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포켓몬스터/전설의 포켓몬)] [include(틀:패러독스 포켓몬)] {{{#!wiki style="word-break: keep-all" ||<#3C2D23><-3> {{{#FFFFFF 포켓몬 도감 나열 순서}}} || || [[파일:992MS.png|width=40]] 0992 [[무쇠손]] || [[파일:993MS.png|width=40]] '''0993 {{{#000,#fff 무쇠머리}}}''' || [[파일:994MS.png|width=40]] 0994 [[무쇠독나방]] || ||<#3C2D23><-3> {{{#FFFFFF 지역 도감 나열 순서}}} || ||<^|1><-3>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3>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목록/9세대#팔데아도감 목록|{{{#white 팔데아도감}}}]] || ||<-3>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목록/9세대#팔데아도감(본토)|본토]] || || [[파일:992MS.png|width=40]] 384 [[무쇠손]] || [[파일:993MS.png|width=40]] '''385 {{{#000,#fff 무쇠머리}}}''' || [[파일:994MS.png|width=40]] 386 [[무쇠독나방]] || }}}}}}}}} || }}} ||<#3C2D23> '''{{{+1 {{{#white 정보 내 바로가기}}} }}}''' || || [[#앵커-일러스트|일러스트]][br][[#앵커-기본 정보|기본 정보]][br][[#앵커-특성|특성]][br][[#앵커-세부 정보|세부 정보]][br][[#앵커-유전 정보|유전 정보]][br][[#앵커-모습|모습]][br][[#앵커-방어 상성|방어 상성]][br][[#앵커-종족치|종족치]][br][[#앵커-울음소리|울음소리]][br][[#앵커-도감 설명|도감 설명]][br][[#s-2|skip]] || [목차] [clearfix] == 정보 == [anchor(앵커-일러스트)] || [[파일:993 무쇠머리.png|width=50%]] || || 무쇠머리 || [anchor(앵커-기본 정보)] ||<-3> {{{#FFFFFF 기본 정보}}} || ||<#3C2D23> {{{#FFFFFF 이름}}} ||<#3C2D23> {{{#FFFFFF 도감 번호}}} ||<#3C2D23> [[포켓몬스터/타입|{{{#FFFFFF 타입}}}]] || || [[파일:993MS.png|width=50]][br]'''무쇠머리''' [br] テツノコウベ(테츠노코우베) [br] Iron Jugulis || 전국: 0993[br]팔데아: 385^^본토^^ || [include(틀:악타입)][br][include(틀:비행타입)] || [anchor(앵커-특성)] ||<-2><#3C2D23> [[포켓몬스터/특성|{{{#FFFFFF 특성}}}]] || || [[포켓몬스터/특성/ㅋ#쿼크차지|쿼크차지]] || 부스트에너지를 지니고 있거나 일렉트릭필드일 때 가장 높은 능력치가 상승한다. || [anchor(앵커-세부 정보)] ||<-5> {{{#FFFFFF 세부 정보}}} || ||<#3C2D23> {{{#FFFFFF 포켓몬}}} ||<#3C2D23> {{{#FFFFFF 분류}}} ||<#3C2D23> {{{#FFFFFF 신장}}} ||<#3C2D23> {{{#FFFFFF 체중}}} ||<#3C2D23> {{{#FFFFFF 포획률}}} || || 0993 무쇠머리 || [[패러독스 포켓몬]] || 1.3m || 111.0kg || 30 || [anchor(앵커-유전 정보)] ||<-4> {{{#ffffff 유전 정보}}} || || 성비 || 알 그룹 || 부화 카운트 || 최대 경험치량 || || 무성 || 미발견 || - || 1,250,000 || [anchor(앵커-모습)] ||<#3C2D23><-2> {{{#FFFFFF 모습}}} || ||<#3C2D23> {{{#FFFFFF 모습}}} || [[파일:993.gif|width=90]] [br]0993 무쇠머리 || [anchor(앵커-방어 상성)] ||<-4><#3c2d23> {{{#FFFFFF 방어 상성(특성 미적용)}}} || || {{{#FFFFFF 2배}}} || {{{#FFFFFF 1배}}} || {{{#FFFFFF 0.5배}}} || {{{#FFFFFF 0배}}} || || [include(틀:바위타입)] [include(틀:얼음타입)] [include(틀:전기타입)] [include(틀:페어리타입)] || [include(틀:강철타입)] [include(틀:격투타입)] [include(틀:노말타입)] [include(틀:독타입)] [include(틀:드래곤타입)] [include(틀:물타입)] [include(틀:벌레타입)] [include(틀:불꽃타입)] [include(틀:비행타입)] || [include(틀:고스트타입)] [include(틀:악타입)] [include(틀:풀타입)] || [include(틀:땅타입)] [include(틀:에스퍼타입)] || [anchor(앵커-종족치)] ||<#3C2D23><-8> [[종족치|{{{#FFFFFF 종족치}}}]] || ||<#3C2D23> {{{#FFFFFF 포켓몬}}} ||<#3C2D23> {{{#FFFFFF HP}}} ||<#3C2D23> {{{#FFFFFF 공격}}} ||<#3C2D23> {{{#FFFFFF 방어}}} ||<#3C2D23> {{{#FFFFFF 특수공격}}} ||<#3C2D23> {{{#FFFFFF 특수방어}}} ||<#3C2D23> {{{#FFFFFF 스피드}}} ||<#3C2D23> {{{#FFFFFF 합계}}} || || [[파일:993MS.png|width=50]][br]무쇠머리 || 94 || 80 || 86 || 122 || 80 || 108 || '''570''' || [anchor(앵커-울음소리)] ||<-8> [[울음소리(포켓몬스터)|{{{#FFFFFF 울음소리}}}]] || ||<-2> [[파일:993MS.png|width=50]][br]{{{#FFFFFF 무쇠머리}}} || ||<#ffffff,#000000><-2><:>{{{#!HTML}}}|| [anchor(앵커-도감 설명)] ||<-2><#3C2D23> {{{#white 도감 설명[br]스크롤 압박이 있습니다. 도감 설명을 넘기고 싶으시면 [[#앵커-도감설명 스킵|{{{#white skip}}}]]을 눌러주세요.}}} || ||<-2><#3C2D23> [[파일:993MS.png|width=50]][br]{{{#FFFFFF 0993 무쇠머리}}} || || 스칼렛 ||'''[[이상성욕|로봇과 사랑에 빠진 삼삼드래]]'''의 자식이라며 오컬트 잡지에서 다뤘던 포켓몬을 닮았다. || || 바이올렛 ||오래된 서적에 기록된 "무쇠머리"라는 물체는 이 포켓몬을 말하는 것일지도 모른다. || ||<-2><#3C2D23> [anchor(앵커-도감설명 스킵)] || == 개요 == [[포켓몬스터 스칼렛·바이올렛]]에서 처음 등장한 포켓몬. 다른 시간대에서 현재로 넘어온 포켓몬들인 [[패러독스 포켓몬]]의 일원으로, 미래에서 온 포켓몬이다. [[삼삼드래]]와 매우 흡사한 생김새를 지니고 있다. >기계인가, 포켓몬인가!? >수수께끼의 물체, 무쇠머리! >팔데아 모처에서 목격된 >[[삼삼드래]]를 닮은 위험한 비행 물체. >고출력의 에너지를 발사하여 >건축물을 철저히 파괴하고는, >다음 목표를 찾아 날아갔다고 전해진다. >삼삼드래의 흉포함과 기계의 냉혹함을 >겸비하여, 기계와 삼삼드래의 >혼종이라는 소문도 존재한다. >기서 바이올렛북에 기록된 >수수께끼의 물체가 이름의 유래다. >----- >팔데아 미확인 파일 No.07 == 포획 == 바이올렛 버전에서 등장하며, 더 홈웨이 스토리 진행 중 에리어 제로 최심부에서 간간이 나온다. 제로랩의 게이트를 열었을 때 갇혀 있다가 뛰쳐나오는 패러독스 포켓몬 중 하나로도 등장하며 이 개체는 페퍼와 함께 쓰러뜨리게 된다. 스칼렛 버전에서 이 역할을 하는 포켓몬은 [[무우마]]를 모티브로한 과거 패러독스 포켓몬인 [[날개치는머리]]. 1회차 엔딩 후에는 에리어 제로 관측 유닛 3호 근처 동굴과 최심부에서 자주 등장한다. == 대전 == ||<|3> '''내구력''' || 기준 || H252 || 무보정 || || 물리 내구 ||<)> 51,839 ||<)> 43,586 || || 특수 내구 ||<)> 48,905 ||<)> 41,119 || ||<|3> '''[[결정력|{{{#ffffff 결정력}}}]]''' || 기준: 준보정 || 쿼크차지 || 기본 || || [[폭풍(포켓몬스터)|폭풍]] ||<)> 37,323||<)> 28,710|| || [[악의파동]] ||<)> 27,144||<)> 20,880|| ||<|2> '''스피드[br]실능''' || 기준 || S252 || 무보정 || || 108족 ||<)> 160 [br] ^^최속^^176 ||<)> 128 || 타입은 악/비행. [[돈크로우]]와 [[버랜지나]], 가라르 [[파이어(포켓몬스터)|파이어]], [[이벨타르]], 같은 세대의 [[떨구새]]와 같다. 원본과 비교해 총 종족값은 줄었지만 특공과 스피드 위주로 깔끔하게 분배돼 크게 손해처럼 느껴지진 않을 뿐더러, 삼삼드래가 통수 전략이 아니면 잘 쓰이지 않는 공격에 105나 책정된 탓에 특수형 기준으로 실질적인 종족치 차이는 5 밖에 나지 않는다. 또한 약점의 숫자가 줄어들고 페어리에 입는 데미지도 4배에서 2배로 줄어 4배 약점이 없어졌다. 특히 108의 스피드는 악/비행 타입 중 최고속이며, 애매하게 빠른 삼삼드래에 비해 좀 더 확실하게 선공을 잡을 수 있다. 특공이 122, 스피드가 108이기 때문에 겁쟁이 CS252 기준으로 특공 174, 스피드 176이 되어 부스트에너지 선택시 스피드가 오른다. 따라서 절대적인 선공권을 노리지 않고 겁쟁이 성격에서 쿼크차지로 특공을 올리고 싶다면, 노력치로 스피드를 3 깎아 스피드 106족으로 활용해야 한다. 미래 패러독스 포켓몬이라는 점을 고려해서 만약 삼삼드래와 비슷하게 특공이 124, 126이었다면 특공이 176, 178이 되므로 의도한 듯한 배분. 기술폭은 [[악의파동]]과 [[에어슬래시]], [[폭풍(포켓몬스터)|폭풍]]을 배워 자속 기술을 살리는 데엔 부족함이 없고 스피드가 빨라 해당 기술들의 부가 효과도 잘 받으며, 견제기로 [[불대문자(포켓몬스터)|불대문자]], [[대지의힘]], [[하이드로펌프]], [[기합구슬]]을 배워 테라스탈을 사용하지 않아도 견제 폭이 부족할 염려도 없다. [[러스터캐논]]도 배우니 원종과 마찬가지로 페어리에게도 발악 겸 반격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유턴(포켓몬스터)|유턴]]도 원종과 같이 충실히 습득한다. 이름 때문인지 [[아이언헤드]]도 배우지만 특수형이기 때문에 딱히 기용할 메리트는 없다. 한편 원종은 배우지 못하는 [[탁쳐서떨구기]]를 배워서 통수 겸 교체 견제로 활용할 수도 있지만, [[나쁜음모]], [[스텔스록]]은 배울 수 없다. 미래 패러독스 포켓몬 중 유일하게 땅 타입을 맞지 않아 일렉트릭메이커 특성을 지닌 [[찌르성게]] 등과 보다 유연한 교체 플레이를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부스트에너지나 추억의선물 없이도 좀 더 쉽게 특성을 발동할 수 있어 기술 및 아이템 착용의 자유도를 올릴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장점들이 무색하게 패러독스 포켓몬들 중 [[무쇠가시]] 다음으로 낮은 채용률을 기록 중인데, 결정적인 이유는 '''안정적인 고위력기와 이를 보완해주는 랭크업 기술의 부재'''다. 원종인 삼삼드래는 용성군으로 강력한 딜을 넣으면서 천진막이를 견제하거나 나쁜음모의 랭크업을 통한 폭딜도 가능하지만, 무쇠머리는 위력 100이 넘는 자력기가 명중률 70짜리 폭풍 하나뿐이며 나쁜음모를 배우지 못해서 실질적인 화력은 삼삼드래에 밀린다. 부유 특성 덕에 강철 테라스탈과의 궁합이 좋은 원종과 달리 땅 약점이 생기는 것도 단점이다. 또한 비행 타입을 이용한 격투 포켓몬 견제는 [[날개치는머리]], 풀 / 벌레 견제는 [[무쇠독나방]]이 훨씬 잘 하기 때문에 무쇠머리가 끼어들 자리는 없다. 따지고 보면 드래곤 대신 비행 타입을 얻은 것으로 본 이득은 드래곤과 격투 약점 삭제뿐으로, 공격 면에서는 드래곤이 없어지면서 안정적인 고위력기인 용성군을 압수당한 것이 가장 크고, 방어 상성 면에서도 드래곤의 약점인 페어리, 얼음은 그대로 가지면서 스텔스록에 데미지를 더 크게 받으며, 원종은 반감하던 전기 기술도 약점으로 받게 되었다. 불꽃과 물 기술 반감이 사라진 것도 마이너스 포인트. 심지어 배울 수 있는 변화기도 한정적인데, 원종이 신규 습득한 스텔스록을 못 배우는데다가 로봇 컨셉인데도 불구하고 삼삼드래가 배우는 전기자석파를 무쇠머리는 못 배운다. 또한 하필 비행 타입이라서 일렉트릭필드 버프(예를 들어 '''불면 효과''')를 받지 못하는 것도 단점이다. 그나마 초전설 포켓몬이 해금되기 전이라 일렉트릭필드 메타가 유행이 되지는 않지만, 해금 이후 미라이돈이 돌아올 경우 픽하는 것 자체가 블런더가 될 수 있다. 그나마 순풍을 배울 수 있어 더블배틀에서는 [[무쇠가시]]보다 쓸만하다는 게 위안. 그러나 이마저도 같은 악+비행에 '''짓궃은마음'''이라는 S급 특성을 가진 [[니로우]]의 상대가 안 된다. 굳이 니로우를 제외하고 봐도 질풍날개 특성을 활용해 우선도+1 순풍을 까는 [[파이어로]], 풍력발전 특성을 활용해서 전기 타입 공격기의 결정력과 스피드 실수치를 동시에 강화시키는 [[찌리비크]], 더블배틀에서 자주 보이는 위협과 랭크 하락기를 되려 오기 특성으로 스윕하는 [[워글]]이랑 비교해도 순풍 요원으로서 가치가 크게 떨어진다. 순풍을 살리기 힘든 싱글에서는 [[무쇠가시]]가 더 쓸모있다는 평가가 다수다. 저쪽은 [[용의춤]]이라는 강력한 랭크업기를 기반으로 넓은 기술폭과 테라스탈을 섞으면 싱글에서 쓸 여지가 나름 있기 때문. 결과적으로 무쇠머리는 타입 간의 상성 보완, 종족값 분배는 괜찮아도 폭풍 외엔 안정적인 자속 타입 공격기의 부재, 원종인 삼삼드래와 차별화가 힘든 좁은 기술폭, 특성을 제대로 써먹지 못하면 마이너 포켓몬이 될 수밖에 없는 한계를 제대로 보여주는 바람에, '''600족 기반인데도 전 패러독스 포켓몬 중 최약체'''라는 불명예스러운 별명을 얻었다. == 다른 매체에서의 모습 == == 기타 == * 삼삼드래의 본래 악/드래곤 타입은 [[고동치는달]]로 이동되었다. 대신 보만다의 비행 타입은 이쪽으로 이동했다. * 도감 설명에 적힌 잡지가 가십성 [[찌라시]]로 추정되긴 하지만, [[박이|로봇과 사랑에 빠진 삼삼드래의 자식이라는]] 황당하기 그지 없는 설정 때문에 웃음거리가 되었다. * 원본이 킹기도라를 모티브로 했다면, 무쇠머리는 메카 킹기도라가 모티브인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삼삼드래의 초안은 기계와 융합한 드래곤이 모티브였다. * 미래폼 중 디자인으로 보면 원본과 가장 차이가 적다. 좌우의 머리가 몸통과 분리돼 있으며[* 몸통과 매우 가까운 위치에 떠 있어 확인하기 어렵다.] 머리 부분이 전부 모니터로 되어 있는데 가까이서 보지 않으면 알기 힘들다.[* 해당 포켓몬의 잠자는 모션을 보면, 머리 부분의 빛이 모두 꺼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대신 크기와 몸무게가 더 줄어들었고, 어쩌피 원종인 삼삼드래는 야생에 출몰하지 않고 진화계열인 모노두와 디헤드는 스칼렛 버전에서 나오기 때문에 필드에서 햇갈릴 일은 없다. * 이로치는 마치 몸 부분의 모든 도색이 벗겨진 듯한 모습이다. 이는 모든 미래 패러독스 포켓몬 공통이다. * 한국어 명칭을 그대로 영어로 직역하면 [[아이언헤드]]가 된다. [[닉값|아이언헤드를 배울 '''수는''' 있다.]] 특수형이라 의미가 없을 뿐. 여담으로 해당 기술 때문인지 영문 명칭은 머리가 아니라 목을 뚯하는 라틴어 jugulum에서 따온 단어를 쓰고 있다. * DLC인 제로의 비보에서 원문 기준으로 자기 이름과 [[무쇠감투|비슷한 포켓몬]]이 나오는데, 이름이 겹치는 것 때문인지 무쇠감투라는 이름으로 나왔다. 다만, 이름과 달리 감투하고 닮은 데가 없어서 어울리지 않으며, 사실상 간접적으로 영향을 끼친 셈. * 눈과 발광패널은 [[무쇠무인]]과 같은 분홍색이지만 색깔의 톤이 다르다 == 삽화 == || '''{{{#fff 포켓몬스터 스칼렛·바이올렛의 도감 이미지}}}''' || || [[파일:993 무쇠머리 dex.png|width=50%]] || || '''무쇠머리''' || == 국가별 명칭 == ||<:> {{{#FFF 언어}}} || {{{#FFF 이름}}} || {{{#FFF 유래}}}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일본어 || テツノコウベ || 鉄のこうべ(철의 머리)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한국어 || 무쇠머리 || 무쇠 + 머리 ||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영어 || Iron Jugulis || 무쇠의 목[* 라틴어다. ] || || [[파일:독일 국기.svg|width=20]]독일어 || Eisenhals || - || ||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0]]스페인어 || Ferrocuello || - ||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프랑스어 || Têtes-de-Fer || - ||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0]]이탈리아어 || Colloferreo || - || || [[파일:대만 국기.svg|width=20]]중국어 || 鐵脖頸[* tiě bó jǐng] || 鐵:철 , 脖頸:목 || == 관련 문서 == * [[대우가 안 좋은 포켓몬]] [[분류:9세대 포켓몬]][[분류:패러독스 포켓몬]][[분류:악타입 포켓몬]][[분류:비행타입 포켓몬]][[분류:진화체가 없는 포켓몬]][[분류:교배가 불가능한 포켓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