭에 몇 올이 들어갈지를 결정하는 것이다. 모시매기인 풀먹이기 과정을 거친 후 베틀을 이용해 모시를 짠다. 처음 나온 모시 옷감의 색은 담록색을 띠지만 마지막으로 모시를 표백하고 물에 적셔 햇빛에 여러 번 말린 뒤에야 비로소 흰 모시가 된다. 제작기법이나 촉감 등이 비슷한 [[삼베]]와 혼동하기도 하지만 원료가 다르다. 모시의 원료인 모시풀은 장미목 쐐기풀과 모시풀속, 삼베의 원료인 [[삼(식물)|삼]]은 장미목 삼과 대마속이다. 또한 모시풀은 여러해살이풀이지만 삼은 한해살이풀이다. [[분류:옷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