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무능한 나나)] ||<-2>
'''{{{#010101,#010101 {{{+1 {{{#!html 무능}}}{{{#e50065 {{{#!html 한 나나}}}}}}}}} {{{#!html (2020)}}}[br]{{{#!html 無能}}}{{{#e50065 {{{#!html なナナ}}}}}}}}}'''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무능한나나1차키비주얼(2).jpg|width=100%]]}}} || ||<-2> {{{#ffffff,#ffffff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ffffff,#ffffff 장르}}}''' ||[[능력자 배틀물|능력자 배틀]], [[추리물|추리]] || || '''{{{#ffffff,#ffffff 원작}}}''' ||[[루스보이]][br]후루야 이오리(古屋 庵) || || '''{{{#ffffff,#ffffff 감독}}}''' ||[[이시히라 신지]] || || '''{{{#ffffff,#ffffff 시리즈 구성}}}''' ||[[시모 후미히코]] || || '''{{{#ffffff,#ffffff 캐릭터 디자인}}}''' ||사노 토시히코(佐野聡彦) || || '''{{{#ffffff,#ffffff 프롭 디자인}}}''' ||시바타 유지(柴田ユウジ) || || '''{{{#ffffff,#ffffff 미술 감독}}}''' ||카와구치 마사아키(川口正明) || || '''{{{#ffffff,#ffffff 미술 설정}}}''' ||카와이 켄(川井 憲) || || '''{{{#ffffff,#ffffff 색채 설계}}}''' ||아리오 유키코(有尾由紀子) || || '''{{{#ffffff,#ffffff 촬영 감독}}}''' ||카와세 테루유키(川瀬輝之) || || '''{{{#ffffff,#ffffff 편집}}}''' ||헨미 토시오(邊見俊夫) || || '''{{{#ffffff,#ffffff 음향 감독}}}''' ||모리시타 히로토(森下広人) || || '''{{{#ffffff,#ffffff 음향 효과}}}''' ||이즈모 노리코(出雲範子) || || '''{{{#ffffff,#ffffff 음악}}}''' ||[[타카나시 야스하루]],,(Team-MAX),, || || '''{{{#ffffff,#ffffff 음악 제작}}}''' ||[[일본 컬럼비아]] || || '''{{{#ffffff,#ffffff 치프 프로듀서}}}''' ||아베 류지(阿部隆二) || || '''{{{#ffffff,#ffffff 프로듀서}}}''' ||사토 유키(佐藤友紀)[br]코마츠 쇼타(小松翔太)[br]카와모토 사치(河本紗知)[br]楊國祥[br]후카오 사토시(深尾聡志)[br]타니구치 히로야스(谷口博康)[br]이소가이 노리토모(礒谷徳知)[br]徐小瀧[br]이구치 타카시(井口貴史)[br]카와무라 아키오(川本晃生)[br]오오모리 신지(大森慎司)[br]아이타니 아츠시(藍谷厚史) || || '''{{{#ffffff,#ffffff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이이지마 히로시(飯島弘志) || || '''{{{#ffffff,#ffffff 애니메이션 제작}}}''' ||[[브리지(애니메이션 제작사)|브리지]] || || '''{{{#ffffff,#ffffff 제작}}}''' ||무능한 나나 [[제작위원회]] || || '''{{{#ffffff,#ffffff 방영 기간}}}''' ||[[애니메이션/2020년 10월|2020. 10. 04.]] ~ 2020. 12. 27. || || '''{{{#ffffff,#ffffff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AT-X]] / (일) 21:30[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애니플러스]][br](일) 22:30^^LIVE^^[br](화) 23:30^^TV^^ || || '''{{{#ffffff,#ffffff 스트리밍}}}''' ||[[애니플러스]] [[https://aniplustv.com/items/2345|▶]][br][[Laftel]] [[https://laftel.net/item/39990|▶]][br][[네이버 시리즈온]] [[https://serieson.naver.com/v2/broadcasting/402724|▶]] || || '''{{{#ffffff,#ffffff 편당 러닝타임}}}''' ||24분 || || '''{{{#ffffff,#ffffff 화수}}}''' ||13화 || || '''{{{#ffffff,#ffffff 시청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등급 제도#관련 규정|[[파일:19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width=20]] {{{#ffffff 19세 이상 시청가}}}]] {{{-2 {{{#ffffff (주제, 폭력성, 모방위험)}}}}}} || || '''{{{#ffffff,#ffffff 관련 사이트}}}''' ||[[https://munounanana.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munounanana)] || }}}}}}}}}}}} || [목차] [clearfix] == 개요 == [[무능한 나나]]를 원작으로 하는 [[TV 애니메이션]]. 감독은 [[이시히라 신지]], 제작사는 [[브리지(애니메이션 제작사)|브리지]]. 방영 시기는 [[애니메이션/2020년 10월|2020년 10월]]. == 공개 정보 == 9월 26일, [[d아니메스토어]]에서 1화 선행 방영이 이루어졌다.[[https://twitter.com/munounanana/status/1306790049032400898|#]]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무능한나나_로고.png|width=90%]]}}} || || '''{{{#ffffff 애니플러스 로고}}}''' || 한편 한국 방송사인 애니플러스의 제목 로고 한글 번역은 이상하게 '''무능{{{#e50065 한 나나}}}'''가 아닌 '''무능한 {{{#e50065 나나}}}'''로 표기되어 있다. 예고편의 제목 로고 한글화는 색깔 배치가 제대로 되어있는 걸 보면 오프닝의 제목 로고 한글화 때는 제대로 표기될 걸로 예상되었고 예상대로 전자대로 표기되었다. 그리고 독특하게 한글화 로고에서 무 부분의 ㅁ을 無로 표시했다.[* 애니플러스의 비슷한 전례로 [[사쿠라코 씨의 발밑에는 시체가 묻혀 있다]]가 있다. 이쪽도 원문 한자와 한글을 융합시킨 듯한 독특한 로고를 보여줬다.] 1기 애니화 분량은 츠루오카 타츠미의 등장 바로 전 챕터인 28화까지이다. 오프닝의 하이라이트 씬이 나나가 이후 겪게 되는 일이 거의 순서대로 스쳐지나가고 가장 무난한 1기 마무리 구간이기 때문. 1화 방영 이후 [[:파일:무능한나나 1화 이후 키비주얼.png|키비주얼 속 나나의 모습이 변경되었는데]] 기존에는 나나가, 본인이 짠 설정 속의 초능력 소녀의 모습이었으나, 변경 후에는 나나가 피를 뒤집어쓰고 [[카오게이]]를 지으며 본색을 드러내고 있다. 이 변경된 키비주얼에 대한 반응은 나나가 마치 살인에 유열을 느끼는 사이코패스처럼 나와 [[캐붕]]이란 의견이 많은데 나나는 정부로부터 초능력자 암살 명령을 받고 담담히 그 임무를 수행하는 위원회 소속 요원이지, 살인에 유열을 느끼는 사이코나 자신의 사익을 위해 살인을 하는 캐릭터는 아니기 때문이다. === PV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5DjhDYdgck8)]}}} || || '''PV 제1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CSfH4adKsBo)]}}} || || '''PV 제2탄''' || === 키 비주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무능한나나_애니키비주얼2.jpg|width=100%]]}}} || || '''{{{#ffffff,#ffffff 키 비주얼 2탄}}}''' || == 줄거리 == >'저는, 남의 마음을 읽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분위기는 조금 못 읽어요! 잘 부탁드립니다!' > >외딴섬에 있는 기묘한 학교. 학생, 나카지마 나나오의 앞에 나타난 것은, 전학생 [[히이라기 나나]]. >이곳은 다양한 능력을 갖고 있는 소년 소녀가 모여있는 시설. > >불꽃이나 얼음을 조종하는 사람. 자유롭게 하늘을 날아다니는 사람. 공기를 칼날로 만들어 공격하는 사람. >학생들은, '인류의 적'이라고 불리는 괴물과 싸우기 위해 훈련을 받고 있었다. > >하지만 섬에는 비밀이 숨겨져 있었고. 무시무시한 함정이 기다리고 있었다. >연이어 발생하는 이상한 사건. 학교에 숨어든 살인귀. 한 명, 또 한 명씩 모습을 감추는 반 친구들. > >예상을 뛰어넘는 전개. 지력과 능력을 총동원한 두뇌전. 그리고 우정. >---- >''― [[https://www.aniplustv.com/|애니플러스]]'' == [[무능한 나나/등장인물|등장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무능한 나나/등장인물)] == 주제가 == === OP === ||<-2>
'''{{{#ffffff,#ffffff OP[br]Broken Sky}}}'''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12px" [include(틀:video, src=https://jjmp4.ofscdn.com/TveeMovie/aniplus/munounanana/munounanana_op.mp4, width=100%)]}}} || ||<-2> '''{{{#ffffff,#ffffff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6SCoDx0D46M, width=100%)]}}} || ||<-2> '''{{{#ffffff,#ffffff Full ver.}}}''' || || '''노래''' || [[토미타 미유]][* 본편에서 [[사사키 유카(무능한 나나)|사사키 유카]]의 성우도 맡는다.] || || '''작사''' || 오오니시 요헤이(大西洋平) || || '''작곡''' ||<|2> VaChee[br]Ryo Yamazaki || || '''편곡'''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콘티''' ||<|2> [[이시히라 신지]] || || '''연출''' || || '''작화감독''' || 사노 토시히코(佐野俊彦) || }}}}}}}}} || ||<-2> {{{#!folding 가사 ▼ ||
'''無窮の時を泳いで 命の波を感じてた''' || || 무궁한 시간을 헤엄치며 생명의 물결을 느꼈지 || || '''軋む空 砕けて消えた''' || || 삐걱이는 하늘은 찢겨져서 사라졌어 || || '''ただの偶然の左手で 神様を試す''' || || 그저 우연한 왼팔로 신님을 시험해 || || '''(掴めそうな気がしてた)''' || || (잡힐 것 같은 느낌이였으니까.) || || '''輪廻の果てで君を見つけ 僕は泣いてた''' || || 윤회의 끝에서 널 발견하곤 난 울고 있었어 || || '''嘘を(ついた) 何にも''' || || 거짓말을 (했어) 아무 것도 || || '''聞こえてないのに 笑ってた''' || || 들려오지 않았는데 웃고 있었어 || || '''無能な僕は残酷 生命線が交差する''' || || 무능한 나는 잔혹, 생명선이 교차해 || || '''色のない罪を (隠し持ったまま)''' || || 무색의 죄를 (숨기고 있는 채) || || '''時雨の裁きは 悲鳴を遠く遮った''' || || 장마의 심판은 비명을 멀리 가로막았어 || || '''歪む空 砕けて消えた''' || || 삐걱이는 하늘은 찢겨져서 사라졌어 || || '''微熱のままでここまできた 子守唄 憶う''' || || 미열을 안고 여기까지 왔어, 자장가가 떠올라 || || '''(何年も眠ってないや)''' || || (몇년이고 잠을 자고있지 않네.) || || '''全部捨てても構わないと 朝を見つけた''' || || 전부 버려도 상관없다며 아침을 찾아냈어 || || '''髪を(切った) 僕にも''' || || 머리카락을 자른 나도 || || '''誰も気づかない この世界''' || || 전혀 알아채지 못하는 걸, 이 세계는 || || '''右脳の奥に監獄 慈愛と狂気に震えてる''' || || 우뇌의 깊은 곳은 감옥, 자애와 광기에 떨고 있어 || || '''果てのない罰を (償えないまま)''' || || 끝이 없는 벌을 (속죄하지 못한 채) || || '''朧な祈りは 悲鳴に淡く溶けた''' || || 어렴풋한 기도는 비명에 아련하게 녹았어 || || '''軋む空 砕けて消えた''' || || 삐걱이는 하늘은 찢겨져서 사라졌어 || || '''壊した分だけ 壊されていくものさ''' || || 부순 만큼 부숴져 가는 걸 || || '''誰かが誰かの影を踏みながら''' || || 누군가가 누군가의 그림자를 밟아가며 || || '''守りたいものはきっと 口にしたらいけない''' || || 지키고 싶은 것은 절대 입에 담아선 안 돼 || || '''価値のあるものは奪われる 胸にしまう''' || || 가치가 있는 것은 빼앗기니까, 마음 속에 담아 둬 || || '''無能な僕は残酷 生命線が交差する''' || || 무능한 나는 잔혹, 생명선이 교차해 || || '''色のない罪を (隠し持ったまま)''' || || 무색의 죄를 (숨기고 있는 채) || || '''時雨の裁きは 悲鳴を遠く遮った''' || || 장마의 심판은 비명을 멀리 가로막았어 || || '''歪む空 砕けて消えた''' || || 삐걱이는 하늘은 찢겨져서 사라졌어 || || '''無能な僕は 残酷?''' || || 무능한 나는 잔혹? || || '''向こうに見える天国がある''' || || 저편에 보이는 천국이 있어. || }}} || {{{#!folding OP의 하이라이트는 나나가 겪게 될 일이 거의 순서대로 스쳐지나가고 있다. [ 클릭시 스포주의 ] * 첫 번째 타겟인 나나오 * 쿄야가 절벽에서 뛰어내려 찾아온 망가진 나나오의 손목시계 * 나나의 첫 쿄야 암살 시도 * 쿄야가 밥 주는 고양이 * 두 번째 타겟인 요헤이 * 무언가에 놀라는 모구오와 세이야 * 밧줄이 끊어진 절벽 * 세 번째 타겟인 츠네키치와 츠네키치 뒤로 보이는 보름달 * 츠네키치가 능력을 사용하기 위한 카메라 * 네 번째 타겟인 신지와 다섯 번째 타겟인 유카 * 유카가 네크로맨시를 통해 조종하는 좀비들 * 나나가 오두막에 갇히자 창문을 통해 유카에게 면도날을 겨누는 장면 * 유카가 신지를 조종하기 위해 가지고 있던 신지의 98점 시험지 * 나나가 자작극을 벌이기 위해 자해를 했을 때 사용한 흉기를 치마 안쪽으로 집어넣어 숨기는 장면 * 나나의 독침 * 창고에서 미치루가 츠네키치의 사진을 줍는 장면 * 여섯 번째 타겟인 키라라와 일곱 번째 타겟인 카오리 * 카오리 사건 알리바이 조작 때 흉기로 쓴 렌즈통 * 괴한에게 살해당한 류지 * 류지 살해 사건 유력 용의자인 모구오의 똘마니 3인조와 후우코 * 미치루가 수명의 한계에 달해 욕조에 쓰러져있는 장면 * 류지를 살해한 진범의 흉기와 그 흉기에 살해 위협을 받는 미치루 * 섬에 숨어있는 진}}} === ED === ||<-2>
'''{{{#ffffff,#ffffff ED[br]バケモノと呼ばれて[br]괴물이라 불려서}}}'''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12px" [include(틀:video, src=https://jjmp4.ofscdn.com/TveeMovie/aniplus/munounanana/munounanana_ed.mp4, width=100%)]}}} || ||<-2> '''{{{#ffffff,#ffffff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wUafXeefgRI, width=100%)]}}} || ||<-2> '''{{{#ffffff,#ffffff Full ver.}}}''' || || '''노래''' || 후지카와 치아이(藤川千愛) || || '''작사''' || 후지카와 치아이(藤川千愛)[br]타카하시 하나(高橋 花) || || '''작곡''' ||<|2> 후지나가 류타로(藤永龍太郎) || || '''편곡'''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콘티''' ||<|2> [[이시히라 신지]] || || '''연출''' || || '''작화감독''' ||<|2> 시바타 유지(柴田ユウジ) || || '''원화''' || }}}}}}}}} || ||<-2> {{{#!folding 가사 ▼ ||
'''{{{-2 요비사마스 코에니 후리무이타 츠미데}}}[br]呼び覚ます声に 振り向いた罪で''' || || 들려오는 목소리에 뒤돌아본 죄로 || || '''{{{-2 아타에라레시 모노 바케모노토 요바레}}}[br]与えられし者 バケモノと呼ばれ''' || || 축복받은 자는 괴물이라고 불렸네 || || '''{{{-2 카미노 키마구레카 토키노 이타즈라사}}}[br]神の気まぐれか 時のいたずらさ''' || || 신의 변덕인가 시간의 못된 장난인가 || || '''{{{-2 아타에라레시 모노 다케가 시루 우레이}}}[br]与えられし者だけが知る憂い''' || || 축복받은 자만이 품고 있을 우려 || || '''{{{-2 노존다 와케쟈나이토 아라갓타 토코로데}}}[br]望んだわけじゃないと抗ったところで''' || || 바라지 않았다고 항변한다고 한들 || || '''{{{-2 아이사레 와케난카 나쿠 다레오 니쿠메바 이이 아아}}}[br]愛されるわけなんかなく 誰を憎めばいい 嗚呼''' || || 사랑받을 리 없고 누굴 미워해야 되나요, 아아 || || '''{{{-2 코노 세카이와 스베테 우소토}}}[br]この世界はすべて嘘と''' || || 이 세계는 전부 환상이라고 || || '''{{{-2 키미가 사켄데 쿠레타나라}}}[br]君が叫んでくれたなら''' || || 네가 외쳐줬다면 || || '''{{{-2 모- 춋토 다케}}}[br]もうちょっとだけ''' || || 아주 조금만 || || '''{{{-2 모- 춋토 다케}}}[br]もうちょっとだけ''' || || 아주 조금만 || || '''{{{-2 모- 춋토 다케}}}[br]もうちょっとだけ''' || || 아주 조금만 || || '''{{{-2 세카이오 유루시테 미요오카나}}}[br]世界を許してみようかな''' || || 세계를 용서해봐도 될까 || || '''{{{-2 다레오 스쿠-타메니 키미오 아야메루 츠미}}}[br]誰を救うために 君を殺める罪''' || || 누군가를 구하기 위해 너를 죽이고 만 죄 || || '''{{{-2 아타에라레즈토모 코보레오치루 나미다}}}[br]与えられずとも零れ落ちる涙''' || || 선택받지 못했는데도 흘러내리는 눈물 || || '''{{{-2 타다노 이부츠다토 후시 코로시타 히비}}}[br]ただの異物だと押し殺した日々''' || || 한낱 이물질로 보며 눌러죽여온 나날 || || '''{{{-2 아타에라레즈토모 후리무치누 사다메}}}[br]与えられずとも腑に落ちぬ宿命''' || || 선택받지 못했는데도 이해할 수 없는 숙명 || || '''{{{-2 홋테오이테쿠레나이카 네갓타토코로데}}}[br]放っておいてくれないか 願ったところで''' || || 내버려둘 수 없을까, 라고 바란다 한들 || || '''{{{-2 나가사레와케난카 나쿠 보쿠오 히키즈리다스노 아아}}}[br]流されるわけなんかなく 僕を引きずり出すの 嗚呼''' || || 넘어갈 리 없이 나를 끌어들여, 아아 || || '''{{{-2 코노 세카이니 난노 카치모}}}[br]この世界になんの価値も''' || || 이 세계에 어떤 가치도 || || '''{{{-2 나이토 쇼-메이시타토코로데}}}[br]ないと証明したところで''' || || 없다고 증명한다고 해도 || || '''{{{-2 도-세 캇테니}}}[br]どうせ勝手に''' || || 어차피 멋대로 || || '''{{{-2 도-세 캇테니}}}[br]どうせ勝手に''' || || 어차피 멋대로 || || '''{{{-2 도-세 캇테니}}}[br]どうせ勝手に''' || || 어차피 멋대로 || || '''{{{-2 세카이와 쿠루치테 오와룬다요}}}[br]世界は朽ちて終わるんだよ''' || || 세계는 허무하게 끝날 거야 || || '''{{{-2 우마레오치타 이미 이츠카 와카루카나}}}[br]生まれ堕ちた意味 いつか分かるかな''' || || 태어난 의미를 언젠가는 알 수 있을까 || || '''{{{-2 야쿠소쿠노 치난테 토오니 시즌데루노니}}}[br]約束の地なんてとうに沈んでるのに''' || || 약속한 장소는 한참 전에 가라앉아 있는데 || || '''{{{-2 유루사레루나라 아이오 아이오 아이오 아이오 시리타캇타}}}[br]許されるなら愛を愛を愛を 愛を知りたかった''' || || 용서받을 수 있다면 사랑을, 사랑을, 사랑을, 사랑을 알고 싶었어 || || '''{{{-2 코노 세카이와 스베테 우소토}}}[br]この世界はすべて嘘と''' || || 이 세계는 전부 환상이라고 || || '''{{{-2 키미가 사켄데 쿠레타나라}}}[br]君が叫んでくれたなら''' || || 네가 외쳐줬다면 || || '''{{{-2 모- 춋토 다케}}}[br]もうちょっとだけ''' || || 아주 조금만 || || '''{{{-2 모- 춋토 다케}}}[br]もうちょっとだけ''' || || 아주 조금만 || || '''{{{-2 모: 춋토 다케}}}[br]もうちょっとだけ''' || || 아주 조금만 || || '''{{{-2 세카이오 유루시테 미요오카나}}}[br]世界を許してみようかな''' || || 세계를 용서해봐도 될까 || || '''嗚呼 嗚呼''' || || 아아 아아 || }}} || 후렴 부분 영상에서 학생들이 모두 모여 화기애애하게 고기를 구워먹는 장면은 이야기가 전개될 수록 역설적이다. == 회차 목록 == ||
'''회차''' || '''제목'''[*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애니플러스]]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 || '''각본'''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총작화감독''' || '''방영일''' || || {{{-2 제1화}}} || {{{-2 無能力[br]무능력}}} || {{{-2 [[시모 후미히코]]}}} ||<|4> {{{-2 [[이시히라 신지]]}}} || {{{-2 스즈키 유시[br](鈴木勇士)}}} || {{{-2 이누즈카 마사히코[br](犬塚政彦)}}} || {{{-2 사노 토시히코[br](佐野聡彦)}}} || {{{-2 日^^선행^^: 2020.09.26.[br]日^^정규^^: 2020.10.04.[br]韓^^LIVE^^: 2020.10.04.[br]韓^^TV^^: 2020.10.06.}}} || || {{{-2 제2화}}} || {{{-2 時間遡行[br]시간 역행}}} || {{{-2 [[요네무라 쇼지]]}}} || {{{-2 타카야마 토모야[br](高山智也)}}} ||<-2> {{{-2 후지사키 신고[br](藤崎真吾)}}} || {{{-2 日: 2020.10.11.[br]韓^^LIVE^^: 2020.10.11.[br]韓^^TV^^: 2020.10.13.}}} || || {{{-2 제3화}}} || {{{-2 能力者VS.無能力者[br]능력자 VS 무능력자}}} || {{{-2 시모 후미히코}}} || {{{-2 아키야마 히로시[br](秋山 宏)}}} ||<-2> {{{-2 모리모토 유우키[br](森本由布希)}}} || {{{-2 日: 2020.10.18.[br]韓^^LIVE^^: 2020.10.18.[br]韓^^TV^^: 2020.10.20.}}} || || {{{-2 제4화}}} || {{{-2 ヒーリング[br]힐링}}} || {{{-2 요네무라 쇼지}}} || {{{-2 후쿠모토 신이치[br](福元しんいち)}}} || {{{-2 아이하라 리사[br](相原理沙)[br]스가와라 히로키[br](菅原浩喜)[br]칸도 히로코[br](漢人寛子)}}} || {{{-2 시바타 유지[br](柴田ユウジ)}}} || {{{-2 日: 2020.10.25.[br]韓^^LIVE^^: 2020.10.25.[br]韓^^TV^^: 2020.10.27.}}} || || {{{-2 제5화}}} || {{{-2 能力者VS.無能力者 PART2[br]능력자 VS 무능력자 PART 2}}} || {{{-2 시모 후미히코}}} ||<-2> {{{-2 하시모토 나오토[br](橋本直人)}}} || {{{-2 와타나베 켄이치[br](渡辺健一)[br]이시카와 에리[br](石川恵理)}}} || {{{-2 사노 토시히코}}} || {{{-2 日: 2020.11.01.[br]韓^^LIVE^^: 2020.11.01.[br]韓^^TV^^: 2020.11.03.}}} || || {{{-2 제6화}}} || {{{-2 ネクロマンサー[br]네크로맨서}}} || {{{-2 요네무라 쇼지}}} ||<-2> {{{-2 스즈키 유시}}} ||<-2> {{{-2 시바타 유지}}} || {{{-2 日: 2020.11.08.[br]韓^^LIVE^^: 2020.11.08.[br]韓^^TV^^: 2020.11.10.}}} || || {{{-2 제7화}}} || {{{-2 ネクロマンサー PART2[br]네크로맨서 PART 2}}} || {{{-2 시모 후미히코}}} ||<-2> {{{-2 타카야마 토모야}}} ||<-2> {{{-2 후지사키 신고}}} || {{{-2 日: 2020.11.15.[br]韓^^LIVE^^: 2020.11.15.[br]韓^^TV^^: 2020.11.17.}}} || || {{{-2 제8화}}} || {{{-2 能力者VS.無能力者 PART3[br]능력자 VS 무능력자 PART 3}}} || {{{-2 요네무라 쇼지}}} ||<|4> {{{-2 이시히라 신지}}} || {{{-2 하시모토 나오토}}} || {{{-2 이이즈카 마사노리[br](飯塚正則)}}} || {{{-2 모리모토 유우키}}} || {{{-2 日: 2020.11.22.[br]韓^^LIVE^^: 2020.11.22.[br]韓^^TV^^: 2020.11.24.}}} || || {{{-2 제9화}}} || {{{-2 適者生存[br]적자생존}}} || {{{-2 시모 후미히코}}} || {{{-2 시미즈 카즈노부[br](清水一伸)}}} || {{{-2 이누즈카 마사히코}}} || {{{-2 사노 토시히코}}} || {{{-2 日: 2020.11.29.[br]韓^^LIVE^^: 2020.11.29.[br]韓^^TV^^: 2020.12.01.}}} || || {{{-2 제10화}}} || {{{-2 見えざる刃[br]보이지 않는 칼날}}} || {{{-2 요네무라 쇼지}}} || {{{-2 무라타 나오키[br](村田尚樹)}}} || {{{-2 모리 에츠히토[br](森 悦史)[br]오카 아키히코[br](岡 昭彦)[br]오오카와 요시후미[br](大川義史)[br]나카야마 카즈코[br](中山和子)}}} || {{{-2 시바타 유지}}} || {{{-2 日: 2020.12.06.[br]韓^^LIVE^^: 2020.12.06.[br]韓^^TV^^: 2020.12.08.}}} || || {{{-2 제11화}}} || {{{-2 見えざる刃 PART2[br]보이지 않는 칼날 PART 2}}} || {{{-2 시모 후미히코}}} || {{{-2 아키야마 히로시}}} ||<-2> {{{-2 모리모토 유우키}}} || {{{-2 日: 2020.12.13.[br]韓^^LIVE^^: 2020.12.13.[br]韓^^TV^^: 2020.12.15.}}} || || {{{-2 제12화}}} || {{{-2 見えざる刃 PART3[br]보이지 않는 칼날 PART 3}}} || {{{-2 요네무라 쇼지}}} ||<-2> {{{-2 타카야마 토모야}}} || {{{-2 후지사키 신고[br]이소우치 유스케[br](五十内裕輔)[br][[나카타니 유키코]]}}} || {{{-2 후지사키 신고}}} || {{{-2 日: 2020.12.20.[br]韓^^LIVE^^: 2020.12.20.[br]韓^^TV^^: 2020.12.22.}}} || || {{{-2 제13화}}} || {{{-2 リバイバル[br]리바이벌}}} || {{{-2 시모 후미히코}}} || {{{-2 이시히라 신지}}} || {{{-2 스즈키 유시}}} || {{{-2 와타나베 켄이치[br]이시카와 에리[br]이누즈카 마사히코[br]시바타 유지[br]이이즈카 마사노리}}} || {{{-2 사노 토시히코}}} || {{{-2 日: 2020.12.27.[br]韓^^LIVE^^: 2020.12.27.[br]韓^^TV^^: 2020.12.29.}}} || == BD / DVD == ||<-2>
'''{{{#ffffff,#ffffff Vol.1 : 에피소드 1 ~ 에피소드 5 + 보너스 비디오 [br][BD] ZMXZ-14391 / [DVD] ZMBZ-14401 [br]2020년 12월 23일 수요일 발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nksksk.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nsmdgksfff.png|width=100%]]}}} || 블루레이 초동 판매량은 163장으로 집계되었다. 비록 초동 판매량이긴 하지만 원작의 인지도에 비해 처참한 성적을 보여주었다. == 비판 == [include(틀:스포일러)] * 작화는 무난하지만, 연출에 대해선 비판이 있다. 이 작품의 메인 장르는 서스펜스이지만, 서스펜스 영상물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음향이 상당히 부실하다. 긴장감이 조여오는 순간에도 음악이 허전한 구간이 잦고, 사운드는 거의 성우의 연기위주로 기대고 있다. 장르가 서스펜스인 것과 상관없이 전반적으로 음향이 부족하여 비교적 지루한 느낌이 꽤 강하다. 당장 유사한 장르인 [[미래일기/애니메이션|미래일기]]가 적절한 음향 효과를 활용하여 스릴러 분위기를 십분 살려낸 것을 감안하면 이는 어느 정도는 음향 연출 미스다. 그래도 11화부터는 BGM의 사용이 비교적 늘어났다. * 각본은 원작의 전개를 고지식할 정도로 거의 그대로 담고 있기 때문에[* 각색은 해봤자 1화에서 잠깐 등장하는 순간이동 능력자를 사치코에서 카오리로 바꾸고, 담임이 인류의 적에 대해 설명할 때 1기 분량 안에서 등장하는 유카, 츠네키치, 후우코, 요헤이 등을 조명하고, 엑스트라로 이시이, 모구오의 똘마니 3인조를 지속적으로 묘사하고 있는 정도가 전부.] 원작이 받는 평가와 일맥상통한다. * 하지만 12화가 방영되고 난 뒤에는 불안한 마지막 화가 예상된다. 원작 독자들은 이시이 살인사건 챕터까지가 가장 적절한 마무리 구간이라고 예측됐고, 오프닝 영상도 그랬기에 그쯤에서 끝날 거라 예상됐으나, 12화가 끝난 지점에서는 도저히 이시이 살인사건을 끝까지 다룰 수 없기 때문에[* 이시이 살인사건이 원작에서 21~30화까지의 내용인데, 12화는 25화에서 끝났다. 애니는 1화 당 거의 원작 2화 분량을 다루고 있었다.] [[GANGSTA.]] 12화처럼 상당히 어정쩡한 급전개로 마무리가 되었다. * 결국 13화는 미치루가 목숨 바쳐 나나를 구하는 장면으로 마무리되었다.[* 원작 기준 28화.] 후우코가 범행에 관련되어있다는 정황[* 쿄야가 창밖에 묻은 피를 유심히 쳐다보는 장면, 후우코의 피 묻은 체육복 등.]은 모조리 미회수 떡밥이 되었으며, 이시이 살인사건의 진범의 처후가 정해지지 않은 채 굉장히 어중간하게 끊겼다. 애매한 분량의 경우 급하게 완결짓는 경우가 많다는 걸 생각하면 특이한 전개를 택했는데, 덕분에 2기가 나오지 않으면 에피소드가 미완인 구성이 되었다. 때문에 2기를 예상하는 팬들도 많지만, 아무래도 판매량이 처참한지라... * 특히 무능한 나나는 간략화가 필요하다면 얼마든지 빼도 상관없는 장면이 많으며, 겨우 원작 만화 2화 분량만 더 마련했으면 어정쩡한 마무리를 낼 필요가 없었다는 의견이 대다수이다. 아래가 그 예시들. * 전반적인 독백. 지루하다는 평가가 나올 정도로 독백이 많은데, 이 독백의 내용이 전부 필요하다면 모를까, 세세한 것도 하나하나 짚어줄 정도로 지나치게 친절한지라 독백 부분은 얼마든지 간략화가 가능했다. * 유카의 영화관 데이트 회상의 여러 오류와 그에 대한 지적은 "주말에도 교복 데이트하냐?" 하나만 있어도 된다. 애초에 결정적인 건 신지의 유품이었고, 나나 본인이 말했듯 얼마든지 착오가 있을 수 있는 회상의 오류는 별로 중요하지 않기 때문. * 유카가 산장에 나나가 없자 시체 사이에 있을 거라 추리하고 시체를 뒤지는 삽질을 하는 장면, 나나가 카오리 방의 특이한 창문을 바로 연 것 때문에 쿄야가 나나에게 함정을 파는 장면은 없어도 진행에 전혀 문제가 없다. 그냥 시청자에게 서스펜스 긴장감을 부여하기 위한 장면에 불과하기 때문. == 기타 == * 매주 금요일에 미니 애니메이션이 공개된다. ||
'''{{{#ffffff,#ffffff 1화 - 심리 테스트}}}''' || ||<^|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나나: 쿄우야 씨, 그거, 무슨 책인가요? 쿄우야: 도서실에서 발견한 심리테스트 책이다. 무슨 물건일까 궁금해서 말야. 나나: 헤에, 좀 보여주셔도 될까요? ..."퀴즈 형식의 심리테스트, 서로의 이해를 마주 깊이하여 사이가 좋아지는 데 최적입니다." 흠, 흠! 이거 우리가 해보지 않을래요? 쿄우야: 히이라기는 사람의 마음을 읽을 수 있잖아, 그런 테스트 필요없는거 아닌가? 나나: 게임이라구요, 게임. 갑니다! 제1지문, 당신은 숲속의 길을 걷고 있습니다. 그러다 전방에 집이 보였습니다. 쿄우야: 그렇군, 무슨 집을 상상하는가, 로 성격을 판별하는 거구만. 나나: 그 집은 가시 철사로 둘러싸인 콘크리트로 도배된 요새의 외견... 벽에는 보안 카메라가 100개, 집 내부엔 거대한 파라볼릭 안테나가 붙어있고 창문과 현관엔 강철의 셔터가 설치되있어 어떠한 공격도 통하지 않습니다...? 쿄우야: 흠... 꽤 거주성이 좋아보이는 집이 아닌가. 나나: 예? 여기선 츳코미 걸어야 하는거 아닌가요!? "내가 대답해야 하는거냐", 라거나 "그런 집이 있어선 되는거냐!?"... 그 전에, 거주성이 좋아보인다니... 쿄우야: 진정해, 결론을 서두르지마라. 그래서, 내가 그 집에 들어가는거냐? 나나: 으음... 뜰에 들어오던 도중, 지뢰를 밟아 대폭발!! 쿄우야: 호오, 힘들겠네. 그래서 난 어떻게 됐지? 나나: 뭔가 심리테스트가 아니게 되어버린 듯한 느낌이 들지만요... "당신은 상처없이 원만하게 집 안으로 들어갔습니다", 잠깐 어째서 상처가 없죠!? 쿄우야: 집안엔 누가 있었지? 나나: "집안에는 해달이 있었습니다", 잠깐 여기서 해달이요!? 쿄우야: 요새 내부의 해달? 여러모로 슈르한 광경이군. 나나: 너무 슈르하다구요... 아! 겨우 여기서 질문이에요. 쿄우야: 응. 나나: "해달은 당신에게 말을 걸어왔습니다. 그럼 어떤 숫자가 머리에 붙어있었을까요?"... 숫자? 에엑!? 여기서 그런 질문은 의미를 모르겠지 않나요!? 쿄우야: 875다. 나나: 평범하게 답하시는 건가요!! 그 전에 어째서 875!? 쿄우야: 그냥. 나나: 알겠습...니다... 음... "그럼 최종 진단. 875를 답한 당신은..."잠깐 결과가 써져있어!? 쿄우야: 그래서, 나는 무슨 성격이냐? 나나: "875를 답한 당신은 쉽게 속고 타인을 의심하는 줄을 모르는 성격입니다. 자잘한 일을 신경쓰지 않고 항상 쾌활해서 누구라도 금방 친해집니다."라고...? 아니 어째서 이런 결론이죠!? 쿄우야: 음... 내가 그런 성격이었다니. 자신은 알기 어려운 것이군. 나나: 확실히.. 쿄우야 씨가 어떤 사람인지 조금 알게 된 느낌이 드네요... 쿄우야: 이해를 깊이하는 것이 먼저다. 좋아, 다음은 내가 문제를 내지. 나나: 더는 됐네요!! || }}}}}} || * 성우 [[후지와라 케이지]]의 유작이다. 2019년 하반기에 녹음을 마쳐서 수록될 수 있었다고 한다. * 북미에서는 동시방영을 했을 뿐만 아니라, [[퍼니메이션]]이 2021년 11월에 늦게나마 영어 더빙을 공개하였고, 더빙 스튜디오는 [[NYAV]]에서 이루어진다.[[https://mobile.twitter.com/Funimation/status/1462118654930206724|#]]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무능한 나나, version=303)] [[분류:무능한 나나]][[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분류:2020년 4분기 일본 애니메이션]][[분류:일본 만화 원작 애니메이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