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목포시의 초등학교]][[분류:나무위키 교육기관 프로젝트]][[분류:1942년 개교]] [include(틀:교육기관)]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목포중앙초등학교.jpg|width=100%]]}}}|| || 학교 전경 || ||||<:>
'''{{{+1 목포중앙초등학교}}}[br]木浦中央初等學校[br]mokpojungang Elementary School''' || ||||<:> [[파일:mokpojungang cho.jpg]] || ||||<:> [include(틀:지도, 장소= 목포중앙초등학교, 너비=100%, 높이=100%)] || || '''개교''' || [[1942년]] [[6월 1일]] || || '''유형''' || [[초등학교]] || || '''성별''' || [[남녀공학]] || || '''형태''' || [[공립]] || || '''교장''' || 박태순 || || '''교훈''' || 당당하게 지혜롭게 아름답게 || || '''교화''' || [[철쭉]] || || '''교목''' || [[향나무]] || || '''교색''' || {{{#008000 녹색}}} || || '''학생 수''' || 71명[*기준 2021년 12월 3일] || || '''교직원 수''' || 12명[*기준 2021년 12월 3일] || || '''관할 교육청''' || [[전라남도교육청]] || || '''주소''' || [[전라남도]] [[목포시]] 청호로 11 || || '''홈페이지''' || [[http://mokpojungang.es.jne.kr/user/indexMain.action?siteId=mokpojungang_es|[[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 는 학교 색에 맞춰 바꿀수 있습니다. ##
는 색상 변경의 허용 용도이나, 생략 할 수 있습니다. ## 지도 부분의 장소에 학교명을 넣으면 올바른 장소가 나옵니다. [목차] [clearfix] == 개요 == [[전라남도]] [[목포시]]에 위치한 공립 초등학교이다. == 학교 연혁 == ||
날짜 || 연혁 || || 1942. 06. 01. || 목포중앙국민학교로 교명 변경 || || 1946. 08. 16. || 목포동부국민학교로 개교 || || 1978. 03. 01. || 교육부지정 새교육체제 연구학교 || || 1980. 03. 01. || 도교육청지정 새교육체제 시범학교 || || 1989. 03. 01. || 도교육청지정 과학교육 시범학교 || || 1991. 03. 01. || 목포시교육청지정 영어특활시범학교 || || 1992. 03. 01. || 목포교육청지정 학습지도 방법개선 시범학교 || || 1994. 03. 01. || 도 교육청지정 학교보건교육 시범학교 || || 1995. 03. 01. || 목포중앙국민학교 병설 유치원 개원 || || 1995. 03. 01. || 도지정 표준학교 가꾸기 || || 1996. 03. 01. || 목포중앙초등학교로 개칭 || || 1996. 03. 01. || 도 교육청지정 체험학습 시범학교 || || 2004. 10. 19. || 도지정 수학과 연구학교 공개발표회 || || 2006. 12. 28. || 목포 영어 체험 마을 개원(목포시 및 목포교육청 지원) || || 2009. 03. 01. || 도 교육청지정 교육능력개발평가 시범학교(1/1) || || 2009. 03. 01. ||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학교 지정(1/5) || || 2010. 03. 01. || 도교육청 지정 연구학교(1/1) || || 2011. 12. 30. || 체육시설 현대화, 후문 시설, 급식 통로 시설 || || 2017. 08. 21. || 본관 준공 || || 2018. 03. 01. || 시지정 목포사랑3운동(특색) 연구학교 지정 || || 2020. 02. 07. || 제72회 졸업식 22,636명 졸업 || || 2020. 09. 01. || 제35대 박태순 교장 부임 || ## 여러개 추가 하셔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 는 학교 색에 맞춰 바꿀수 있습니다. ##
는 색상 변경의 허용 용도이나, 생략 할 수 있습니다. == 교훈 및 상징 == * 출처: [[http://mokpojungang.es.jne.kr/user/indexMain.action?siteId=mokpojungang_es|목포중앙초등학교 홈페이지]] === 교표 === [[파일:mokpojungang cho.jpg]] *생명력, 끈기, 인내력, 근면성, 깨끗한 마무리를 의미하는 무궁화 꽃의 생태적 특성 위에 국가의 동량지재(棟梁之材)가 되기를 바라는 의미 === 교화 === '''철쭉''' [[파일:external/sjgbloom2012.files.wordpress.com/img_0073.jpg]] *꽃의 화사함은 물론 목부는 조각재로 쓰는 것을 감안하여 줄기찬 번영으로 '국가의 동량지재(棟梁之材)'가 되라는 의미 === 교목 === '''향나무''' [[파일:향나무123.jpg]] *꽃이 4월에 피어 다음 해 10월에 익는 향나무의 습성 즉 푸른 기상과 인내심을 본받고자 하는 의미 === 교훈 === *교훈 당당하게 지혜롭게 아름답게 === 교가 === >겨례의 소망들이 이곳에 모여 >내일에 꿈에 사는 우리 학교는 >푸른마음 사는 곳 정성의 동산 >바다의 고장에서 손목을 잡고 >티없는 얼굴들이 웃음에 넘친 >우리는 나라자랑 내일에 사는 >여기가 중앙이다 목포중앙교 >여기가 중앙이다 목포중앙교 == 학교 특징 == 언제 완공되었는지 모르겠지만 학교가 한번 리모델링 되었다.[* 학생들은 그동안 컨테이너로 만든 임시교실에서 먼지를 마시며 수업을 들었다.] == 학교 시설 == 본관, 강당, 급식실 및 음악실, 교육복지실, 영어체험마을[* 현재 교직원들과 월급문제로 운영이 중단되었다가 현재는 sw교육시설로 변경되었다.] == 학교 생활 == *학교 외관이 상당히 멋지다 *대대적인 리모델링 작업으로 학교시설이 상당히 좋다[* 학교 본관 자체를 아예 철거하고 다시 세웠다] == 기타 == * 목포의 중심과 가장 가깝기 때문에 중앙초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 둘러보기 == [include(틀: 전라남도 목포시의 초등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