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파일:중국 국기.svg|height=15]] {{{#ffff00 '''[[중국|{{{#ffff00 중화인민공화국}}}]] [[윈난성|{{{#ffff00 윈난성}}}]]의 국경통상구[br]{{{+1 [ruby(磨憨, ruby=Mó hān)][ruby(口岸, ruby=Kŏu àn)][br]ບໍ່ເຕັນ }}}'''[br] Mohan Port[br]Boten International Port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磨憨口岸, 너비=100%, 높이=100%)]}}} || ||<-2> '''{{{#ffff00 분류}}}''' || 육로(도로) || ||<-2> '''{{{#ffff00 등급}}}''' || 국가급(1류) || ||<-2> '''{{{#ffff00 접경국}}}''' || [[파일:라오스 국기.svg|height=15]] [[라오스]] [[루앙남타주]] || ||<-2> '''{{{#ffff00 관할기관}}}''' || [[중화인민공화국 해관총서|[[파일:1024px-Flag_of_the_Customs_of_the_People's_Republic_of_China.svg.png|height=15]]]] 쿤밍해관[br][[중국 국가이민관리국| [[파일:Flag_of_the_National_Immigration_Administration_of_PR_China.jpg|height=15]]]] 윈난 출입경변방검사총참 || ||<-2> '''{{{#ffff00 운영시간}}}''' || ([[중국 표준시|UTC+8]]) 08:30 - 21:30 || ||<-2> '''{{{#ffff00 주소}}}''' || {{{-2 [[윈난성]] [[시솽반나 다이족 자치주]] 멍라현 모한진}}}[br]{{{-2 云南省西双版纳傣族自治州勐腊县磨憨镇}}} || ||<-2> '''{{{#ffff00 설치년도}}}''' || 1985년 || ||[[파일:磨憨口岸.jpg|width=450]]|| || 중국측에 위치한 모한 통상구 || ||[[파일:boten port.webp|width=450]]|| || 라오스측에 위치한 보텐 통상구 || [clearfix] [목차] == 개요 == 모한 통상구(磨憨口岸)는 윈난성 [[시솽반나 다이족 자치주]] 멍라현에 위치한 국제 통상구로 [[라오스]] 루앙남타주 보텐(ບໍ່ເຕັນ : Boten)과 접한다. 중국과 라오스를 잇는 대표적인 관문으로 라오스에서 국경을 넘어 중국으로 들어올때 반드시 거치게 되는 곳이다.[* 다른 국경 통상구도 많지만 교통이 엄청 불편하기도 하고 외국인에게 개방하지 않는 성급 통상구도 많다.] 육지로 연결된 중국의 국경 통상구 중에서 가장 남쪽에 위치한다.(베트남의 수도 [[하노이]]와 비슷한 위도) == 교통 == === 철도 === 중국의 일대일로 사업으로 윈난성 쿤밍에서 라오스의 수도 비엔티안을 잇는 중국 라오스 철도 노선이 인근을 관통하여 양측 지역에 세관시설을 갖춘 여객화물공용 철도역([[모한역]] / [[보텐역]])과 더불어 대규모 철도물류기지가 건설되었다. == 도로 == 중국측에는 윈난성 성도 쿤밍으로 연결되는 [[중국 213번 국도]]가 바로 시작되며 국도와 나란하게 선형과 주행상황이 훨씬 좋은 G8511 [[쿤모고속공로]]가 모한진 시가지 외곽에서 시작되는데 2017년 9월 말에 고속공로가 완전히 개통되기 전까지는 구비구비한[* 사실 쿤모고속공로도 무려 27km나 내리막구간이 있을정도로 고도차가 심한 노선이다.] 국도로 버스와 차량들이 이동했어야 했다. 라오스측은 라오스를 남북으로 잇는 [[라오스 13번 국도]]의 시점으로 수도 비엔티안을 거처 남동쪽 캄보디아와 접경한 녹농키은 통상구(Nong Nok Khiene)을 잇는다. [[분류:윈난성의 국경통상구]][[분류:중국의 외교]][[분류:라오스의 외교]][[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