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youtube(fdtDDZS-0gM)] [[이작 펄만]]의 연주. 이탈리아의 작곡가 [[니콜로 파가니니]]가 작곡한 바이올린 독주를 위한 연습곡으로, 당시의 바이올리니스트들이 입을 모아서 이런 어려운 곡을 어떻게 연주하냐고 했을 정도이며, 전공생이라면 피할 수 없는 곡들 중 하나이기도 하다. 24번이 가장 유명하며, 5번이나 1번도 그럭저럭 잘 알려져 있다. 후대 작곡가들이 카프리스 전부 또는 일부를 편곡한 작품이 많은데, 대표적으로는 프란츠 리스트가 이를 바탕으로 '파가니니에 의한 초절기교 연습곡' 및 이를 개정한 '[[파가니니 대연습곡]]'을 출판했다. [[슈만]]도 이 곡들 중 6곡을 바탕으로 연습곡을 작곡한 적이 있으며, 멘델스존, 슈만, 시마노프스키 등이 곡들 중 일부를 위한 피아노 반주를 작곡하기도 했다. == 1번 Andante E장조 == ricochet 주법을 위한 연습으로, 네 현을 넘나드는 아르페지오와 불편한 손모양으로 인해 1번이지만, 매우 어렵다. == 2번 Moderato B단조 == string crossings을 위한 연습으로, 뒤로 갈수록 음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며 점점 음정을 정확하게 잡기가 어려워진다. == 3번 Sostenuto E단조 == 옥타브를 위한 연습곡으로, 매우 높은 포지션과 옥타브 트릴 때문에 난이도는 꽤나 있다. == 4번 Maestoso C단조 == 3도를 위한 연습곡이다. == 5번 Agitato A단조 == 아르페지오, 그리고 ricochet를 위한 연습곡으로, 작곡가의 bowing을 사용하면, 난이도가 거의 3배로 올라간다. == 6번 Lento G단조 == 트레몰로를 위한 곡으로, 불편한 손 위치 때문에 (24곡 중에서는 무난하지만) 난이도가 꽤 높다. == 7번 Posato A단조 == 스타카토와 아르페지오를 위한 곡이다. == 8번 Maestoso Eb장조 == 다성부 연주를 위한 곡이다. == 9번 Allegretto E장조 == "사냥"이라는 별칭이 있고, 높은 현들에서는 플룻을, 낮은 현들에서는 호른을 모방하고 있는데, 같은 3도 연습곡인 4번과 비교했을 때 훨씬 난이도가 낮다. == 10번 Vivace G단조 == upbow staccato를 위한 곡으로, 빠른 템포에만 적응하면 난이도는 24곡 중에서는 적당하다. == 11번 Andante C장조 == 다성부를 위한 연습인데, 매우 낮은 음과 높은 음을 번갈아가며 연주하는 것이 특징이다. == 12번 Allegro Ab장조 == 줄바꿈 연습으로, 나중에 가면 매우 긴 거리를 왔다갔다 해야 하는 곡이다. == 13번 Allegro Bb장조 == "악마의 웃음"이라는 별칭이 있는데, 난이도는 24곡 중 가장 낮다(?!). 화음, 줄바꿈을 위한 곡. == 14번 Moderato Eb장조 == 팡파르 같은 곡으로, 화음을 위한 연습곡으로, 난이도는 13번, 9번과 더불어 가장 낮다. == 15번 Posato A단조 == 옥타브, upbow staccato를 위한 곡이다. == 16번 Presto G단조 == 9, 13, 14번과 함께 무난한 난이도를 가지고 있다. == 17번 Sostenuto Eb장조 == 더블스탑, 옥타브를 위한 곡으로, 특히 중간의 옥타브가 매우 까다롭다. == 18번 Corrente-Allegro C장조 == G현의 높은 포지션에서의 연주, 그리고 3도를 위한 곡이다. == 19번 Lento-Allegro assai Eb장조 == 스타카토를 위한 연습곡이다. == 20번 Allegretto D장조 == D현과 동시에 A현에서 매우 높은 음역대를 연주해야 하는 곡이다. == 21번 Amoroso-Presto A장조 == 6도를 위한 곡이다. == 22번 Marcato F장조 == 더블 스탑, 트리플 스탑, 그리고 여러가지 주법을 연습하는 곡이다. == 23번 Posato Eb장조 == 옥타브와 줄바꿈을 위한 곡이다. == 24번 Quasi Presto A단조 == [[무반주 바이올린을 위한 카프리스 24번(파가니니)]] 참고. == 여담 == [[분류:음악]][[분류:독주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