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몬테네그로의 역사]][[분류:신권정치]][[분류:유럽의 군주국]][[분류:정교회 국가]][[분류:19세기 멸망]] ||||||||||||||||<:> [[몬테네그로/역사|몬테네그로의 역사]] || ||<:> [[오스만 제국]] ||<:> {{{+1 →}}} ||<:> '''몬테네그로 주교후국''' ||<:> {{{+1 →}}} ||<:> [[몬테네그로 공국]] || ||<-3><#D80500> {{{#fff {{{+1 '''몬테네그로 주교후국'''}}} [br] '''Митрополство Црногорско''' [br] '''Mitropolstvo Crnogorsko'''}}} || ||<-3><#D80500> {{{#fff '''1516년 ~ 1852년'''}}} || ||<-2><:> '''{{{#fff 성립 이전}}}''' ||<:> '''{{{#fff 개편 이후}}}''' || ||<-2><:> '''[[오스만 제국|{{{#fff 오스만 제국}}}]]''' ||<:> '''[[몬테네그로 공국|{{{#fff 몬테네그로 공국}}}]]''' || ||<#D80500> {{{#fff '''위치'''}}} ||<-2>[[몬테네그로]] || ||<#D80500> {{{#fff '''수도'''}}} ||<-2>[[체티네]] || ||<#D80500> {{{#fff '''언어'''}}} ||<-2>[[세르비아어]] || ||<#D80500> {{{#fff '''종교'''}}} ||<-2>[[세르비아 정교회]] || ||<#D80500> {{{#fff '''민족'''}}} ||<-2>[[몬테네그로인]] || ||<#D80500> {{{#fff '''정치체제'''}}} ||<-2>[[신권정치]], [[전제군주제]] || ||<#D80500> {{{#fff '''국가원수'''}}} ||<-2>[[주교후]] || [목차] [clearfix] == 개요 == 1516년부터 1852년까지 [[몬테네그로]]에 존재했던 국가로, [[몬테네그로 공국]]의 전신이다. == 역사 == 몬테네그로는 1498년 [[오스만 제국]]에 의해 정복되었다. 그러나 몬테네그로 정복 과정에서 발칸 반도의 유민들이 몬테네그로로 몰려들자, 결국 오스만 제국은 몬테네그로의 지배를 토착 세력에게 맡겼고 그 결과 제후의 형식으로 정교회 주교들의 자치령이 되면서 사실상의 독립을 누렸다. 이때 초대 군주는 바빌라였다. 이후 몬테네그로는 [[신권 정치]]를 내세우며 오스만 제국에 대항했다. 1696년에는 다닐로 솁체비치가 주교가 되었고 숙질 세습제를 확립하였으니, 이것이 페트로비치네고시 가문의 시작이 되었다. 1766년에는 [[차르 슈체판]]이 나타나 몬테네그로를 통치했다가 1773년에 암살되었고 페타르 1세가 다시 몬테네그로 주교후국의 지도자가 되었고 페트로비치네고시 가문이 다시 몬테네그로를 통치했다. 1833년 [[페타르 2세 페트로비치-네고시|페타르 2세]]가 주교에 올라 몬테네그로를 통치했다가 1851년에 죽었다. 페타르 2세의 조카인 다닐로 2세는 주교가 된 뒤인 1852년 공작의 자리에 올라 세속군주를 선언하며 다닐로 1세가 되었고, 몬테네그로 주교후국은 [[몬테네그로 공국]]으로 개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