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몰상식'''}}}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몰상식.jpg|width=100%]]}}}|| || '''가입일''' ||2016년 11월 29일|| || '''첫 영상 개시일''' ||2019년 6월 18일|| || '''구독자 수''' ||23.3만 명[*기준 2023년 3월 19일]|| || '''구독자 애칭''' ||상식인|| || '''링크''' ||[[https://www.youtube.com/channel/UCLYIfFgJHDiho_clN1hmLX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목차] [clearfix] == 개요 == 몰라도 상관없는 지식을 올리는 채널이다. 이름의 유래는 단어 [[몰상식]]이다. == 상세 == >'''여러분 이거 아세요?'''[* [[https://youtu.be/h-0FPrjJYEQ|폭스바겐 비틀이 사실은 표절이라고?]] 편에서부터 사용한 인트로 멘트. ] 일상 속에서 볼 수 없었던 잡지식들을 올리는 유튜버다. 주로 사람들이 궁금해 할 만한 내용들이 많다. [[https://www.youtube.com/watch?v=44Mg7MY6_4k|2020년 2월 14일 업로드된 발렌타인 데이에 관한 영상]] 후미에 2월 14일이 자신이 생일임을 밝혔다. * [[경상도]] 억양이 있다. 그 외에도 직접적으로 [[동남 방언]]을 구사할 때도 있다. [[https://youtu.be/wh-VkDGa8Qc|이후 아예 경상도 억양을 컨셉으로 잡은 영상을 업로드했다.]] 특히 소련을 주제로 한 이야기는 높은 확률로 경상도 사투리에 시작 화면도 찌그러진 몰상식 아이콘으로 나온다. * 간혹 약간의 오덕 성향을 보였다. 그런데 이게 덕력 있다면 알겠지만 대부분 내용과 연관성 있어 위화감 없는게 포인트. * [[귀벌레]] 현상을 다룰 때 예시로 [[미야모토 프레데리카]]의 [[https://www.youtube.com/watch?v=hJ54sI_--1Y|콧노래를 넣었다]]. * [[환도상어]] 영상에서 버츄얼 유튜버인 [[가우르 구라#s-8.1|가우르 구라의 밈 a]]를 언급. * [[타이어]] 영상에서 차량 색상 다양하단 예시로 [[호쇼 마린]] 이타샤가 나왔다. * [[폭탄먼지벌레]]와 [[가봉북살무사]][* [[가붕이]] 드립, 챔피언 중 트위치 목소리, 롤 핑 사운드, 샤코 목소리 등 롤 패러디 사용 및 스피드 때문인지 [[이니셜 D]] 브금도 사용.] 영상에서 [[키라 요시카게]]의 테마곡을 사용했다. '''폭탄'''먼지 벌레와 '''은밀한 암살자'''라서 넣은 것으로 보인다. * 바니타스화[* 과거 네덜란드에서 유행했던 정울화의 일종으로 재화들 사이에 해골이나 꽃, 시계 등을 같이 묘사하는 것을 말한다.] 영상에서 [[샌즈]]를 언급했다. 둘다 해골이라 넣은 것으로 보인다. * 셸레 그린[* [[비소]] 화합물로 만든 녹색.] 영상에서 [[초록색]]의 부정적인 요소를 설명할 때 빌런을 상징하는 색으로 쓰였다고 했는데 그 예시로 [[로키(MCU)|로키]], [[헬라(MCU)|헬라]], '''[[반지닦이|그린 랜턴]], [[둘리]]''' 이미지를 사용했다. * [[솔개]] 항목에 소개된 우화를 바탕으로 제작된 동기부여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pvnzdkyYC_A|솔개의 선택]]'을 패러디하여 '[[https://www.youtube.com/watch?v=9gFrzwhPTgY|올빼미의 선택]]'을 만든 적이 있다. 결말이 [[빅토르(리그 오브 레전드)|빅토르]] 드립으로 귀결된 것은 덤. * [[해병문학]]의 패러디도 종종 나오는데, [[호저]]의 짝짓기 쇼츠 영상에서는 [[황근출]]의 네가 선택한 해병대 드립을, 케이프땅다람쥐 영상에서는 톤톤정 드립을, 근대 [[영국 해군]]의 [[프레스 갱]]을 다룬 영상에서는 해병문학 그 자체를 패러디로 넣었다. * [[홍엽조]] 영상에서는 홍엽조 무리들을 [[Warhammer 40,000]]의 [[오크(Warhammer 40,000)|오크]]로 패러디했다. * [[코주부원숭이]] 영상은 영상 제목부터 <'''코가 대단한''' '코주부원숭이' 이야기>로, [[케인(인터넷 방송인)/밈|내용]]부터 [[타지리|배경음]]까지 트위치 스트리머 [[케인(인터넷 방송인)|케인]]을 연상시키는 요소들로 점철되어 있다. * [[블롭피쉬]] 영상에서는 [[메이드 인 어비스]]의 [[말로(메이드 인 어비스)|말로]] 드립이 나왔다. 블롭피쉬가 지상으로 나와 흉측한 모습이 되었을 때 말로로 변한 [[미티(메이드 인 어비스)|미티]]의 울음소리를 넣고 깨알같이 옆에 [[본도르드]]의 이미지를 첨부하는 것은 덤. * [[다이아몬드]] 영상에서는 썸네일 제목인 <다이아몬드'''는 부서진다'''>고, 중간에 들어간 [[https://m.youtube.com/watch?v=xRGrfurZaNQ|배경음]]까지 [[다이아몬드는 부서지지 않는다]]를 패러디한 요소가 들어가 있다. * [[얼룩말]] 영상에서는 말에 대해 설명할 때 자동차의 등장 이후로는 경마와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아이돌]]로서 즐거움을 주고 있다고 했다. 최애는 [[하루 우라라(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우라라]], [[라이스 샤워(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라이스]],[[킹 헤일로(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킹]]인 듯 그외에도 얼룩말의 성질머리를 표현하며 [[용과 같이]]의 [[마지마 고로]]로 패러디 했다 * 캐나다스라소니를 다루는 영상에선 [[야인시대]]의 합성물을 패러디했다. 마지막의 [[폭☆8]]까지 완벽하게 패러디했다. 중간에 나오는 노래의 리믹스는 [[seibin]]이 리믹스한 버전을 사용했다. * [[엑스맨]] 영상에서는 오프닝에서 썸네일의 얼굴이 [[사이클롭스(마블 코믹스)|옵틱 블래스트]]를 사용한다. * 페리톤 신호 영상에선 코난을 패러디했다. * 거짓 눈물을 다루는 영상에선 제목부터 <'''거짓말을 하는 맛인지 알아보는''' '가짜눈물 구별' 법>으로 중간에 들어간 [[https://www.youtube.com/watch?v=JyVMJiZsP0Q|배경음]]까지 [[브루노 부차라티]]를 패러디한 요소가 들어가 있다. 거기에 [[사우스 파크]]의 [[Scott Tenorman Must Die|그 영상]]에서 나온 눈물을 핥는 장면도 들어간 것은 덤. * 이외에도 섬네일 제작 센스로 시청자들을 빵 터지게 하는 경우가 많다. * [[영조|조선시대 영조]]를 다룬 영상에서는 [[임오화변]]을 희화화했다. * 고대 로마군의 형벌이었던 '데키마티오'[* 10분의 1형. 형벌의 수위 문제로 당시에도 야만적이라는 비난을 받아 아주 드물게 집행됐다가 폐지됨.]의 영상의 경우 본인의 의도와 다르게 섬네일에서 적색 의복을 입은 로마군들이 [[슬램덩크]]로 오인받기도 했다. 하필 비슷한 시기에 극장판 [[더 퍼스트 슬램덩크]]가 상영 중이었기 때문에 슬램덩크 드립이 흥했다. == 기타 == * [[https://youtu.be/odnSyvDqwk4|벌룬페스트 영상]]이 표절을 했다는 주장이 나왔다.[[https://www.google.com/url?sa=t&source=web&rct=j&url=https://m.fmkorea.com/index.php%3Fdocument_srl%3D4033493750%26mid%3Dbest2%26cpage%3D5&ved=2ahUKEwisus-3vOD1AhV2jVYBHeJdA8sQFnoECBMQAQ&usg=AOvVaw1081yIsikN-eUz_V8Tcj4Y|#]] 하지만 벌룬페스트 86은 이미 유명한 사건인지라 이미 다른데서 많이 소개된 사건이다. 심지어 2015년 12월 7일에 YTN에서 다뤄지기도 한 사건이다.[[https://youtu.be/5BOt8q-8s9Q|#]] 그렇기에 해당 주장이 거짓으로 밝혀졌지만, 표절을 주장한 커뮤니티 사이트에서는 적반하장으로 악플을 달고있고, 그로인해 댓글 창에서는 [[병림픽]]이 일어나고있는 실정이다. * 베넷 포디에 대한 영상을 올리면서 동시에 유니티의 광고를 진행하는 영상을 올렸으나 하필 시기가 시기였고, 컨펌받은지 2일만에 저런 대참사가 나버렸다며 해명하는 웃픈 일이 발생했다.[* 이때문인지 구독자들의 분위기 역시 몰상식을 대놓고 비판하는게 아니라 하필 어쩌다 이렇게 됐냐는 듯한 분위기이다.] [[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유튜버]][[분류:지식정보 유튜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