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묘호]] == '''{{{+3 武宗}}}''' >무(武) >剛強以順(강강이순) : 성질이 강직하면서도 순하다 >剛強直理(강강직리) : 성질이 강직하여 곧고 이치가 있다 >誇志多窮(과지다궁) : 지향하는 바가 컸으나 곤궁함이 많았다 >克定禍亂(극정화란) : 화란을 능히 평정한다 >闢土斥境(벽토척경) : 넓은 땅을 개척함이 컸다 >保大定功(보대정공) : 강대한 힘을 갖춰 공적을 공고히 하다 >威強敵德(위강적덕) : 굳센 위력으로 적을 제압했다 >折衝禦侮(절충어모) : 적의 창끝을 꺾어 외침을 막는다 >除僞寧眞(제위녕진) : 거짓을 물리치고 참됨을 추구했다. >刑民克服(형민극복) : 백성을 법률로 다스려 복종하게 한다 '''무종(武宗)'''은 동아시아(한자문화권)의 군주가 사후에 받는 [[묘호]] 중 하나이다. || 성명 || [[묘호]] || [[시호]] || 재위기간 || 비고 || || [[당무종|이염]](李瀍) || [[당나라|당]]무종(唐武宗) || 지도소숙효황제[br](至道昭肅孝皇帝) || 840~846 || 15대 황제 || || [[이계천]](李繼遷) || [[서하]]무종(西夏武宗)[* 이후 [[태조]](太祖)로 바뀌었다.] || 응운법천신지인성지도광덕광효황제[br](應運法天神智仁聖至道廣德光孝皇帝)[* 이후 신무황제(神武皇帝)로 바뀌었다.] || - || [[이덕명|서하태종]] 추존 || || [[원무종|보르지긴 카이샨]](孛兒只斤 海山) || [[원나라|원]]무종(元武宗) || 인혜선효황제[br](仁惠宣孝皇帝) || 1307~1311 || 3대 황제 || || [[정덕제|주후조]](朱厚照) || [[명나라|명]]무종(明武宗) || 승천달도영숙예철소덕현공홍문사효의황제[br](承天達道英肅睿哲昭德顯功弘文思孝毅皇帝) || 1505~1521 || 10대 황제 || 주로 군사적 업적이 강하거나 황제가 직접 군대를 이끌고 정복전쟁을 활발히 진행하면서 영토팽창을 하는 등 군사력 강화와 군사적인 측면에서 업적을 세운 황제들이 받는 묘호 중 하나였다. 대표적인 사례로는 명 무종 [[정덕제]]가 있다.[* 다만, 이 황제는 순수하게 군사적인 데에 관심이 있었다기 보다는 전쟁광이라 전쟁을 벌인 것에 가깝다. 자세한 건 [[정덕제]] 문서 참조.] 다만, 아무래도 문(文)을 무(武)보다 더 높게 쳐주는 유교적 세계관상 생각만큼 그리 격이 높은 묘호로 평가하지는 않았다. == [[천간|십간]]에 따른 등급 중 무종(戊種) == 한자 사용국가에서 5등급을 뜻하는 의미로 사용되며, 무(戊)종을 영문으로 바꾼다면 E급이다. == [[병역판정검사]] 신체등급 중 7급 == 현재 한국의 징병검사에서 신체등급을 1급, 2급, 3급, 4급, 5급, 6급, 7급이라고 하지만 1984년까지는 갑종, 1을종, 2을종, 3을종, 병종, 정종, 무종이라고 불렀다. 이 중에서 무종이 7급인데, 재검대상 신체등급이다. 정치인 병역문제 관련 글에서는 무종을 [[http://cafe.daum.net/parkgunhye/UjRe/11226?q=%B9%AB%C1%BE%20%D9%ED%F0%FA%20%C0%E7%B0%CB&re=1|등급이 없다는 뜻의 무종(無種)]]이라는 뜻으로 써놓은 글도 있다. [[분류:묘호]][[분류:동음이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