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373a3c '''{{{+1 몽환신사}}}'''[br]夢幻紳士}}}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몽환신사.jpg|width=100%]]}}} || || '''{{{#373a3c 장르}}}''' ||[[모험]], [[공포]], [[호러]] || || '''{{{#373a3c 작가}}}''' ||[[타카하시 요스케]] || || '''{{{#373a3c 연재지}}}''' || || || '''{{{#373a3c 연재 기간}}}''' || || || '''{{{#373a3c 연재}}}''' ||완결 || || '''{{{#373a3c 단행본 권수}}}'''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의 중견 [[만화가]] [[타카하시 요스케]]를 대표하는 작품. == 상세 == 기본적으로 [[무겐 마미야]]라는 [[꽃미남|미청년]] 주인공의 기묘한 사건과 [[모험]]을 다룬 몽환적이지만 [[고어]]하고 [[그로테스크]]한 분위기가 매력적인 작품이다. 대체로 시대 배경은 [[쇼와]] 초기의 일본이며, 작품/시리즈에 따라 작풍이나 설정이 크게 다르며, 더불어 설정이 중복되는 부분이나 세계관의 경계가 애매하기 때문에 그의 출연은 거진 [[평행세계]]라고 보는 편이 좋다. 또한 작가의 흥미 본연으로 완전히 다른 작품에서 무겐이 등장하는 경우도 굉장히 많다. 모험활극편의 몇몇 에피소드를 베이스로 한 OVA(1987년)도 1편 출시되었다. 성우 캐스팅과 작화는 그런데로 괜찮은 수준. 2018년에는 몽환신사 인형지옥 이라는 제목으로 실사영화도 개봉했다. 첫 작품에서는 괴기하지만 [[개그]] 부분이 조금 강했던 것이 점점 그로테스크한 소재나 일본 외에 다른 나라의 [[요괴]]를 소재로 하는 일이 많아지면서 몽환신사만의 세계관을 구축해나가고 있다. 그러면서 봉마편을 그린 [[2006년]] 이후부터 (펜 이외에) [[붓]]과 [[먹]]도 쓰기 시작하면서 그림체도 점점 말그대로 몽환적으로 바뀌었다. [[http://xxxxx.namoweb.net/comix/yousuke/gensou/gensou_00.htm|몽환신사 환상편 작가 후기]]를 보면, 작가 타카하시 요스케가 무겐 마미야를 어떻게 대하는지 알 수 있다. 만화의 캐릭터 임에도 정말 수십년을 같이 해온 시리즈라 거의 무겐 마미야는 작가에게 있어서 하나의 살아있는 인물일 정도. 한국에는 정식 발매되지 않았다. == 시리즈 일람 == * 몽환신사 만화소년판(マンガ少年版) 1981~1982 * 몽환신사 모험활극편(冒険活劇篇) 1982~1991 * 몽환신사 괴기편(怪奇篇) 1982~1991 * 몽환신사 몽환외전편(夢幻外伝篇) 1992~1996 * 몽환신사 삼부작 - 환상편(幻想篇) / 봉마편(逢魔篇) / 미궁편(迷宮篇) 2004~2007 * 몽환신사 회귀편(回帰編)[* 괴기편의 리메이크] 2008~2009 * 몽환신사 신 괴기편(新・怪奇編) 2012~2013 * 몽환신사 몽환동화편(夢幻童話篇) 2020 [[분류:일본 만화/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