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폐선)] [목차] == 노선 정보 == ||<-6><:><#ffb300>[[파일:목포시 CI_White.svg|width=30]] {{{#FFFFFF 목포시 시내버스 5번}}}|| ||<-2><:>기점||<:>전라남도 목포시 죽교동(해양대후문)||<-2><:>종점||<:>전라남도 목포시 삼향동(장자동)|| ||<|2><:>종점행||<:>첫차||<:>?||<|2><:>기점행||<:>첫차||<:>?|| ||<:>막차||<:>?||<:>막차||<:>?|| ||<-2><:>평일배차||<-4><:>60분(1일 15회)|| ||<-2><:>운수사명||<:>[[태원여객]], [[유진운수]]||<-2><:>인가대수||<:>1대|| ||<-2><:>노선||<-4><:>[[목포해양대학교|해양대후문]] - 어민동산입구 - 북항삼거리 - 홍일중.고교 - 제일극장 - 북초교 - 중앙극장 - 구.중앙시장입구 - [[목포역]] - 1호광장 - 호남동소방서 - 연동육교 - 2호광장 - 동부시장(유달중) - 목포고 - 동초교 - 연산주공아파트 - 목포기상대 - 신동 - 백련동 - 포미타운 - 대연초교 - 내화촌 - 장자동|| == 개요 == [[전라남도]] [[목포시]]에서 운행하였던 시내버스 노선. == 역사 == * 목포시내에 있지만 오지였던 백련마을과 장자동 주민들을 위한 버스로 초기에는 삼학도 - 목포역 - 동부시장 - 시청 - (구)경찰서 - 백련마을 - 대연초등학교 - 장자동으로 운행하였다. 대중교통 수요가 상당하던 당시에도 1시간 간격으로 운행했다. * 1990년대 산정농공단지에서 대연초등학교로 넘어가는 도로가 개설되어 시청, 경찰서를 경유하지 않고 동부시장 - 연산동 - 백련마을로 변경하였다. * 운행회사에서 적자를 호소하여 여러차례 폐선을 시도하였고, 운행사측에서 무단으로 배차를 2시간에 한 대로 줄여버리기도 했으나, 어찌어찌 합의하여 2001년 6월 이후에는 운행 수지 개선을 위해 중형 차량을 투입하여 운행하게 되었다. * 해양대 종점이 생기면서 삼학도 - 목포역 구간이 해양대 - 홍일고 - 목포역 구간으로 변경되어 운행거리가 증가하였다. * 2007년 3월 1일 개편 때 5번의 '2호광장 - 장자동' 구간과, [[목포 버스 1|1번(실내체육관지선)]]의 '실내체육관 - 석현동' 구간을 합친 [[목포 버스 61|61번]]이 신설되면서 폐선되었다. 이 때의 개편으로 다시 [[삼학도]]로 돌아갔으나 원도심의 중심지인 [[목포역]]은 경유하지 않게 되었다. == 특징 == * 목포시에서 가장 오지에 해당하는 동네인 내화촌과 장자동으로 들어가는 노선이었다. 때문에 배차간격이 넓어 존재감은 그닥 없었다. 물론 이 쪽 주민들에게는 유일한 대중교통수단이었기 때문에, 동부시장 등지에서 버스가 지나갈 시간대가 되면 이 노선을 기다리는 사람들을 구경할 수 있었다.[* 사실 노선 자체가 동부시장 이외의 시장을 이용하기 어려운 구조였다.] * 용해지구 쪽 도로가 새로 정비되었음에도 백련마을부터 대연초등학교까지는 목포보훈지청 구간을 포함해 큰 길이 아닌 버스 1대만 겨우 지나갈 수 있는 좁은 길로만 다녔다. * 연산주공과 포미주공은 초창기에 대중교통편이 부족하여 기존 노선을 변경하거나 신규 노선을 만들어 대중교통편을 확충하였다. 그런데 이 노선은 두 단지가 생기기 전부터 원도심에서 해당 지역을 가장 빠르게 이어주었음에도 이 노선을 활용하여 해당 지역 대중교통난을 해소할 구상은 전혀 없었다. 만일 이 노선이 두 지역의 대중교통난 해소를 위해 활용되었더라면 지금까지 살아남아 목포축구센터와 연계되는 훌륭한 대중교통편이 되었을 것이라는 점에서 아쉬움이 남는다.[* 내화촌과 장자동은 버스 두 대가 교행할 수 있는 구간이 아니라 배차를 늘릴만한 사항이 안 됐다. 하지만 5번의 단축형 노선을 포미타운까지 운행했었다면 지금까지도 유지될 수도 있었을 노선이다.] == 연계 철도역 == 2007년 폐지 직전 기준이다. * 일반 철도역 : [[목포역]](KTX, 새마을호, 무궁화호) [[분류:목포시의 시내버스/폐선]][[분류:2007년 폐지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