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폐쇄된 교통시설)] {{{+1 毛火驛 / Mohwa Station }}} ||<-3> {{{+2 '''모화역'''}}}[br]{{{#red '''(폐역)'''}}} || ||<-3>{{{#!wiki style="margin: -6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모화역, 너비=100%, 높이=100%)]}}} || ||<-3>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Mohwa || || [[한자]] ||<-2><|2> 毛火 || || [[간체자]] || || [[가나(문자)|가나]] ||<-2> [ruby(毛火, ruby=モファ)] || ||<-3> '''주소''' || ||<-3> [[경상북도]] [[경주시]] [[외동읍]] [[산업로(울산)|산업로]] 1882 (모화리) || ||<-3> '''관리역 등급''' || ||<-3> [[폐역]][br]--([[울산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부산경남본부)-- || ||<-3> '''개업일''' || || [[동해선]] ||<-2> 1937년 5월 1일 ~ [br]2021년 12월 28일 || ||<-3> '''철도거리표''' || || [[부산진역(경부선)|{{{#!html
부산진 방면}}}]]--[[호계역|--호 계--]]--[br]← 7.2 ㎞ || '''舊 [[동해선]]'''[br]--모 화--[br]{{{#red '''(폐역)'''}}} || [[효자역(포항)|{{{#!html
효자 방면}}}]]--[[입실역|--입 실--]]--[br]3.9 ㎞ → || ||[[파일:attachment/모화역/Mohwa.jpg|width=100%]]|| [목차] [clearfix] == 개요 == [[동해선]]의 [[철도역]], [[경상북도]] [[경주시]] [[외동읍]] [[산업로(울산)|산업로]] 1882 (모화리) 소재. '모화'(毛火)는 승려가 되기 위해 불국사로 가는 사람들이 이곳에서 머리를 깎고, 깎은 머리를 불태우는 것에서 유래했다고 알려져 있지만 이는 [[불국사]], [[석굴암]]이 세워진 이후에 끼워 맞춘 것이다.[[https://arca.live/b/city/1106682|#]] == 역사 == 우연히도 [[김동리]]의 소설 [[무녀도(소설)|무녀도]]의 여자 주인공인 모화와 이름이 똑같다. 실제로도 [[김동리]]가 [[경주시]] 출신이고 소설 무녀도의 배경도 이 일대다. [[1937년]]에 [[배치간이역]]으로 개업 후 [[1951년]] [[4월 12일]] 잠깐 [[보통역]]으로 승격하기도 했으나 이용객 감소로 인해 [[1972년]] [[7월 20일]] [[무배치간이역]]으로 떨어졌다가 다시 이용객 증가로 [[1978년]] [[11월 25일]] 보통역으로 승격되었다가 또 이용객이 줄어들어서 [[2004년]] [[12월 10일]] 무배치간이역으로 떨어졌다. [[2007년]] [[6월 1일]] 여객취급이 중단된 이후 역 건물은 민간 [[회사]]에 임대되었다. 그러나 2018년 3월 즈음 임대기간이 끝나 다시 휑해진 상태이다. 그나마 남아있던 역명판과 입간판마저 철거하였다. 하지만 옆에 같이 있던 부동산은 그대로 영업중. [[파일:20200221_163509.jpg]] 바로 앞쪽 유휴부지에 세워진 <울산~포항 복선전철 제2공구 건설공사>라는 표지판을 달고 있는 현장사무소. 이 곳은 2009년 경 세워진 [[동해선]] 신선 건설현장사무소이다. 옆동네 [[입실역]]은 [[외동신호장]]으로 이름을 바꿔 재개업했다. 외동역은 경주까지 전철 연장이 정치권에서 꾸준히 논의되고 있고 동해선 이설 선로가 읍내 근처를 지나가기 때문에 여객취급을 할 가능성이 있지만 모화역은 동해선의 이설 선로가 현 위치와 거리가 먼 산 쪽으로 지나가기 때문에 부활의 가능성도 없다. 2022년 4월 30일 기준, 역은 폐역되었음에도 역사는 남아있고 임대되었던 시절 역사 입구가 그대로 남아있다. == 주변 교통 == 남쪽으로 [[울산광역시]]와의 경계가 있고 인근에 [[울산광역시 시내버스]] 종점이 있다.[* [[경상북도]]와 [[울산광역시]] 간 도 경계를 넘지만 [[시계외요금]]은 없다.] [[경주 버스 600]]과 울산 버스 [[울산 버스 112|112]], [[울산 버스 402|402]], [[울산 버스 412|412]], [[울산 버스 482|482]], [[울산 버스 712|712]]와 환승을 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해서 서울-부산 [[시내버스 여행]]을 당일치기로 할 수 있다. == 기타 == 2007년 여객취급이 중단된 이후 도로변은 평소 방치된 채 관리가 되지 않아 폐타이어와 폐자재도 쌓여있어서 지저분한 곳인데 2019년 7월 30일때, 역 앞 도로변에 '게릴라 가든'으로 조성하였다.[[http://www.shina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92019|출처]] [[2021년]] [[12월 28일]] [[태화강역]]-[[포항역]] [[동해선]] 복선전철화가 완료되어 이설되면서 폐지되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동해선의 역 목록)] [[분류:1937년 개업한 철도역]][[분류:대한민국의 철도역]][[분류:동해선]][[분류:경주시의 철도역]][[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분류:2021년 폐지된 철도역]][[분류:동해선(폐지된 구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