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독주곡]][[분류:더뮤지션/수록곡]][[분류:DEEMO II/수록곡]] [목차] || [youtube(Vg0dG6pIs2Y)] || || [[데이비드 가렛]]의 연주 || || [youtube(hsJdLv38fy8)] || || [[막심 벤게로프]]의 연주[* 제9변주(무지막지한 왼손 피치카토로 구성된 변주)가 끝났을 때 사람들이 별안간 웃어대는 걸 볼 수 있다. 이 변주의 맨 마지막 피치카토는 매우 강렬하고 화끈하게 내는 것이 보통인데, 특이하게도 벤게로프는 농담인 양 아주 살살 튕겼기 때문에 이런 반응이 나온 것이다.] || == 개요 == [[니콜로 파가니니]](Nicolo Paganini) 가 만든 24개의 무반주 바이올린 카프리스 중에서 마지막 곡이다. 광고용으로 주로 쓰인 적이 많아서 24개의 카프리스 중 가장 높은 인지도를 자랑한다. 입시생들의 경우에는 거의 사실상 성지순례--(...)--하는 기본으로 연주해야 하는 곡 중의 하나이다.[* 바이올린에서 사용되는 대부분의 최상급 기교들의 모음집같은 곡이기 때문이다.]하나의 주제와 그에 대한 12개의 변주, 그리고 짧은 코드로 이루어져 있고, 각 변주마다 대표하는 기교가 있다. 그리고 이 곡이 "단순한 주제와 그걸 응용한 기교의 총 모음집"이란 점에서 후대 작곡가들에 의해 편곡이 자주 되었다. [[프란츠 리스트]]의 [[파가니니 대연습곡]] 6번, [[요하네스 브람스]]의 [[파가니니 주제에 의한 변주곡]],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의 [[파가니니 주제에 의한 광시곡]], [[비톨트 루토스와프스키]]의 파가니니 변주곡이 그 예. 대연습곡은 24번의 바이올린 기교를 피아노로 재현하고자 하는 노력, 주제에 의한 변주곡은 피아노 기교의 극한, 주제에 의한 광시곡은 협주곡 양식으로 된 변주의 아름다운 조화가 특징이다. 영화 [[친절한 금자씨]]의 OST에서 "마녀 이금자"라는 곡명으로 수록되었다. == 구성 == === 주제 === [[파일:theme.png]] 주제. 가장 많이 접해봤을 만한 멜로디이다. === 제1변주 === [[파일:var1.png]] 빠른 속도로 내려오는 세개로 쪼개진 하행하는 아르페지오를 플라잉 스타카토(윗활을 사용하며 튕기는 주법) 을 이용하여 내려오는 식으로 연주된다. === 제2변주 === [[파일:var2.png]] 활을 빠르게 왕복하는 기교[* String Crossings이라고 한다.]를 이용한 반음계. 쫒고 쫒기는 상황을 연상하게 한다. === 제3변주 === [[파일:var3.png]] 핑거 옥타브[* 원래 옥타브는 1,4번 손가락으로 집지만, 이는 1,3번 또는 2,4번으로 집는다--대충 손 찢어진다는 소리--]를 이용한 느린 멜로디이다. 그리고 칸타빌레(노래하듯이기에 자연스럽고 부드러운 연주가 요구되는 부분이다.) === 제4변주 === [[파일:var4.png]] 반음계이나, 매우 빠른 속도로 이동하고, 동시에 음높이가 매우 높아 음간 간격이 좁다. 실이 내려오는 듯한 느낌을 준다. === 제5변주 === [[파일:var5.png]] 저음과 고음을 번갈아 연주하며, 고음부에서는 화려한 옥타브--(...)--가 계속된다. 가장 어려운 변주 중의 하나. === 제6변주 === [[파일:var6.png]] --더블 스탑[* 두개의 현을 한번에 연주하여 화음을 내는 것] 끝판왕-- 처음에는 하행하는 3도 멜로디로 시작하나, 그 이후로 10도(!)[* 바이올린에서 평균적인 사람 손크기 기준으로 가장 넓게 집을 수 있는 화음의 한계이다]의 상행하는 스케일이 시작된다. 손가락이 짧은 연주자들에게는 고역. === 제7변주 === [[파일:var7.png]] 전체적으로 당나귀가 뛰노는 느낌이다. 뒷부분에서 활을 G현과 E현[* 가장 왼쪽과 오른쪽 현]을 번갈아 가면서 연주하는데, 상당히 소리가 뭉개질 수 있다. === 제8변주 === [[파일:var8.png]] --???-- 화려한 트리플 스타핑[* 세개의 줄을 한번에 긋는 것]을 요구하는 코드들의 연속이다. 가장 화려하고 인상깊은 변주중의 하나이다. 그리고 24번중 가장 힘차고 강하게 연주해야되며 이 부분을 연습하다가 현이 끊어지는 경우도 가끔있다. === 제9변주 === [[파일:var9.png]] 가장 파가니니의 비르투오소적인 부분이 드러나는 변주. 왼손 피치카토[* 말 그대로 오른손의 도움없이 왼손만으로 음을 집고 튕기고를 동시에 한다.]를 이렇게 화려하게 하는 곡도 없을 정도로 어마어마한 양의 왼손 피치카토를 수행해야 한다. === 제10변주 === [[파일:var10.png]] 고음부의 인공 하모닉스[* 1번 손가락으로 배음시키고 싶은 음을 짚은 뒤, 그에 대해 정확히 4도인 곳은 짚어 그 원래의 음을 음소거 시키고 나는 배음만을 연주하는 것(대략 2옥타브 정도 올라간다).]를 해야한다. === 제11변주 === [[파일:var11-1.png]][* 제11변주의 마지막 4마디는 제12변주 문단에서 볼 수 있다.] 웅장한 코드 4번 이후로 빠르게 상행하는 아르페지오가 반복해서 나타난다. 거의 4옥타브나 되는 간격을 이동한다. === 제12변주 및 코다 === [[파일:var11-2.png]][* 5번째 마디부터 제12변주이며, 장조로 바뀌는 곳부터 코다이다.] 마지막 변주, 즉 피날레인 제12변주는 빠른 아르페지오 패시지를 사용하며, 곡은 장조(피카르디 3도)의 코다를 통해 막을 내린다. == 리듬게임 수록 == === [[더뮤지션]] === [youtube(tL99Y_NGmLA)] '''AP 영상.''' 플레이어는 29600. ||<-3> 노트 1개당 점수 || 순서 || 최대 피버 시간(초) / 점수(점) || || 구분 || 일반 상태 || 피버 상태 || 1 || 8.35 / 53,400 || || 일반 노트 || 1,500 || 2,200 || 2 || 9.04 / '''73,100''' || || 드래그 노트 || 900 || 1,300 || 3 || 9.82 / 65,200 || || 롱 노트 || 2,300 || 3,400 || 4 || 10.00 / 27,400 || ||<-4> 최대 획득 가능 점수 (보너스 제외) || 1,134,500 || ||<-4> 격렬하게 보너스 최대 점수 || 64,000 || 드물게도 더뮤지션에서 "24개의 카프리스 24번 A단조 1번"이라는 이름으로 테마~제2변주가 한 묶음으로 등장한다. 매우 빠르게 고밀도로 폭타로 내려오기 때문에 AP 달성이 어려운 편이다. === [anchor(D2)][[DEEMO II]] === [include(틀:DEEMO II/클래식03 - 바래지 않는 찬란한 빛)] ==== 채보 ==== ||<-4>
'''Liszt - Paganini Etude 6''' || ||<-4> [[파일:DEEMO II Liszt paganini etude 6.webp|width=240]] || || 피아노 ||<-3> Yi-Chen Feng || || BPM ||<-3> ? || || 난이도 || '''{{{#fff,#333 Easy}}}''' || '''{{{#fff,#333 Normal}}}''' || '''{{{#fff,#333 Hard}}}''' || || 레벨 || 4 || 7 || 9 || || 노트 수 || 438 || 814 || 1061 || ||<-2>
'''해금 조건''' || || '''Easy''' ||<|3> [[DEEMO II/이벤트|이벤트]] '【청록의 새싹】 피아노 콩쿠르'[* 2022년 9월 28일부터 2022년 10월 12일까지 진행]에서 음색의 포톤 750개 수집[br]또는 [[DEEMO II/상점#세월의 축음기|상점 - 세월의 축음기]]에서 구매 || || '''Normal''' || || '''Hard''' || ===== Easy ===== ===== Normal ===== ===== Hard ===== [youtube(99zDlH0MaEM)] AC 영상. 플레이어는 PunjiThePlayer. ==== 기타 ==== == 여담 == [youtube(PpU6jOgCoGg)] 비톨트 루토스와프스키가 작곡한 변주곡인데, 형식 및 선율은 원곡과 크게 차이나지 않으나 제12변주가 길게 늘어나 있으며 처음의 주제를 장대하게 재현시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