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Mommsenstadion.jpg|width=100%]] [[파일:Mommsenstadion2.jpg|width=100%]] ||<-2> '''{{{#fff 테니스 보루시아 베를린}}}''' || '''{{{#000 SCC 베를린}}}''' || ||<-3> {{{#ffffff '''몸젠슈타디온'''}}} [br] {{{#ffffff '''Mommsenstadion''' }}} || || || || || || '''{{{#000000 위치 }}}''' ||<-2>[[독일]] [[베를린]] || || '''{{{#000000 소유 }}}''' ||<-2>[[SCC 베를린]] || || '''{{{#000000 개장 }}}''' ||<-2>[[1930년]] [[8월 17일]] || || '''{{{#000000 개보수 }}}''' ||<-2>[[1950년]]~[[1956년]] || || '''{{{#000000 수용인원 }}}''' ||<-2>15,005명 || || '''{{{#000000 홈 구단 }}}''' ||<-2>[[테니스 보루시아 베를린]], [[SCC 베를린]], [[베를린 레벨스]] || [목차] == 소개 == [[독일]] [[베를린]] 샤를로텐부르크에 있는 축구장. [[테니스 보루시아 베를린]]과 [[SCC 베를린]]의 홈경기장으로 사용되고 있다. 명칭은 독일의 역사학자인 [[테오도르 몸젠]]의 이름에서 따왔다. == [[1936 베를린 올림픽]] == || '''경기일자 (현지시각)''' || '''홈팀''' || '''결과''' || '''원정팀''' || '''라운드''' || '''관중''' || || 1936년 8월 3일 17:30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width=30]] 터키 || 0:4 || [[파일:노르웨이 국기.svg|width=30]] 노르웨이 || 16강 || 8,000 || || 1936년 8월 5일 17:30 ||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width=30]] 오스트리아 || 1:0 || [[파일:이집트 왕국 국기.svg|width=30]] 이집트 왕국 || 16강 || 6,000 || || 1936년 8월 6일 17:30 || [[파일:영국 국기.svg|width=30]] 영국 || 2:0 || [[파일:대만 국기.svg|width=30]] 중화민국 || 16강 || 8,000 || || 1936년 8월 7일 17:30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30]] 우크라이나 || 8:0 || [[파일:일본 국기.svg|width=30]] 일본 || 4강 || 8,000 || [[분류:독일의 축구장]][[분류:테니스 보루시아 베를린]][[분류:SCC 베를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