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속성)] [목차] == 개요 == 無屬性 판타지 등의 대중 매체에 등장하는 속성의 일종. 언어를 그대로 풀이하면 '속성이 없음'을 뜻한다. [[원소설]]의 [[에테르]] 역시 무속성이라 할 수 있다. 현대 창작물에서 본격적으로 무속성이 처음 등장한 것은 [[던전 앤 드래곤 시리즈]]의 [[포스(던전 앤 드래곤 시리즈)|포스]]라고 할 수 있다. 게임 등의 매체에서 무속성은 순수한 [[에너지]]를 활용하는 형태로 등장하는 경우가 많다. [[워크래프트 시리즈]]의 [[비전 마법]]이 대표적이다. 그 외에 물리 속성을 무속성으로 취급하는 경우도 있다. == 특징 == 말 그대로 속성이 없기 때문에 공격 시 모든 속성에게 동등한 피해를 입히고, 방어 시 모든 속성에게 동등한 피해를 받는다. 이 부분은 장점이 될 수도 있고 단점이 될 수도 있는 부분으로, 모든 속성에 저항을 가진 상대에게 쉽게 피해를 주거나 웬만한 속성들의 공격에 약점을 찔리지 않는다. 거꾸로 특정 속성에 약한 상대에게 쉽게 대미지를 주기 어려우며 특정 속성에는 피해량 자체는 변함이 없을지라도 부가효과를 쉽게 받기도 한다. 일부 매체에서는 특정한 속성 자체를 무속성의 일부로 정의하기도 하고, 반대로 이 무속성을 속성 중의 하나로 취급하기도 한다. [[원소설]]의 제5원소인 [[에테르]]에서 유래된 속성이다. 4대 원소 속성이 마법과 같은 초자연적 현상에 의해 발현되는 창작물의 경우 [[물리(동음이의어)#s-3]]로 구분하고 주로 저런 마법과 상관없는 육체파 클래스들이 이 속성을 가지고 있다고 묘사하기도 한다. 정반대로 4대 원소도 아니지만 법사 계열만이 쓸 수 있는, 마법 그 자체나 다름없는 속성이 정반대의 위치에 놓이게 된다. 대표적인 예로 [[비전]]이 있으며, 라그나로크 온라인에서는 염속성이라는 속성이 이 무속성과 정반대의 위치에 있어서 무속성으로는 데미지가 잘 안박힌다. 일부 메체, 특히 대부분의 [[일본식 이세계물]]에서는 다른 속성과 엮이지 않는 상위 속성으로 등장한다. 이는 무속성과 대응되는 [[허무의 마법]]이 상위 속성으로 등장하는 [[제로의 사역마]]의 영향으로 추정된다. [[근원]]이나 [[공허]], [[허무]], [[창조]]와 [[소멸]]등. 그외에도 모든속성을 합쳐서 생겨나거나 [[이능력 무효화]]등의 메타 능력과 엮이기도 한다. == 각 매체에서의 취급 == === [[던전 앤 드래곤 시리즈|Dungeons & Dragons]] ([[TRPG]]) === 무속성의 시조. [[포스(던전 앤 드래곤 시리즈)|포스 속성]] 항목 참조. === [[에우슈리]]의 세계관인 [[디르=리피나]] === 원래 '''만능''' 속성이 있었으나, 만능이 초기작 이후 거듭된 너프로 몰락하고 [[전여신 VERITA]]부터 등장한 뒤로는 무속성이 만능의 포지션을 사실상 가져갔다. 데미지 및 방어 배율이 너프당하고 아예 '''반만능'''이라는 하드 카운터 방어속성이 등장한 뒤로는 초반에만 잠깐 쓰는 만능속성의 상위호환으로, 공격 및 방어속성이 아주 무난해서 중후반 속성세팅을 고민하지 않게 해주는 일등공신. 일부 극소수 속성퍼즐 던전들을 제외하면 그냥 무속성으로 장비세팅을 해주면 된다. 실제로도 모든 직업군 및 캐릭터들의 최종장비는 대개 무속성인 경우가 많다. === [[워크래프트 시리즈]], [[디아블로 시리즈]] === [[비전 마법]] 항목 참조. === [[이나즈마 일레븐]] === 패시브 스킬로 취급되며, 속성 효과가 전부 무효화된다. [[속성강화]]에 당하지 않기 위해 달아주는 경우도 종종 보인다. 참고로 속성 일치시 위력 보너스도 무시하기에 능력치가 좋고 강력한 기술을 가지고 있지만 속성 불일치인 선수와 궁합이 좋다. 예로 [[후도 아키오]], 2편과 3편의 [[제우스 중학교]] 버전 [[아후로 테루미]], [[버덥 스리드]], [[로코코 울파]], 스카우트 캐릭터 백호, [[라이몬 나츠미]], [[천공의 사도]] 팀의 [[네넬]], [[더 제네시스]]의 게일, [[오르페우스]]의 갓츠 등이 있다. 특히 골키퍼들은 어떠한 스트라이커에게도 안정적인 위력으로 대항 가능하기에 무속성의 가치가 더욱 높다. [[다크 엠퍼러즈]] 버전 [[스기모리 타케시]]도 자주 채용하는 패시브스킬. [[이나즈마 일레븐 GO]] 시리즈 부터는 이 패시브 스킬이 사라지고 무속성 스킬이 생겨났다. 크로노 스톤까지만 해도 속성에 상관없이 안정적인 화력을 낼 수 있었기에 나름 수요가 있었지만, [[이나즈마 일레븐 GO 갤럭시|갤럭시]]에서 속성 보너스가 강화되어 자신의 반대 속성 기술을 채용하여 자신의 약점 속성을 견제하는게 오히려 효율적이게 되어 무속성 스킬 전체가 버려졌다. === [[여신전생 시리즈]] === 만능 속성인 [[메기도 계열]]이 유서 깊은 무속성 역할이다. 해당 항목 참조. 당연히 [[페르소나 시리즈]]에도 나온다. === [[파이널 판타지 시리즈]] === [[파이널 판타지]]부터 나온 [[플레어(파이널 판타지 시리즈)|플레어]]와 [[홀리]] 주문이 당시엔 무속성으로 데뷔했다. 이후 전자는 [[MMORPG]]인 [[파이널 판타지 XI]]과 [[파이널 판타지 XIV|XIV 계열]]에서 자주 화염 속성으로 바뀌고, 후자는 성속성이 구현되는 작품에서 해당 속성이 된다. 물론 제일 유명한 파판 무속성 주문들은 [[파이널 판타지 II]]부터 나온 [[알테마]]와 [[파이널 판타지 III]]부터 나온 [[메테오]]다. === [[포켓몬스터]] === [[??? 타입]]이 무속성으로 취급되며, 이 속성의 공격은 모든 타입에게 1배의 대미지를 주고, 반대로 해당 속성의 포켓몬은 모든 속성의 대미지를 1배로 받는다. 작중에서 이 속성을 가진 기술은 [[저주(포켓몬스터)|저주]] 하나 뿐이었으나 5세대에서는 고스트 타입으로 변경되었고, 따라서 7세대 기준 해당 속성을 가진 기술은 없다. 한편 7세대에서 새로 추가된 [[불사르기]]를 사용한 포켓몬은 불 속성이 지워지며, 순수 불 타입이 해당 기술을 사용했을 경우 이 ??? 속성으로 변경되어 모든 기술의 대미지를 1배로 받는 대신 자속보정을 받을 수 없다. [[노말 타입]]은 무속성으로 취급되기 쉬우나, 격투 타입 기술에 아프게 맞고 바위/강철 타입에 기술이 잘 안 박히고 고스트 타입과 서로 무효화하는 등 다른 타입들과 마찬가지로 상성표에 얽혀있다. === [[제로의 사역마]] === [[허무의 마법]]이 무속성 마법이다. 설정상 전설의 마법이며 모든 속성의 상위 속성처럼 묘사된다. [[일본식 이세계물]]에 등장하는 무속성 마법 설정의 실질적인 원형이 된 작품. === 무속성 관련 캐릭터 === * [[가즈 나이트]] - [[리오 스나이퍼]] * [[고대왕자 공룡킹]] - [[타페야라(고대왕자 공룡킹)|타페야라]], [[벨로키랍토르(고대왕자 공룡킹)|벨로키랍토르]] 등 * [[금색의 문자술사]] - [[히이로 오카무라]]등 * [[나루토]] - [[쿠라마(나루토)]][* 다른 미수들과 달리 고유 속성이 없다고 한다. ] * [[대현자의 애제자 ~방어 마법의 사용 방법~ ]] - 리스 로비스 * [[데이트 어 라이브]] - [[타카미야 미오]]의 무의 천사 아인 * [[몬스터 헌터 시리즈]] - [[오마 디아블로스]] * [[신드로이아 연대기]] - [[동수(D.I.O)|랜슬롯]], 창조와 소멸 시조(始祖), [[레이그란츠 더 페시리온]][* 12개의 기본속성력과 시(時), 공(空)에 무(無)속성을 다룬다고 한다.] * [[슈팅 바쿠간]] - [[와이번(슈팅 바쿠간)|와이번]], [[네거]] 등 백색일족 * [[실은 나, 최강이었다?]] - 하루토 젠피스 * [[슬레이어즈]] - [[데이모스 드래곤]] * [[아카데미에 위장취업당했다]] - 리네, 리네의 어머니 * [[아카데미 검은머리 외국인]] - [[쿠로사와 유지]] * [[얼라이브 최종진화적소년]] - 히로세 유이치 * [[월드 티처]] - [[시리우스 티처]], 카렌 * [[애니메이션 아바타 시리즈]] - [[사자거북]], [[아앙]]등 에너지벤딩 사용자 * [[이세계 미궁의 최심부로 향하자]] - [[스노우 워커]], 무의 [[이치를 훔치는 자]]인 셀드라 * [[이세계는 스마트폰과 함께.]] - [[모치즈키 토야]]등 * [[잘 가거라 용생, 어서 와라 인생]] - 요르문간드 * [[제로의 사역마]] - [[루이즈 프랑소와즈 르 블랑 드 라 발리에르]]를 비롯한 [[허무의 사용자와 사역마|허무의 사용자]] * [[최강 마법사의 은둔계획]] - 아르스 레긴 * [[쿠베라(웹툰)]] - [[테오 라칸]], [[카즈 렌]] * [[템빨(소설)]] - [[유라(템빨)#무(無)의 정령왕|무의 정령왕]] * [[파이널 판타지 시리즈]] - [[엑스데스]] * [[Prologue story]] - [[유은하]] * [[TYPE-MOON/세계관]] - [[마토 사쿠라]][* 이쪽은 허], [[플랫 에스카르도스]][* 이쪽은 공. 그러니까 에테르] * [[WIXOSS]] - [[몽한(WIXOSS)|몽한]],[[실 짜는 자(WIXOSS)|실 짜는 자]]등 무색 * [[\컴파스 전투섭리분석시스템]] - [[나니가시]] [[분류:초능력]][[분류:이나즈마 일레븐 시리즈/필살기]][[분류:속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