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word-break: keep-all" ||<-3> {{{#ffffff 포켓몬 도감 나열 순서}}} || || [[파일:icon0454_f00_s0.png|width=40]] 0454 [[독개굴]] || [[파일:icon0455_f00_s0.png|width=40]] '''0455 {{{#000,#fff 무스틈니}}}''' || [[파일:icon0456_f00_s0.png|width=40]] 0456 [[형광어]] || ||<-3> {{{#ffffff 지역 도감 나열 순서}}} || ||<-3>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px;margin-top:-6px;margin-bottom:-16px" ||<-3>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목록/4세대#신오도감 목록|{{{#ffffff 신오도감}}}]] || || [[파일:454스위치아이콘.png]] 130 [[독개굴]]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455MS.png]] '''131 {{{#000,#fff 무스틈니}}}'''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223MS.png]] 132 [[총어]] || ||<-3>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목록/5세대#하나도감 목록|{{{#ffffff 하나도감}}}]] || ||<-3>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목록/5세대#BW2|BW2]] ||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357MS.png]] 288 [[트로피우스]]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455MS.png]] '''289 {{{#000,#fff 무스틈니}}}'''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453MS.png]] 290 [[삐딱구리]] || ||<-3>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목록/6세대#마운틴칼로스도감|{{{#ffffff 마운틴칼로스도감}}}]] || || [[파일:우츠보트 도트.webp]] 028 [[우츠보트]]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455MS.png]] '''029 {{{#000,#fff 무스틈니}}}'''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092MS.png]] 030 [[고오스]] || ||<-3> [[히스이도감|{{{#FFFFFF 히스이도감}}}]] || || [[파일:407_remastered_icon.png]] 091 [[로즈레이드]]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455MS.png]] '''092 {{{#000,#fff 무스틈니}}}'''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548MS.png]] 093 [[치릴리]] || }}}}}}}}} || }}} || '''{{{+1 {{{#white 정보 내 바로가기}}} }}}''' || || [[#앵커-일러스트|일러스트]][br][[#앵커-기본 정보|기본 정보]][br][[#앵커-특성|특성]][br][[#앵커-세부 정보|세부 정보]][br][[#앵커-유전 정보|유전 정보]][br][[#앵커-모습|모습]][br][[#앵커-방어 상성|방어 상성]][br][[#앵커-종족치|종족치]][br][[#앵커-울음소리|울음소리]][br][[#앵커-도감 설명|도감 설명]][br][[#s-2|skip]] || [목차] [clearfix] == 정보 == [anchor(앵커-일러스트)] || [[파일:455 무스틈니.png|width=50%]] || || 무스틈니 || [anchor(앵커-기본 정보)] ||<-3> {{{#ffffff 기본 정보}}} || || {{{#ffffff 이름}}} || {{{#ffffff 도감 번호}}} || [[포켓몬스터/타입|{{{#ffffff 타입}}}]] || || [[파일:icon0455_f00_s0.png|width=40]][br]'''무스틈니''' [br] マスキッパ(마스킷파) [br] Carnivine || 전국: 0455[br]신오: 131[br]하나: 289^^BW2^^[br]마운틴칼로스: 029[br]히스이: 092 || [include(틀:풀타입)] || [anchor(앵커-특성)] ||<-2> [[포켓몬스터/특성|{{{#ffffff 특성}}}]] || || [[포켓몬스터/특성/ㅂ#부유|부유]] || 땅 타입 공격을 맞지 않는다. || [anchor(앵커-세부 정보)] ||<-5> {{{#ffffff 세부 정보}}} || || {{{#ffffff 포켓몬}}} || {{{#ffffff 분류}}} || {{{#ffffff 신장}}} || {{{#ffffff 체중}}} || {{{#ffffff 포획률}}} || || 0455 무스틈니 || 벌레잡이 포켓몬 || 1.4m || 27.9kg || 200 || [anchor(앵커-유전 정보)] ||<-4> {{{#ffffff 유전 정보}}} || || 성비 || 알 그룹 || 부화 카운트 || 최대 경험치량 || || 수컷: 50% [br] 암컷: 50% || 식물 || 25 || 1,250,000 || [anchor(앵커-모습)] ||<-2> {{{#ffffff 모습}}} || || {{{#ffffff 모습}}} || [[파일:external/play.pokemonshowdown.com/carnivine.gif]] [br]0455 무스틈니 || [anchor(앵커-방어 상성)] ||<-3> {{{#ffffff 방어 상성(특성 미적용)}}} || || {{{#ffffff 2배}}} || {{{#ffffff 1배}}} || {{{#ffffff 0.5배}}} || || [include(틀:독타입)] [include(틀:벌레타입)] [include(틀:불꽃타입)] [include(틀:비행타입)] [include(틀:얼음타입)] || [include(틀:강철타입)] [include(틀:격투타입)] [include(틀:고스트타입)] [include(틀:노말타입)] [include(틀:드래곤타입)] [include(틀:바위타입)] [include(틀:악타입)] [include(틀:에스퍼타입)] [include(틀:페어리타입)] || [include(틀:땅타입)][* 부유 특성으로 실질 0배] [include(틀:물타입)] [include(틀:전기타입)] [include(틀:풀타입)] || [anchor(앵커-종족치)] ||<-8> [[종족치|{{{#ffffff 종족치}}}]] || || {{{#ffffff 포켓몬}}} || {{{#ffffff HP}}} || {{{#ffffff 공격}}} || {{{#ffffff 방어}}} || {{{#ffffff 특수공격}}} || {{{#ffffff 특수방어}}} || {{{#ffffff 스피드}}} || {{{#ffffff 합계}}} || || [[파일:icon0455_f00_s0.png|width=40]][br]무스틈니 || 74 || 100 || 72 || 90 || 72 || 46 || 454 || [anchor(앵커-울음소리)] ||<-8> [[울음소리(포켓몬스터)|{{{#FFFFFF 울음소리}}}]] || ||<-2> [[파일:icon0455_f00_s0.png|width=40]][br]{{{#FFFFFF 무스틈니}}} || ||<#ffffff,#000000><-2><:>{{{#!HTML}}}|| [anchor(앵커-도감 설명)] ||<-2> {{{#white 도감 설명[br]스크롤 압박이 있습니다. 도감 설명을 넘기고 싶으시면 [[#앵커-도감설명 스킵|{{{#white skip}}}]]을 눌러주세요.}}} || ||<-2> [[파일:icon0455_f00_s0.png|width=40]][br]{{{#ffffff 0455 무스틈니}}} || || 디아루가/BD ||<|3>[[달콤한향기|달콤한 냄새]]의 타액으로 먹이를 끌어들여 큰 턱으로 꿀꺽한다. 하루에 걸쳐 먹이를 먹는다.|| || X || || 오메가루비 || || 펄기아/SP ||촉수를 나뭇가지에 휘감아서 움직이지 않으면 마치 식물 같다. 큰 입을 열어 먹이를 기다린다.|| || 기라티나 ||<|5>늪지대에서 자라는 나무에 엉겨 붙어 달콤한 냄새의 타액으로 먹이를 끌어들여 한입에 먹는다.|| || BW || || Y || || 알파사파이어 || || 포켓몬 GO || || HGSS ||촉수를 재주 있게 움직여 걸으면서 먹이를 기다리기에 적합한 나뭇가지를 찾는다.|| || BW2 ||[[촉수]]로 나뭇가지에 엉겨 붙어 타액의 달콤한 냄새로 먹이가 다가오는 것을 기다리고 있다.|| || PLA ||초목의 포켓몬임에도 불구하고 탐욕스럽고도 난폭한 성질을 가졌다.[br]큰 입을 벌리고는 먹이를 공격한다.|| ||<-2> [anchor(앵커-도감설명 스킵)] || == 상세 == 4세대 포켓몬. 들판시티 대습지에서 나온다. 모티브는 [[파리지옥]]으로, 식충식물이지만 타입상으로는 '''벌레에게 약하다.''' 포켓몬스터야 이런 비슷한 사례인 뒤집힌 먹이사슬이 한둘이 아니지만 말이다.[* 정확히 말하자면 [[앤티골]]의 경우는 반만 맞다. [[아이앤트]]는 바위타입 기술을 자력으로는 못 배우므로 자력 기술만 배치하면 아이앤트가 앤티골을 견제 못한다. 구멍파기는 자력으로 배우지만. 그 외에 [[개굴닌자]]가 있는데 물/악 타입이기 때문에 개구리임에도 벌레 타입에 약하다.] 아니면 파리지옥의 식충 능력이 의외로 낮다는 현실 고증을 잘 반영한 것일지도 모른다. == 스토리 및 포획 == || {{{#ffffff 스토리 진행 가능 작품}}} || 다소 제한적 || || {{{#ffffff 사유}}} || 자속 고위력기의 습득 레벨 높음, 사실상 무의미한 특성, 높지 않은 내구도, 느린 속도, 쓸데없이 많은 경험치 요구량 || || {{{#ffffff 대체안}}} || --[[리피아]]-- || DPPT에서는 대습초원에서 포획 가능하다. 4세대 스토리 기준으로 썩 나쁘지 않은 종족값, 파워휩이라는 괜찮은 자속 고위력기, 땅 타입 공격을 흘릴 수 있는 특성 때문에 한 번 애정 삼아 써볼까 하는 생각도 들지만 [[현실은 시궁창]]. 리피아처럼 고위력 자속기의 습득 레벨이 워낙 높은 데다 특성은 대부분의 유저들이 비행 타입 한 마리 쯤은 키우고 다니기에 사실상 의미가 없고, 거기다 경험치 요구량까지 높을 뿐더러[* 만렙 경험치가 125만으로 [[600족]]과 동급.] '''무엇보다 잘 나오지도 않는다.''' 그래도 굳이 쓰고 싶다면 물리형을 기본으로 깨물어부수기(37)/파워휩(47)/칼춤(기술머신)[* 게임코너에서 모은 코인으로 교환해야 하지만 [[돈주는노부부]] 덕분에 의외로 돈 모으기가 쉽다]/자율 정도로 기술폭을 짜서 사용할 수 있다. 특수기는 기술머신을 사용해 오물폭탄, 에너지볼을 넣을 수도 있다. 단, 무스틈니에게 쓸 경우 다시 얻으려면 배틀 시설을 돌아서 BP를 모아야 한다는 점은 유의. HGSS에서는 점프 수치가 높아서 [[포켓슬론]]에서는 활약할 수 있다. 5세대에서는 bw2 한정 엔딩 이후 18번 도로에서 포획이 가능하다. 8세대 소드/실드에서는 잘렸으나 BDSP부터 레전드 아르세우스에는 복귀했다. 레전드 아르세우스에서의 무스틈니는 [[파라섹트|파라스]] 계열 못지 않은 훼방꾼으로 악명을 날렸다. 기본적으로 파라스처럼 많은 수가 무리로 돌아다니는데다가 선공형 + 플레이어 인식 범위가 넓은 탓에 시도때도 없이 야생 포켓몬 경고음이 들린다. 홍련 습지 등지에서는 그야말로 지겹도록 볼 수 있다. == 대전 == 미묘한 분배에 쓸모없는 특성[* 부유인데 풀타입은 애초에 땅타입을 반감으로 받는다.], 낮은 종족값(454)으로 인해 쓰기 힘든 포켓몬이다. 스피드 및 내구력이 약하기 때문에 빨리 승부를 내는 것이 좋다. 공격력이 높기 때문에 [[파워휩]]과 [[깨물어부수기]] 등의 강력한 물리 기술을 배우는 게 효과적. [[오물폭탄]]을 배울 수 있긴 하지만 같은 [[식충식물]]형 포켓몬인 [[우츠보트]]의 하위호환인 경향이 강하다. [[로토무|스핀 로토무]] 다음으로 부유가 필요없는 포켓몬. 교배기로 [[분노가루]] 등의 희소 기술들을 배울 수 있지만... 동속성에 종족값 배치도 비슷한 [[덩쿠림보]]도 배운다. 결론적으로 어택커로는 [[우츠보트]]와 [[덩쿠림보]], 내구형으로는 그 [[메가니움]]의 하위호환. 게다가 7세대는 필드효과가 중요해졌는데 쓸데없는 부유때문에 효과를 못 받는다. 그나마 스피드가 꽤나 느린편이라 트릭룸에서의 채용가치는 있지만 [[한카리아스|공격 종족값 130짜리]]도 많이 높지 않다고 취급 받는 파워인플레에서 어떻게 활약을 할지.. 그 막장상성으로 쓸모 없다던 [[파라섹트]] 조차도 최소한 더블배틀에서는 트릭룸 [[버섯포자]]를 활용한 수면요원으로 쓸만하지만 무스틈니는 싱글이든 더블이든 답이없다. 정말로 억지로 굴려본다면 자력기에 [[비축하기]], [[뿌리박기]]가 존재하며 유전기로 [[씨뿌리기]], [[광합성]]이 존재해서 깔짝형으로 써볼수는 있으나 알다시피 풀 타입 방어상성은 막장에 가깝고 이 역할도 동급 풀 포켓몬중 더 좋은 애들이 널려서 딱히 차별화는 힘들다. 간단하게 말해 어느 방면으로 가도 상위호환이 너무나도 많은데다가 [[나비춤]]이나 [[껍질깨기]] 같은 좋은 랭업기도 없어 앞으로도 진화형이나 A급 특성을 받지 않는 이상에는 굴리기가 힘들 전망. 식충 식물 컨셉을 살려 벌레/풀 타입 간 상성 역전 특성을 준다던가, 또는 [[프리즈드라이]]처럼 벌레타입에 2배의 데미지를 주는 풀타입 자속기가 나온다면 실전성도 조금이나마 올리고 식충식물이라는 이미지에 맞겠지만 그래봤자 풀 타입 자체가 반감도 많아서 벌레 타입 하나 약점으로 공격하거나 반감한다고 해도 사실은 있어도 요긴하게 쓰일 것 같지는 않다. 웬만한 풀 포켓몬 중에도 독 타입을 겸하는 포켓몬이 많은데 하필 이 녀석에게 풀 타입만 준 것은 뭔가 의도적일 가능성은 있겠으나 일반적인 관점에서는 의문스럽긴 하다. 똑같이 [[식충식물]]이 모티브인 [[우츠보트]]는 무스틈니처럼 쌍두형 어태커 배분에 [[쾌청(포켓몬스터)|쾌청]] 하에 엽록소 특성을 받아 최속으로 [[웨더볼]], [[솔라빔]]을 난사하는 것과 대조적이다. 딱 한마디로 부유 달린 느린 우츠보트(...) == 애니메이션 == 신오편에서 [[로이(로켓단 삼인방)|로이]]의 포켓몬으로 등장. 들판 대습지에서 어린 로이와 만나 함께 놀게 된다. 하지만 그 존재가 잊혀지고 몬스터볼째로 로이의 수집품이 되었다. 한참 후에서야 로이가 저택을 다시 방문하고 무스틈니를 다시 사용해서 [[우츠보트]]에 이은 2번째 식충식물 포켓몬을 사용하게 되었다. [[우츠보트]]나 [[밤선인|선인왕]]처럼 애정표현이 강렬하며 볼에서 나오면 매번 로이를 물기 때문에 로이는 언제나 곤란해 하는 듯. 참고로 자력으로 배우지 않는 [[기관총(포켓몬스터)|기관총]]을 배우고 있다. 제일 활약한 것이 110화 강철섬에서 지우 일행이랑 로켓단 3인방이 구덩이에 빠진 상태에서 갤럭시단이 유적을 파괴하려고 설치한 폭탄을 폭파시키려 하기 직전 로이가 "이제 우린 다 죽었다!" 하며 엉엉 울고 있을때 자력으로 덩쿨채찍을 습득하여 그걸 보고 영감을 얻은 지우가 수풀부기를 꺼내 콤보로 모두를 구덩이에서 꺼내준 일이 있다. 극장판 '디아루가VS펄기아VS다크라이'에서는 [[로켓단]]이 무스틈니 모양 기구를 타고 있다. == [[포켓몬 + 노부나가의 야망]] == 초반부의 강자. 비교적 초반인 아오바국에서 입수 가능하며, 체/공/방/민이 3/3/3/2로 꽤 준수한편이다. 공격기도 [[덩굴채찍]]으로 초중반에는 부족함이 없는 편. 게다가 부유 특성 덕분에 이동력이 3이어도 실질 기동력은 꽤 높은 편이다. 게임 시스템상 자속기만 쓸수 있는 사양도 오히려 무스틈니에게는 호재. 후반에는 진화 불가능 = 기술 교체 불가능, 베스트 파트너가 [[안코쿠지 에케이]]와 [[가토 요시아키]] 밖에 없는 점, 미진화형 특유의 스탯 한계 등으로 [[드레디어]]에게 밀려버린다. 그래도 이게 무스틈니가 가장 강하게 나온 매체일 것이다. == 기타 == 참고로 특성 때문에 6세대의 [[스카이배틀]]에 참가할 수 있다. 물론 참여해봤자 매치되는 상대가 비행타입이 압도적으로 많으므로 샌드백으로 전락할 뿐이다. 마찬가지로 스카이배틀에 참가가 가능한 [[저리더프]]가 '''단일 전기타입'''인걸 생각하면 더더욱 밀린다.[* 더군다나 스카이배틀에선 [[지진]]이나 [[대지의힘]] 같은 땅타입 공격기를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틀깨기로도 저리더프의 약점을 찌를수가 없다.] 그나마 6세대에서는 써먹을데가 생겼다. 무리배틀을 일으키는 [[달콤한향기]]를 자력으로 배우면서 쉽게 구할 수 있고 [[포켓러스]] 달고 노력치 작업 하러 가는 트레이너들이 무스틈니를 들고 다니기 때문.[* 그런데 사실 이쪽도 [[비버통]]과 더불어 최강의 비전셔틀에 위치한 [[트로피우스]] 때문에 사실상 또 하위호환이다.] 포켓파를레에선 포플레를 주면 입크기가 입크기다 보니 한입에 다 먹는다. 4세대에서 사실상 진화체 구현이 힘든 전설/환상포켓몬과 화강돌을 제외하면 진화체든 리전폼이든 아무것도 받지 못한 포켓몬. 동지는 페라페가 있으며 4세대에서 유이하게 어떠한 대우도 받지 못한 포켓몬이다. 따라서 추후 세대에서 진화체 또는 리전폼이 나올 것으로 기대된다. == 관련 문서 == * [[대우가 안 좋은 포켓몬]] [[분류:4세대 포켓몬]][[분류:풀타입 포켓몬]][[분류:진화체가 없는 포켓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