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慕容恪 }}} (? ~ 367년) [include(틀:십육국춘추)] [목차] == 개요 == [[전연]](前燕)의 [[명장]][* 사서에 기록된 몇 안 되는 무패의 명장이기도 하다.] 겸 [[명재상]]. [[전연]]의 제1대 황제인 태조 문명제 [[모용황]]의 4남이자 제2대 황제인 열조 경소제 [[모용준]]의 동생이었다. 창려군(昌黎郡) 극성현(棘城縣) 출신이었으며, 자는 현공(玄恭)이었다. '''[[오호십육국 시대|5호 16국시대]] 초기 제일의 인물'''로까지 평가받는다. == 생애 == 용맹하고 지략이 있어 어릴 때부터 형 모용준과 함께 부친인 모용황의 원정에 참여했다. [[갈족]] 석씨의 [[후조]](後趙)와의 전쟁을 승리로 이끌었고, 이후 요동 정벌에 나서 예맥계 [[부여]]와 [[고구려]]의 군사를 물리쳤다. 그 뒤 중산(中山)을 공격해 한족 왕조인 [[염위]](冉魏)의 황제 [[염민]](冉閔)을 생포했다. 이후 단부선비를 멸망시키고, [[하남]](河南)을 침공한 뒤 여호(呂護)가 반란을 일으키자 이를 진압했다. 그 뒤 구도 [[낙양]]을 차지하여 하북과 하남 모두를 평정하고, 전연을 중원으로 이끌었다. 348년 부황 모용황(慕容皝)이 붕어하고, 맏형인 모용준(慕容儁)이 제위에 오르자 태원왕(太原王)으로 봉해졌으며, 360년에 열조 경소제 모용준이 붕어하자, 황제가 되기를 거부하고 모용준의 아들이자 본인의 조카인 [[모용위]](慕容暐)를 옹립하고 보필했다. 이후 자신을 모함한 모여근(慕輿根)이 주살당하자 조정의 실권을 장악해 국정을 주도했으며, 임종 직전인 367년 동생인 [[모용수]](慕容垂)에게 뒷일을 부탁한 뒤, 세상을 떠났다. 모용각이 고평가를 받는 이유는 충분히 제위를 찬탈할 기회와 힘이 있었지만, 그러지 않고 어린 조카인 모용위를 보필하여 국정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다는 점이다. 당장 그가 상대했던 [[동진]](東晉)의 명장이자 권신이었던 [[환온]](桓溫)이나 [[전진(오호십육국시대)|전진]](前秦)의 황제 [[부견]](苻堅)이 어떻게 행동했는지만 보아도 알 수 있는데, 실력만 있으면 황제를 시해하고 반란을 일으키는게 우스운 시대에 모용각처럼 행동한다는 것은 분명 대단한 일이었다. 게다가 환온과 부견은 [[위진남북조시대]]의 내로라하는 명장들로 모용각은 그 둘을 동시에 상대하며 훌륭하게 나라를 지켜냈다. 결국, 그가 죽고 나서야 부견이 한족 출신인 [[왕맹]](王猛)을 앞세워 370년에 전연을 멸망시킬 수 있었다. == 평가 == >若王猛之治國,苻堅之管仲也;慕容玄恭之輔少主,慕容暐之霍光也;劉裕之平逆亂,司馬德宗之曹操也。 > >[[왕맹]]이 나라를 다스린 것은 부견의 [[관이오|관중]]이라 할 수 있다. 모용현공이 어린 주군을 보좌한 것은 모용위의 [[곽광]]이라 할 수 있다. [[무제(유송)|유유]]가 역란을 평정한 것은 [[안제(동진)|사마덕종]]의 [[조조]]라 할 수 있다. >---- >《[[위서(역사책)|위서]]》권35 <최호 열전> == 여담 == * 남북조시대 후기 [[동위]]의 명장이었던 [[모용소종]]의 조상이었다. [[분류:367년 사망]][[분류:동진 및 오호십육국시대/황족]][[분류:모용선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