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고전 음악]] [목차] == 정의 == Suite(영어 등 많은 언어에서). 짧은 길이의 곡들을 3~8개 정도 묶은 서양 고전음악의 장르. 조곡(組曲)이라고도 하는데 [[일본어]] 유래 단어이다.([[미궁조곡]]이나 [[니코니코]] [[메들리]] 시리즈인 [[니코니코 조곡]], [[우라조곡]] 및 란티스 조곡 등) [[언어순화 운동]]의 대상이 되어 '모음곡'이란 명칭을 쓰게 되었다. == 역사 == === 고전 모음곡 === 전통적으로 바로크 시대의 모음곡은 [[사라방드]], [[지그]], [[미뉴엣]], 가보트와 같은 여러 나라의 춤곡을 모은 곡을 가리킨다. 이 시대의 널리 알려진 모음곡으로는 [[바흐]]의 [[무반주 첼로 모음곡]]이나 관현악 모음곡등이 있다. 고전시대로 접어들면서 [[헨델]]의 "수상 음악", "왕궁의 불꽃놀이" 등과 같은 하나의 주제를 매개로 한, 춤곡이라는 제약을 벗어나 선율, 작곡방식, 바탕이 되는 이야기 등의 여러 가지 연관성을 바탕으로 한 모음곡이 많이 작곡되었다. === 근대 모음곡 === 19세기부터는 작곡가들이 [[오페라]]나 발레음악 신작을 냈는데 [[가수]]나 발레리나들의 연기가 꽝이라 흥행에 실패했을 때 음악이 묻히는 것을 염려하여 '''음악이라도 어떻게 긁어 모아서 재탕할 수 없을까''' 하는 실용적인 의도(?)로 작곡된 모음곡들이 생겨났다. 오늘날의 [[OST]]와 비슷한 개념. 오페라나 발레에서 아름답고 대중적으로 인기가 좋은 관현악곡 몇 곡을 골라 모아서 관현악 오케스트라 연주용으로 편곡한 것으로, 대표작으로 [[차이콥스키]]의 3대 발레음악 모음곡(호두까기 인형, 잠자는 숲속의 미녀, 백조의 호수), [[비제]]의 [[카르멘]] 모음곡, [[에드바르 그리그]]의 페르귄트 모음곡 등이 있다. 물론 낭만주의 시대에는 이런 극부수음악이 아닌 처음부터 모음곡 형태로 쓰여진 곡들도 많다. [[카미유 생상스|생상스]]의 "동물의 사육제", [[모데스트 무소륵스키|무소륵스키]]의 피아노 모음곡 "전람회의 그림" 등이 유명한 예. 현대로 오면 [[영화]] [[아이즈 와이드 셧]]과 [[대한항공]] [[러시아]] CF에 삽입되어 유명해진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쇼스타코비치]]의 [[바리에테 관현악단을 위한 모음곡]][* 흔히 재즈 모음곡 제2번이라는 이름으로 잘못 알려진 곡으로, 진짜 재즈 모음곡 2번의 원곡은 소실 혹은 분실 상태다.]과 같은 독특한 스타일의 모음곡이 있다. == 모음곡의 예 == === 자기가 작곡한 것에서 발췌한 경우 === [[조르주 비제|비제]]의 '''[[아를의 여인]] 1,2번'''(부수음악) [[에드바르 그리그|그리그]]의 '''[[페르귄트 모음곡 1번|페르귄트 모음곡]] [[페르귄트 모음곡 2번|1,2번]]'''(부수음악) [[프로코피예프]]의 키제중위 모음곡(영화음악), '''여름의 저녁'''(오페라), 로미오와 줄리엣 모음곡 1~3번(발레음악), 신데렐라 모음곡 1~3번(발레음악), '''스키타이 모음곡'''(발레음악), 3개의 오렌지에 대한 사랑 모음곡(오페라) 등 [[차이콥스키]]의 '''[[호두까기 인형]], 잠자는 숲속의 인형, 백조의 호수 모음곡'''(발레음악) 코다이의 '''하리 야노슈 모음곡'''(오페라) [[스트라빈스키]]의 '''[[불새]] 모음곡'''(발레음악, 3가지 버전이 존재한다.) 코플런드의 '''애팔래치아의 봄 모음곡'''(발레음악) [[모리스 라벨|라벨]]의 '''다프니스와 클로에 모음곡 1,2번'''(발레), 쿠프랭의 무덤(피아노곡이 관현악곡으로 편곡됨) [[레너드 번스타인|번스타인]]의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로부터의 교향적 춤곡(뮤지컬) [[하차투리안]]의 '''가야느 모음곡 1~3번(발레음악)''', 가면무도회 모음곡(부수음악), 스탈린그라드 전투 모음곡(영화음악), 스파르타쿠스 모음곡 1~3번(발레음악) === 원래부터가 모음곡인 경우 === [[구스타브 홀스트|홀스트]]의 '''[[행성(관현악)|행성]]''' [[카미유 생상스|생상스]]의 '''[[동물의 사육제]]''' [[쇼스타코비치]]의 '''[[바리에테 관현악단을 위한 모음곡]]'''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바흐]]의 '''관현악 모음곡 1~4번'''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바흐]]의 '''[[무반주 첼로 모음곡]]'''(첼로독주) [[클로드 드뷔시|드뷔시]]의 '''베르가마스크 모음곡'''(피아노곡) [[조지 프레드릭 헨델|헨델]]의 '''수상음악, 왕궁의 불꽃놀이''' [[에드바르 그리그|그리그]]의 '''홀베르크 모음곡'''(현악합주용이 자주 연주된다.) [[무소륵스키]]의 '''[[전람회의 그림]]'''(원곡은 피아노곡이고, 라벨이 편곡한 것이 자주 연주된다.) 아라시의 '''Song for you''' 그로페의 미시시피 모음곡, 대협곡 모음곡, 죽음의 계곡 모음곡, 샌프란시스코 모음곡, 허드슨 강 모음곡, 옐로스톤 모음곡, 나이아가라 폭포 모음곡, 하와이안 모음곡 등 === 국악에서 모음곡 형식으로 되어 있는 경우 === '''현악 영산회상'''(9개) '''관악 영산회상'''(8개,하현 도드리가 빠진 것) '''평조회상'''(8개, 하현 도드리가 빠진 것.) '''천년만세'''(별곡이라고도 하며, 3개로 되어 있다.) 신안의 가거도멸치잡이노래(9개의 노래가 하나의 모음곡으로 되어 있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