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nclude(틀:북한의 일반철도 노선)] == 개요 == [[고무산역]]과 [[무산역]]을 잇는 산업철도. 연장길이 57.9km. 평균 역간 거리는 4.83km로 짧은 편이다. 주 목적은 무산에서 생산되는 철을 수송하기 위한 것이며, 이 때문에 무산광산부터 고무산역에 이르기까지 거의 대부분의 구간이 '''[[복선]]'''[[전기철도|전철]]화되어 있다([[철송청년역]]부터 [[무산역]]까지는 단선). 산업 철도로서의 용도도 중요하지만, 하필 무산읍이 아예 중국에 붙어 있는 판이라서(그냥 [[두만강]] 바로 옆이다) 더욱 중요하다. [[2011년]] 연말까지 중국에서 [[무산역]]으로 이어지는 철도를 놓기로 했는데, 목적은 당연히 무산의 철광이다. 덕분에 무역 중개 기지 및 철광으로써 무산의 중요도는 더욱 올라갈 전망이다. 결국 [[2012년]] [[http://www.nocutnews.co.kr/Show.asp?IDX=2312065|공사가 마무리]]되었다는 기사가 났다. 그러나 두만강을 건너는 구간은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3/03/06/2013030600342.html|협상중]]이다. 만약 철도가 이어지면 철광석의 수송뿐 아니라 청진항으로 가는 화물열차가 지나가는 역할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더구나 철의 수요가 단순히 중국뿐만이 아니라 저 아래쪽의 [[김책시]] 김책제철소([[김책역]] 인근), [[청진역]] 인근의 산업공단 등등 수요가 여러 모로 많기 때문에 더욱 중요하다. 괜히 북한에서 복선'''씩이나''' 해 준 게 아니다. 일단 전 구간 표준궤에 전철. 하필이면 [[백무선]]이 [[협궤]]로 건설되었기 때문에 직접적인 연계는 되지 않는 상황이다. 만일 그게 가능했으면 [[혜산]]이나 [[길주]] 등도 꽤나 큰 공업도시로 성장할 수 있었을 것이다. 근데 아무리 협궤 좋아하는 일제였다지만 여기서 백무선을 놓은 일제를 까기는 좀 곤란한 게, 당시의 기술력으로 제대로 된 터널은 어림도 없었고 산간지방의 경사를 극복하는 건 협궤뿐이었다. 아니, 일단 백무선의 [[북계수역]]이 해발 '''1,715m'''로 가장 높다. 여하간 백무선이 광궤로 개궤되지 않았음에도 여러 모로 철광 하나 덕에 비싼 몸이 되신 노선 되겠다. 참고로 무산선에는 무산이라는 지명이 여러 곳에 붙는데, 당연하게도 무산빼고는 해당 노선의 가치가 없기 때문이다. 더 놀라운 것은 무산으로 끝나는 곳만 [[고무산역]], [[폐무산역]], [[무산역]]으로 3곳이라는 점이다. 이렇게 된 이유는 무산의 위치가 2번이나 이동하면서 만들어진 것이기 때문이다. 세종 때 육진을 개척할 당시까지도 이곳에는 여전히 여진족이 살고 있어 조선의 행정력이 완전히 미치지 못하였다. 그리하여 1438년(세종 20) 인접지인 부령군 관내 지금의 고무산에 만호진을 두었으며, 1509년(중종 4) 그 서쪽 지금의 폐무산으로 진을 옮겨 첨사진(僉使鎭)으로 승격시켰다가, 1674년(현종 15)에 이르러 다시 지금의 군청 소재지인 삼봉평(三峯坪)에 진을 옮겨, 비로소 무산이라 한 것이다. 이 과정에서 고무산 지역은 6진인 부령에 가장 가깝기 때문에 진의 이동과는 관계없이 거주민이 가장 많았으므로 고(古)자를 추가해서 고무산이라고 지정했으며, 폐무산지역도 그냥 포기할 수 없기에 폐무산진을 따로 만든것. 그래서 일반 지역 명칭엔 한자 뜻상 거의 붙지 않는 폐(廢)자가 붙게 된 것이다. 당연히 무산 지역은 최후로 무산진이 정착해서 그냥 무산이라고 지정했다. [[나무위키]]에는 [[2011년]] [[11월 12일]] 전 역에 대한 노선이 작성되었다. == 역 목록 == 두음법칙을 인정하지 않는 [[문화어]] 규정에 따라 적었다. |||||||||||||||| '''무산선 역 목록''' || |||| 역 명 || 역간거리 || 기점거리 || 구 역명 || 분기노선 || 비고 || 소재지 || || [[고무산역|고무산]] || 古茂山 || 0.0 || 0.0 || || [[함북선]] || ||<|5><:><#ffffc0> 함북 부령군 || || [[서상역|서 상]] || 西 上 || 4.2 || 4.2 || || || || || [[무수역|무 수]] || 舞 袖 || 4.7 || 8.9 || || || || || [[폐무산역|폐무산]] || 廢茂山 || 5.6 || 14.5 || || || || || [[차령역|차 령]] || 車 嶺 || 4.4 || 18.9 || || || || || [[금패역|금 패]] || 金 牌 || 3.7 || 22.6 || || || ||<|8><:> 함북 무산군 || || [[신참역|신 참]] || 新 站 || 11.0 || 33.6 || || || || || [[서풍산역|서풍산]] || 西豊山 || 5.8 || 39.4 || || || || || [[주초역|주 초]] || 朱 草 || 6.3 || 45.7 || || || || || [[새길역|새 길]] || - || 1.8 || 47.5 || || || || || [[철송청년역|철송청년]] || 鐵松靑年 || 4.5 || 50.5 || 진화(Jinhwa / 珍貨) || || || || [[무산철산역|무산철산]] || 茂山鐵山 || 3.8 || 54.3 || || || || || [[무산역|무 산]] || 茂 山 || 3.6 || 57.9 || || [[백무선]] || || [[분류:무산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