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attachment/무르무르/murmur-0.jpg]]|| || [[미래일기/애니메이션|애니메이션]] 설정화 || [목차] == 개요 == ムルムル / Mur Mur [[미래일기]]의 등장인물. 성우는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혼다 마나미(本田愛美)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리아 클라크]]. 시공왕 [[데우스 엑스 마키나(미래일기)|데우스 엑스 마키나]]의 몸종. 모습은 [[아랍]]계 어린아이이며, 사고방식도 어린아이 같다. 대신 말투는 [[와시]]를 쓰는 등 완전 노인의 말투다. 이름의 유래는 [[솔로몬의 72 악마]] 중 제54위 [[무르무르]]에게서 따온 것으로 보인다. [[미래일기 패러독스]]에서 "이래뵈도 불사신인 악마라고"라는 말도 했고. [[떡]]과 [[옥수수]]를 매우 좋아하는 것 같다. 늘 떡방아를 찧고 있다. == 작중 행적 == 초반부에는 본편 전개에 거의 등장하지 않고, 본편 후의 보너스 만화에서 각종 일기 사용자에게 미래일기 사용자가 된 것을 통보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것이 애니화하면서 개그성이 강화되었으며, [[히라사카 요모츠|12th]]의 경우는 준 실사화 영상으로 만들었다.]. 혹은 하루 24시간을 [[푸치마스!|먹고 자고 노는]] 데 사용하는 만사태평한 모습을 보이거나, [[가사이 유노]][* 외형이 아니라 인과율의 조작으로.]로 변장해 [[아마노 레아]]에게 [[http://bbs2.ruliweb.daum.net/gaia/do/ruliweb/family/230/read?articleId=13285523&bbsId=G005&itemId=75&pageIndex=1|접근하기도 하는 모습을 보이는 등]] 변장도 자주 하는데 그 이유는 주로 뭔가 맛있어 보이는 것을 먹어보기 위해, 혹은 재밌어보여서. 데우스와 대부분의 일기 소유자들이 그렇듯 참가자들의 이름을 부르지 않고 넘버링으로 호칭하지만[* 심지어 유노도 웬만해선 이름으론 안부른다.] [[아마노 유키테루|유키테루]]만은 1st가 아니라 줄곧 이름으로만 부른다. 나름대로 마음에는 들었던 모양. 작중 초반에 소유자들이 인과율 대성당에 집합할 때 유키테루를 안내하며 유노가 유키테루와 같이 오고 싶어했다고 전한다. 그 말에 유키테루가 질색하자, 어디 네 맘대로 될지 두고 보자며 의미심장하게 웃는다. 애니메이션에서는 해당 묘사가 생략. 미래일기의 승자로 2nd [[가사이 유노]]를 꼽고 있다. 사실 말이 몸종이지 데우스와 대화하는 장면의 일부를 보면 오히려 무르무르가 더 대단한 존재같은 느낌의 대화가 오고가기도 한다. 일례로 데우스가 수명이 다해가면서 몸이 붕괴하기 시작하자 초조해하는 기색을 보이는 반면 무르무르는 오히려 그런 데우스를 보고 비웃거나 즐기는 등의 행동을 보여준다. === 스포일러 === [include(틀:스포일러)] [include(틀:미래일기/분기별 보스)] 5권에서는 [[데우스 엑스 마키나(미래일기)|데우스 엑스 마키나]] 몰래 인과율을 조정하여 [[쿠루스 케이고|4th]]의 폭주 및 [[리타이어]]에 일조했다. 이에 대해 데우스가 추궁하자 처음에는 능청스럽게 흘러넘기나 곧 데우스가 손으로 공격하자 이를 간단히 피하고는 '''원래 4th를 좀 더 오래 살려둘 생각이었으나, 단순히 장기말로 써먹기에는 지나칠 정도로 유능했기 때문에 4th를 일찍 리타이어 시키기 위해''' 자신이 인과율을 조정했다는 것을 자백하며, 게임을 좀 더 재밌게 하기 위해서라고 해명한다. 이 때부터 단순한 몸종이 아니라는 복선이 주어졌다. 그리고 [[존 바쿠스|11th]] 전이 진행되는 중 [[우류 미네네|9th]]에게 힘을 나눠준 영향으로 데우스의 용태가 급격히 나빠지기 시작하자 이에 의구심을 품고, '''7월 28일까지는 버텨야 하는데'''라는 의미심장한 독백을 한다. 11th 전이 끝나자 곧바로 데우스의 몸과 세계가 붕괴되기 시작하고 [[아키세 아루]]가 인과율 대성당 안에 진입하자, 소유자도 아닌 일반인이 온 것에 분노하여 쫓아내려 하다가 데우스에 의해 저지된다. 그 후에 아무 말 없이 데우스의 행동을 지켜만 보고 있다가… 결국 본래 사망일보다 1주일 이른 7월 21일에 데우스의 몸이 전부 붕괴되어 사라지자, 독단으로 데우스의 핵을 남겨서 연명시킨다. 죽은 데우스의 핵이 "어째서 나의 하인이면서 복종하지 않는 것이냐"[* 그러나 12권에서 데우스는 이미 무르무르가 '''1주째의 무르무르'''라는 것을 알고 있었다는 것이 밝혀진다. 이것이 [[설정오류]]가 되기 때문인지 애니에서는 데우스가 이미 무르무르의 정체를 알고 있으나, 팔찌에 봉인된 힘을 어떻게 평범하게 사용하는지에 대한 의문을 무덤덤하게 말하는 것으로 수정되었다.]라는 말에 '''7월 28일에 모든 것을 알게 될 것'''이라고 말하며 데우스의 왕관을 쓰며, [[파일:7vJYz9D.png]] [[파일:NK1HdeH.png]] '''2주차의 신으로 등극했다.'''[* 정확히 말하면 남아있던 데우스의 핵을 이용한 일시적인 위치라 완전한 신은 아니다.] 그리고 7월 28일이 되자 유노를 2주차의 신으로 선언한 뒤 유노와 함께 3주차 세계로 가며 그녀와 함께 행동한다. 이 무르무르의 정체는 바로 가사이 유노가 왔던 '''1주차 세계'''의 무르무르. 1주차의 신이 된 가사이 유노와 함께 타임 리프를 하여, 현 작품 배경인 2주차 세계의 무르무르를 봉인시키고 자신이 2주차 세계의 무르무르로 활동해왔던 것. 또한 1주차 유노에게 살해된 2주차 유노의 인과율을 1주차의 유노로 바꿔치기했다. 따라서 이미 1주차에서 신이 된 가사이 유노의 시종인 것이다. 설정구멍으로 여겨지긴 하지만, 일단 작중 내용만 보면 당장 신이 아니게 된 유노보단 데우스 쪽이 주인으로서의 지배력은 더 위인 것으로 보이므로 타임 리프를 한 시점에서 무르무르가 구태여 유노의 편을 들 의무는 없었을 텐데도 1주차나 2주차의 세계를 재생시키려 하지 않고 굳이 유노의 무한루프에 협조한 의도는 애매하다. 기타 무르무르들이 대체로 이쪽처럼 사고를 치기보단 자기 주인에게 고분고분한 행동을 취한다는 걸 볼 때[* 2주차 무르무르는 1만년 간 따분한 무의 세계를 내버려두는 유키테루에게 투덜거리면서도 연애감정과는 다르지만 그를 좋아한다고 밝혔으며, 3주차 무르무르는 오히려 데우스 이상으로 1주차 무르무르의 재암약을 경계했다.] 사역마로서 주인에 대한 본인 나름의 충성이었을지도 모른다. 여담으로 2주차의 무르무르가 등장할 때 이마에 숫자 2가 새겨진 상태다. 이제까지 나오던 무르무르는 데우스의 왕관을 가로채는 순간 이마에 십자 반창고를 붙였는데, 이걸 떼어내니 '''1'''자가 드러난다. 신이 된 자와 그 시종은 자신이 속한 곳과는 다른 세계로 떠나지 못한다는 설정이 있다. 이는 신이 다른 세계로 떠나면 떠나기 전의 세계가 소멸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1주차 무르무르는 1주차에서는 1주차의 신이 된 유노의 몸종으로써, 2주차에서는 2주차의 신으로써 유노와 두 번이나 세계를 넘나들었다. 이로 인해 1주차의 세계는 소멸했고, 2주차의 세계도 2주차 무르무르가 신이 된 유키테루를 즉시 강제 귀환시키지 않았으면 그대로 사라질 뻔했다. 마지막권의 권말 코너에선 평행세계의 무르무르들이 떼거지로 3회차의 인과율의 성당에 놀러가기도 하는데 개그성 번외편이니 진지하게 받아들일 건 없을 듯. 아무튼 1주차에서 넘어온 무르무르는 막판에 유노에 의해 봉인된 힘을 해방하면서까지 9th와 격투를 벌이고 결국 제압하는 등[* 이때 본체로 추정되는 마수같은 이미지가 나온다. 또한 애니판에서는 원작의 빈약한 힘의 해방 부분도 보완되어 그야말로 원작의 장면을 초월한 무시무시한 힘을 보여준다.] 상당한 활약을 보인다. 그러나 구에 갇혀있던 2주차 무르무르가 유키의 탈출로 인해 함께 해방되면서 자기 자신과 대치 상황에 놓인다. 막판에 1주차 유노가 자살로 [[리타이어]]하면서 1주차 무르무르는 3주차의 세계에 남게 된다. 그 후 어째서인지 3주차 유노의 핸드폰 열쇠고리로 생활하게 되었다. 한편 2주차 무르무르는 신이 된 유키테루와 함께 2주차의 멸망한 세계로 넘어가 1만년이나 따분하게 시간을 죽이다가 3주차 유노에 의해 2주차 세계의 벽이 허물어지면서 유키테루와 함께 3주차로 넘어간다.[* 애니에서는 단지 휴대폰 문자가 바뀌는 장면을 비추며 망치로 부수는 소리가 들리고 무의 세계에 빛이 내리쬐는 것으로 끝났다. 애니의 무르무르가 유키테루와 함께 3주차로 넘어갔는지는 불명.] 이걸로 활약 종결. 참고로 2주차 무르무르는 최종화와 리다이얼 외에 본편 22화 뒷이야기에도 나온다. (물론 명시적으로 보여주지는 않으나 작중 시간상을 고려해 볼 때 2주차일 수 밖에 없다). 결국 2주차의 최종 승자를 두고 벌인 데우스와의 내기는 패배한 셈이 되었다. 미래일기 패러독스에서는 데우스조차 모르는 미래일기 레이스의 전개를 이미 다 꿰뚫고 있는데다가 묘하게 데우스에게 무언가를 숨기고 있는 이상한 모습을 보여주어 아키세가 그녀를 의심하는 계기를 제공한다. 자신이 도와줬던 [[호죠 레이스케|5th]], [[카스가노 츠바키|6th]], [[미카미 아이|7th]]의 도움으로 무르무르의 기억에 들어간 아키세는 유노의 집에서 '''죽어있는 유노의 시체와 또 한 명의 유노에게 신이 되라고 말하는 무르무르를 보지만''' 그와 동시에 찔렸던 망각의 칼의 힘으로 기억이 지워져서 없었던 일이 되었다. 일단 정규 스토리의 일부이긴 한 건지 아키세가 인과율의 성당에 들어오자 '또' 인간 주제에 신의 영역을 침범한다며 노발대발하기도 한다. [[미래일기 리다이얼]]에서는 1주차 세계의 무르무르가 죽은 유노의 기억을 수정으로 만들면서 재기를 도모하였지만, 직후 나타난 3주차 무르무르에게 구속당해 2년 동안 유폐당한다. 그 동안 유노의 기억을 품고있으면서 가사이 유노가 '그'에 대해 떠올려 자신을 찾아오기를 기다리고 있었다. 2년간의 유폐동안 품어왔던 유노의 기억이 무르무르에게 흘러들어가 공명을 일으키면서 성격이 꽤나 유순해진 상태.[* 머리카락 색까지 유노와 같은 분홍색이 되어있는 모습으로 나온다.] 3주차 세계의 자신에게 봉인당하기 직전 분신을 만들어 유노에게 보내고 자신은 유노의 기억을 품은 채 계속 유노를 기다려왔다. 그리고 울면서 사과와 함께 기억을 넘겨줘 [[아마노 유키테루]]와 만날 수 있도록 했다. 이후 [[데우스 엑스 마키나(미래일기)|데우스]], [[미네네]], 3주차의 무르무르와 함께 유키테루와 유노의 재회를 지켜본다. == 기타 == * '''[[미래일기 패러독스]]'''에서는 떡방아 찧다가 실수로 인과율을 박살, '''가사이 유노의 존재 자체를 소멸'''시켜버리는 일을 저지른다. 거기다 실수로 유키테루가 3rd에게 칼을 찔리기까지 하는데, 결국 [[아키세 아루]]와 협력하여 1st & 2nd 대역으로 인과율 수복에 나서는 게 주 내용이 된다. * 여담으로 [[아마가미]]를 플레이하는 듯하다. (작중에서는 마마가미로 패러디되었다.) [[가정교육을 판타지로 받았다|남녀관계를 이 걸로 배웠으며]] 유노에게 남자와 여자에 대해서는 꽤 일가견이 있다고 하기도 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무르무르, version=144, paragraph=2.5)] [[분류:미래일기/등장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