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방송ㆍ무선 분야 자격증)] |||| {{{+2 {{{#FFFFFF '''무선설비기능사'''}}}}}}[br]{{{+2 {{{#FFFFFF '''無線設備技能士'''}}}}}}[br]{{{#FFFFFF '''Craftsman Radio Telecommunication Equipment'''}}} || || 관련부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 시행기관 ||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 [목차] == 개요 ==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에서 주관하는 방송, 무선 관련 자격증. 주로 공업계 특성화 고등학교의 전자, 정보, 통신 관련학과 학생들이 많이 딴다. 주로 연 2회, 1회와 4회에 시험을 친다. == 상세 == 무선통신에 관한 공학적 이론지식 또는 기술을 바탕으로 각종 무선설비에 관한 설계·감리·시공 및 분석 등 기술업무를 수행하고 무선설비 기술기준 및 안전시설기준을 통해 전파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게 하는 직무를 수행하는 자격증이다. == 시험 구성 == === 필기 === 1과목 전기전자개론 2과목 컴퓨터일반 3과목 무선통신일반 4과목 무선설비기준 시험지가 거대한 종이로 이루어져 있으며 OMR마킹으로 답을 제출한다. 덕분에 시험 비용은 큐넷 관할의 시험보다 조금 더 싸다. cbt방식의 필기시험과는 다르게 일정시간이 지난 후에 시험장에서 나갈 수 있다. 시험지는 들고 나갈 수 있다. OMR방식으로 채점하는 관계로 점수는 꽤나 시간이 지난 후에 공개된다. 하지만 시험일 저녁에 가답안이 며칠정도 공개된다. 현재는 CBT방식으로 바뀌었다. === 실기 === 회로조립과 측정이 있다.회로들은 공개문제를 참고하면 된다. 전자기기기능사보다 조금 더 쉬운 수준의 오실로스코프 파형측정이 있다. 파형을 그리고 Vpp값이나 주파수 등을 적어야 한다. 회로조립의 경우 납땜이다. 특이하게도 추가시간이 존재하며 '동작의 부분점수'가 있다. 따라서 완전동작이 아니더라도 전자기기능사처럼 0점을 주진 않는다. [[분류:기능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