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폐쇄된 교통시설)] || {{{+1 [ruby(村, ruby=むら)][ruby(山, ruby=やま)][ruby(貯, ruby=ちょ)][ruby(水, ruby=すい)][ruby(池, ruby=ち)][ruby(駅, ruby=えき)]}}} || {{{+1 Murayama-chosuichi Station}}} || ||<-6><)>{{{#!wiki style="margin: -0px -5px" [[세이부 철도|[[파일:Seibu_OldWlogo.svg|height=50&align=left]]]]}}}[[세이부 철도|{{{#d8d8d8 세이부 철도}}}]][br]'''{{{+2 {{{#d8d8d8 무라야마쵸스이치역}}} {{{#ffffff (폐역)}}}}}}[br]{{{#d8d8d8 [무라야마저수지역]}}}'''|| ||<-3>[include(틀:지도, 장소=35.763778 139.444361, 너비=100%, 높이=300px)]|| ||<-3> '''다국어 표기''' || || 일본어 ||<-2> 村山貯水池[br](むらやまちょすいち) || || 영어 ||<-2> Murayama-chosuichi || ||<-3> '''주소''' || ||<-3> [[도쿄도]] 키타타마군 히가시무라야마마치 타쿠부[* 현재의 [[히가시무라야마시]] 타마코초3초메(東村山市多摩湖町3丁目)][br]東京都北多摩郡東村山町宅部 || ||<-3> '''역 운영기관''' || || [[세이부 세이부엔선|{{{#808080 무라야마선}}}]] ||<-2> [[세이부 철도|[[파일:세이부철도 로고.svg|width=150]]]] || ||<-3> '''개업일''' || ||<-3> [[1930년]] [[4월 5일]] || ||<-3> '''폐업일''' || ||<-3> [[1951년]] [[3월 1일]] || ||<-3> '''노선거리표''' || || [[타카다노바바역|{{{#000000,#e5e5e5 {{{#!html
타카다노바바 방면
}}}}}}]]--[[노구치 신호소]][br]← 0.9 km-- || --'''{{{-2 [[세이부 철도]]}}}[br][[세이부 세이부엔선|무라야마선]]'''--{{{#ff0000,#ff0000 {{{#!html
(폐선 구간)
}}}}}}--{{{-2 무라야마쵸스이치}}}-- || --{{{#gray 종점}}}--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 [[도쿄도]] 키타타마군 히가시무라야마마치(現 [[히가시무라야마시]])에 위치한 [[세이부 철도]] 무라야마선(現 [[세이부 세이부엔선|세이부엔선]])의 [[폐역]]이다. 타마호(多摩湖)의 관광지 개발로 인해 무라야마선을 연장하는 형태로 히가시무라야마~당역 까지를 개통했다. 1943년에 전쟁으로 인한 관광수요 감소로 폐역되었다가 1948년에 세이부가 타마호에 유원지 건설 계획을 세우면서 운행이 재개되었다. 이 과정에서 유원지 계획에 경륜장이 추가되어 교통 편의를 위해 1950년에 지선의 형태로 [[세이부엔역]]을 개업했다. 그런데 1951년에는 유원지 안에 본선역, 지선역이 각각 있는 것은 비용과 배차간격 면에서 낭비라는 점과 경륜장을 키우고 싶었던 회사의 입장이 맞물려 무라야마쵸스이치 방면 본선을 폐선하기로 결정하면서 이 역도 폐역되었다. 역이 있던 자리는 철거 후 주택이 들어서 흔적은 전혀 남아있지 않다. [[노구치 신호소]]에서 분기하는 선로도 주택가 도로의 형태로 띄엄띄엄 남아있을 뿐이다. [[분류:일본의 폐지된 철도역]][[분류:1930년 개업한 철도역]][[분류:1958년 폐지된 철도역]][[분류:세이부 세이부엔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