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폐선)] || [[파일:external/blogfiles10.naver.net/IMG_5926.jp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ffb300>[[파일:목포시 CI_White.svg|width=30]] {{{#ffffff 목포시 지선버스 8번}}}|| ||<-2><:>기점||<:>전라남도 목포시 산정동(삼학도)||<-2><:>종점||<:>전라남도 영암군 삼호읍 용당리(현대삼호아파트2차)|| ||<|2><:>종점행||<:>첫차||<:>06:00||<|2><:>기점행||<:>첫차||<:>06:00|| ||<:>막차||<:>21:30||<:>막차||<:>21:20|| ||<-2><:>평일배차||<:>90분||<-2><:>주말배차||<:>90분|| ||<-2><:>운수사명||<:>[[태원여객]], [[유진운수]]||<-2><:>인가대수||<:>2대|| ||<-2><:>노선||<-4><:>[[삼학도]] - 4차입구 - 동명동수산시장 - 항동시장 - [[목포항|여객선터미널]] - 상공회의소 - 유달산우체국 - 보해상가(목포역) - 구.중앙시장 - 삼일로 - 보건소사거리 - 신안비치아파트 - 목포대교입구 - 고하도입구 - (→ 서산초교충무분교 → 고하도마을회관 → 공생재활원입구 → 서산초교충무분교 → 고하도입구) - 현대삼호아파트2차|| == 개요 == 2016년 폐지된 목포시의 지선버스 노선. 목포 북항-고하도 간 목포대교 개통과 함께 이 다리를 지나는 노선의 필요성에 따라 신설되었다. 삼학도-여객선터미널-보해상가([[목포역]])-시보건소사거리-(목포대교)-허사도/고하도-현대삼호APT 간을 운행한다. == 역사 == * 도심에서 목포대교를 거쳐 고하도와 허사도 쪽으로 가는 노선이 필요해, 2012년 7월 1일에 개통되었다. 당시에는 대불공단 안쪽에 있는 현대미포조선까지 운행하였다. * 대불공단 구간은 승차 인원이 적고, 배차 간격을 좁혀야 할 필요성이 높아 2012년 9월 1일에 현대삼호사원아파트까지만 다니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그리고 홍일중.고교 대신 '삼일로 - 보건소사거리 - 신안비치아파트' 경유로 변경되었다. * 하지만 이래도 수요가 별로 없었던지 노선이 단축되면서 15.5회까지 늘었던 운행횟수가 14.5회를 거쳐 2012년 12월 현재는 12.5회만 운행 중이다. * 2016년 5월 버스 개편 때 폐지되었다. 대신 고하도 구간은 [[목포 버스 61|61A번]]이 1일 6회 연장 운행하게 되었다. == 특징 == * 목포버스중에서 최초로 [[목포대교]]을 지나간 노선이다. [* 현재는 [[목포 버스 900|900번]], [[목포 버스 33|33번]]이 지나간다] * 이전까지 고하도와 허사도에 걸쳐 있는 목포신항은 영암군 삼호읍 [[현대삼호중공업]] 쪽으로만 연결되어 있었고, [[목포 버스 300|300번]]이 하루 2번만 신항만 근로자 출퇴근 용으로 운행될 뿐이었다. 이 노선이 개통되면서 드디어 제대로 된 노선이 다니게 되었고, 목포시의 영역임에도 영암쪽으로만 길이 연결되어 있어 대중교통 서비스를 받지 못하던 고하도 주민들도 마을 내부까지 들어오는 버스를 탈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수요가 그리 많아 보이지는 않았던 듯, 좌석버스가 아닌, 입석형 버스를 투입했다. * 정류장이 영암군에 있는 현대삼호사원아파트에서는 [[구간요금]]도 받았다. * 평균 운행간격이 60분이었다. 지금까지 노선별 세부운행시간을 [[국가기밀]] 취급하며, 운행시간을 알려달라는 민원에도 "홈페이지에서 첫/막차시간이나 보세요"라며 [[시크]]하게 일관하던 목포시의 다른 노선들과 달리 웬일로 홈페이지에 전시간대의 기종점 및 회차지점의 출발시간을 공개하였고 시간표가 바뀔때마다 계속 수정공지되었다. * 기종점인 삼학도발 운행시간은 06:00~21:30. 회차지인 현대삼호사원아파트발 운행시간은 06:50~21:20이었다. 총 운행횟수는 12.5회였다. 평균 배차간격이 70분이지만 시간대에 따라서 90분까지 벌어졌다. * 덤으로. 지금까지 시외로 나가는 노선에는 100번대 3자리 수를 사용하던 지금까지 노선번호 배정 방식과 달리 뜬금없이 이 노선에 8번이라는 숫자를 부여하였다. 그 이유는 이용 시민들이 쉽게 알 수 있게 하기 위해서라고 보도자료에 나왔다. 아마도 세 자리로 하면 옛날 [[목포 버스 800|800]]번의 경우처럼 버스가 몇 번인지 멀리서 잘 안 보이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한 자리로 부여한 것으로 보인다. [[목포 버스 1-1|1-1번]]이나 [[목포 버스 1-1|1-2번]]처럼 기존 노선의 연장 지선 형태도 아니고, [[목포 버스 20|20번]]처럼 얼떨결에 시외구간을 운행하게 된 노선도 아닌데, 2007년 대개편 때 생겨난 [[목포 버스 30|30번]], [[목포 버스 50|50번]], [[목포 버스 60|60번]]이나 이후에 생성된 [[목포, 신안 버스 130|130번]], [[신안 버스 150|150번]]들과 비교해봐도 괴상한 센스 이긴 하나, 노선번호 체계가 [[서울특별시 시내버스]]처럼 체계적인것도 아니고 인지하고 있는 사람도 얼마 없어서인지 문제를 제기하는 사람은 딱히 없었다. == 연계 철도역 == * 일반 철도역 : [[목포역]](KTX, ITX-새마을, 무궁화호) [[분류:목포시의 시내버스/폐선]][[분류:2012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2016년 폐지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