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000000,#dddddd '''{{{+1 몬스터 싱어: 매직 인 파리}}}''' (2011)[br]''Un monstre à Paris''[br]''A Monster in Paris''}}} || || '''장르''' ||{{{#!wiki style="margin: 0px 10px" 애니메이션}}} || || '''감독''' ||{{{#!wiki style="margin: 0px 10px" 비보 베르즈롱}}} || || '''원작''' ||{{{#!wiki style="margin: 0px 10px" [[가스통 르루]]의 1910년 소설 [[오페라의 유령]]}}} || || '''각본''' ||{{{#!wiki style="margin: 0px 10px" 비보 베르즈롱, 스테판 카잔드장}}} || || '''기획''' ||{{{#!wiki style="margin: 0px 10px" 나디아 캄리치, 아드리안 폴리토브스, 길레스 바터케인}}} || || '''제작''' ||{{{#!wiki style="margin: 0px 10px" [[뤽 베송]]}}} || || '''출연''' ||{{{#!wiki style="margin: 0px 10px" [[바네사 파라디]], [[션 레논]], 애덤 골드버그, [[대니 휴스턴]], [[프랑수아 클루제]] 등}}} || || '''미술''' ||{{{#!wiki style="margin: 0px 10px" 프랑수아 모헷}}} || || '''음악''' ||{{{#!wiki style="margin: 0px 10px" 마티유 셰디드}}} || || '''주제곡''' ||{{{#!wiki style="margin: 0px 10px" [[바네사 파라디]], 마티유 셰디드(-M-) - [[https://www.youtube.com/watch?v=9Z-NbQvhzKM|La Seine]]}}} || || '''제작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1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 유로파코프, 비보 필름, 프랑스 3 시네마, 워킹 더 독}}}}}} || || '''수입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다일리컴퍼니}}} || || '''배급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 유로파코프[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메가박스플러스엠, 다날엔터테인먼트}}} || || '''개봉일'''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tiff.png|width=20]] 2011년 9월 10일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 2011년 10월 12일 [[파일:부산국제영화제 아이콘.svg|width=20]] 2011년 10월 13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2년 5월 26일}}} || || '''화면비''' ||{{{#!wiki style="margin: 0px 10px" 1.85:1}}} || || '''상영 시간''' ||{{{#!wiki style="margin: 0px 10px" 90분}}} || || '''월드 박스오피스''' ||{{{#!wiki style="margin: 0px 10px" }}} || || '''대한민국 총 관객 수''' ||{{{#!wiki style="margin: 0px 10px" }}} || || '''상영 등급''' ||{{{#!wiki style="margin: 0px 10px" '''[[전체 이용가|[[파일:영등위_전체관람가_2021.svg|width=30]] {{{#373a3c,#dddddd 전체 관람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프랑스의 2011년 극장판 애니메이션. 한국에서는 2011년 제16회 [[부산국제영화제]]에서 상영된지 11년만인 2022년 5월에 정식 개봉하였다.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UrTLtbliKek)]}}}|| || '''{{{#000 예고편}}}''' || == 시놉시스 == >1910년 대홍수로 인해 [[센느 강]]이 범람해 [[에펠탑]]이 반쯤 물에 잠긴 [[파리(프랑스)|파리]]. 어린 시절부터 친구였던 인기 가수 ‘루실’과 트럭기사 ‘라울’은 만나기만 하면 사소한 것에도 티격태격 싸우며 10년 넘게 밀당 중이다. 한편, 실험실 폭발 사고로 인해 거대 벼룩이 된 ‘프랑코’는 천상의 목소리와 천재적인 노래 실력을 갖게 되지만 그의 무시무시한 비주얼에 사람들은 두려움을 느낄 뿐이다. 어느 어두운 밤, ‘프랑코’의 아름다운 노래를 우연히 듣게 된 ‘루실’은 '프랑코’에게 팬텀 마스크와 하얀 턱시도를 입힌 뒤 자신의 무대에서 함께 노래한다. 로맨틱하고 환상적인 듀엣으로 사람들로부터 큰 인기를 얻게 되는 ‘프랑코’와 ‘루실’. 하지만 ‘프랑코’의 정체를 수상하게 여긴 경찰청장 ‘메이놋’은 그를 잡기 위해 경찰들을 동원하고, ‘루실’과 ‘라울’은 ‘프랑코’를 보호하기 위해 기발한 작전을 세우게 된다. >20세기 초 파리 [[몽마르트]]와 주변 풍경이 아름답게 펼쳐지는 수작 애니메이션. 1910년 센느 강의 범람으로 에펠탑이 반쯤 물에 잠긴 시절이다. 에밀은 영사기사이고, 그의 발명가 친구 라울은 트럭을 몬다. 라울이 몰래 좋아하는 미녀 루실은 최고 잘나가는 카바레 가수다. 에밀과 라울의 실수로 괴물이 탄생하고 파리는 공포의 도가니가 된다. >---- >출처: 2011년 제16회 [[부산국제영화제]] == 등장인물 == * 루실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 [[바네사 파라디]],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바네사 파라디]],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김연우(성우)|김연우]] * 프랑코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 마티유 셰디드,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션 레논]] * 라울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 가드 엘마레,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애덤 골드버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정주원]] * 에밀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 세바스티앙 데주르,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제이 해링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서반석]] * 메이놋 경찰청장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 [[프랑수아 클루제]],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대니 휴스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석승훈]] * 알버트 * 마우드 * 페테 경감 * 칼로타 부인 == 설정 == 1910년 프랑스 [[파리(프랑스)|파리]]가 주무대이다. 극중 설정대로 실제 파리에서는 1910년도에 대홍수가 발생하였다. == 줄거리 == == 삽입곡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9Z-NbQvhzKM)]}}}|| || '''{{{#000 [[바네사 파라디|{{{#000 바네사 파라디}}}]], 마티유 셰디드(-M-) - 'La Seine'[* 엔딩곡이자 삽입곡이다. 극중에서는 [[바네사 파라디]]의 솔로버전도 있다. 이 영상은 듀엣버전.]}}}''' ||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 code=영화코드, critic=메타스코어 점수, user=유저스코어 점수)]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영화코드, tomato=토마토미터 퍼센티지, popcorn=오디언스 스코어 퍼센티지)] [include(틀:평가/IMDb, code=영화코드, user=유저평점)] [include(틀:평가/IMDb, code=영화코드, user=유저평점, list=IMDb Top 250 등의 리스트명, rank=순위)]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영화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영화코드, user=평점, rank=순위)] [include(틀:평가/알로시네, code=영화코드, presse=전문가평점, spectateurs=관람객 평점)] [include(틀:평가/무비파일럿, code=영화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TMDB, code=영화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키노포이스크, code=영화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야후! 재팬 영화, code=영화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Filmarks, code=영화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엠타임, code=영화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영화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야후! 키모, code=영화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왓챠, code=영화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영화코드, light=지수)] [include(틀:평가/네이버 영화, code=영화코드, expert=전문가평점, audience=관람객 평점, user=네티즌 평점)]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영화코드, user=네티즌 평점)] [include(틀:평가/CGV, code=영화코드, egg=지수)] [include(틀:평가/롯데시네마, code=영화코드, egg=지수)] [include(틀:평가/메가박스, code=영화코드, egg=지수)] [include(틀:평가/라프텔, code=영화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MRQE, code=영화코드, critic=크리틱 평점, user=유저평점)] [include(틀:평가/시네마스코어, score=스코어)] [include(틀:평가/MyAnimeList, code=영화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RogerEbert.com, code=영화코드, user=평점)] == 흥행 == ||<-4>
출처: [[https://www.boxofficemojo.com/title/(링크)/|박스오피스 모조]] || || 국가 || 개봉일 || 총수입 (단위: [[미국 달러]]) || 기준일 || || '''전 세계''' || (최초개봉일) || '''$(세계누적)''' || '''(기준일자)''' || ||<-4> 개별 국가 (개봉일 순, 전 세계 영화 시장 1, 2위인 북미, 중국은 볼드체) || || '''[[북미]]''' || 미정 || '''미개봉''' || 미정 || || '''[[중국]]''' || 미정 || '''미개봉''' || 미정 || === [[대한민국]] === ||<-7>
'''대한민국 누적 관객 수''' || || '''주차''' || '''날짜''' || '''일일 관람 인원''' || '''주간 합계 인원''' || '''순위''' || '''일일 매출액''' || '''주간 합계 매출액''' || || 개봉 전 || || 187명 || 187명 || 미집계 || 1,671,000원 || 1,671,000원 || ||<|7> 1주차 ||2022-05-26. 1일차(목) || 721명 ||<|7> -명 || 11위 || 5,297,800원 ||<|7> -원 || ||2022-05-27. 2일차(금) || 786명 || 12위 || 6,392,000원 || ||2022-05-28. 3일차(토) || 5,127명 || 5위 || 45,628,800원 || ||20XX-XX-XX. 4일차(일) || -명 || -위 || -원 || ||20XX-XX-XX. 5일차(월) || -명 || -위 || -원 || ||20XX-XX-XX. 6일차(화) || -명 || -위 || -원 || ||20XX-XX-XX. 7일차(수) || -명 || -위 || -원 || ||<|7> 2주차 ||20XX-XX-XX. 8일차(목) || -명 ||<|7> -명 || -위 || -원 ||<|7> -원 || ||20XX-XX-XX. 9일차(금) || -명 || -위 || -원 || ||20XX-XX-XX. 10일차(토) || -명 || -위 || -원 || ||20XX-XX-XX. 11일차(일) || -명 || -위 || -원 || ||20XX-XX-XX. 12일차(월) || -명 || -위 || -원 || ||20XX-XX-XX. 13일차(화) || -명 || -위 || -원 || ||20XX-XX-XX. 14일차(수) || -명 || -위 || -원 || ||<|7> 3주차 ||20XX-XX-XX. 15일차(목) || -명 ||<|7> -명 || -위 || -원 ||<|7> -원 || ||20XX-XX-XX. 16일차(금) || -명 || -위 || -원 || ||20XX-XX-XX. 17일차(토) || -명 || -위 || -원 || ||20XX-XX-XX. 18일차(일) || -명 || -위 || -원 || ||20XX-XX-XX. 19일차(월) || -명 || -위 || -원 || ||20XX-XX-XX. 20일차(화) || -명 || -위 || -원 || ||20XX-XX-XX. 21일차(수) || -명 || -위 || -원 || ||<|7> 4주차 ||20XX-XX-XX. 22일차(목) || -명 ||<|7> -명 || -위 || -원 ||<|7> -원 || ||20XX-XX-XX. 23일차(금) || -명 || -위 || -원 || ||20XX-XX-XX. 24일차(토) || -명 || -위 || -원 || ||20XX-XX-XX. 25일차(일) || -명 || -위 || -원 || ||20XX-XX-XX. 26일차(월) || -명 || -위 || -원 || ||20XX-XX-XX. 27일차(화) || -명 || -위 || -원 || ||20XX-XX-XX. 28일차(수) || -명 || -위 || -원 || || '''합계''' ||<-6> '''누적관객수 6,821명, 누적매출액 58,989,600원'''[* ~ 2022/05/28 기준] || *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기준 === [[북미]] === === 기타 국가 === == 기타 == * 이 애니메이션의 모티브가 된 작품은 [[가스통 르루]]의 1910년 소설 [[오페라의 유령]]이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파리의 유령, version=4)] [각주] [[분류:프랑스 애니메이션/목록]][[분류:2011년 애니메이션 영화]][[분류:프랑스의 애니메이션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