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무한도전)] [include(틀:무한도전 방영 목록)] [목차] == 개요 == 무한도전의 [[2018년]] 방영분을 정리한 문서. [[무한도전]]이 '''마지막으로 방영한 해'''며, 종영 후 5월 5일부터 최행호 PD가 연출을 맡은 [[뜻밖의 Q]]가 방영됐다. 본래 무한도전 시즌 2의 메인 PD로 최행호 PD가 연출하고 김태호 PD는 내려올 예정이었지만, 출연자들의 의견과 여론에 따라 바뀌었다.[* 후에 뜻밖의 Q의 평가, 시청률을 보면 초행 PD였던 최행호 PD가 무한도전 시즌 2를 맡지 않은 게 결과적으로 무한도전에 있어서는 [[박수칠 때 떠나라]]를 실천할 수 있도록 좋게 작용했다.] 이후 몇 개월간 휴식기를 거쳐 '무한도전' 새 시즌 또는 새 기획으로 김태호 PD 체제를 계속 이어갈 것이라고 했으며, 한동안 소식이 없다가 2019년 3월 31일에 [[https://www.ytn.co.kr/_sn/0117_201903311350070161|종영 1주년 이벤트로 김태호 PD와 '무한도전' 멤버들이 서울 모처에서 모였다.]] == 방영 목록 == || '''{{{#ffffff 회차}}}''' || '''{{{#ffffff 방영일}}}''' || '''{{{#ffffff 기획명}}}''' || ||552||2018년 1월 6일||[[무한도전 파퀴아오 주먹이 온다|파퀴아오 주먹이 온다]] 2부(G: [[매니 파퀴아오]], [[조세호]], [[유병재]])/그것이 알고싶다(G: [[이동욱]] / '''[[조세호]] 영입''')|| ||<-3>파퀴아오 특집은 해당 문서 참조. 그것이 알고싶다는 조세호의 고정 영입과정을 다룬 에피소드로 작년 12월 Q&A 특집 방송 전에 조세호가 청문회를 받는 모습이 트위터로 공개됐고, 방송이 끝난 뒤 [[그것이 알고싶다]]를 패러디해 조세호에 관한 제보를 받는다는 공지가 나왔다. 하지만 들어온 제보는 겨우 46건에 불과했고, 그마저도 지나가다 봤다는 등의 내용이 전부였다. 간신히 한 명 찾은 제보자 [[이동욱]]은 하라는 제보는 안 하고 자기 근황 전하기에 급급했고, 결국 유재석과 하하는 그를 남긴 채 떠나버렸다.[* 떠나기 직전 하하가 남긴 말은 “[[이동욱|얘]]도 징한 구석이 있어”] 이후 하하와 양세형이 [[형이 왜 거기서 나와|유혹의 거인]] 때 썼던 '녹화 전날 술자리 몰카'로 세호를 테스트했으며,[* 이때 하하의 “재석이 형이 태호 형이나 준하 형 쪼인트 까고 다닌다”는 거짓말과 그걸 또 믿어버린 조세호와 양세형이 압권이다.] 마지막으로 거짓말 탐지기 테스트를 거쳐 조세호가 정규 멤버로 들어왔다.|| ||553||2018년 1월 13일||면접의 신|| ||<-3>2007년 신입사원 특집처럼 멤버들이 [[취업준비생]]이 되어 실제 면접에 도전한 내용. 30개 기업에 촬영 협조 공문을 보내 동의한 기업인 [[넥슨]], [[해태제과식품]],[* [[Korean Dol+i]]에 출연했던 [[이명박]] 전 대통령을 닮은 직장인이 출연 당시 이 회사 직원이었다.] [[배달의민족]][* [[배달의 무도]]에 후원사로 참여했다.]에 도전했다. 방영 이전엔 무한도전 시청 주 연령층에게 [[취업|가장 민감한 사항 중에 하나]]를 소재로 쓴다는 것 때문에 우려를 표하는 의견이 많았으나, 방영 후에는 대체로 호평으로 취업준비생들이 겪는 면접 상황을 제대로 시뮬레이션하면서도 예능이란 특징도 잘 잡아냈단 평가.[* 실제 해당 기업의 면접관들이 팁을 알려준 것도 있다. 예를 들어 면접관들은 지원자들의 지식 수준을 보고 싶어하는 게 아닌 배우고자 하는 태도를 보고 싶어 한다는 것, 단점을 무작정 가리지만 말고 그 단점을 극복하는 과정을 자신 있게 말한다면 충분히 장점으로 승화시킬 수 있다는 것, 지원한 회사에 대해 좋은 말만 하면 오히려 신뢰감이 떨어질 수 있다는 것, 게임 회사에선 자기 소개서보단 포트폴리오가 중요하다는 것 등.] 다만, 면접에 임하는 연기자들은 (당연한 이야기지만) 면접에 꼭 붙어야겠다는 절박함도 없고, 만에 하나 붙어도 입사할 리 없는, 어디까지나 방송인들이므로 실제 면접과는 괴리가 큰 오버스러운 자기 소개나 인사, 태도 등을 보였기에 그 부분에선 아쉽다는 평가도 있다.[* 박명수는 넥슨 면접을 보면서 자기가 지원하는 분야가 어딘지도 몰랐고, 면접관들 앞에서 테이블에 팔을 괴고 삐딱하게 앉고, 게임 제작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사람들한테 [[좆문가|관련 업계에서 일해본 적도 없으면서]] 게임 기획에도 사운드가 중요하다고 설교하는 등, '모의 면접'을 조금이라도 진지하게 생각했다면 절대 나올 수 없는 태도를 많이 보였다. 또 양세형은 배달의민족 면접에서 방방 뛰고 노래부르며 입실하는 등, 실제 면접에선 있을 수 없는 오버스러운 모습을 보였다. 다만 양세형은 배달의민족 면접에서 유재석과 함께 가장 좋은 평가를 받았다.] 한편 이 편에서 조세호가 말한 화낙신낙이 과자로 출시됐다.|| ||554||2018년 1월 20일||[[무한도전 1시간 전|1시간 전]] 1부|| ||555||2018년 1월 27일||1시간 전 2부|| ||556||2018년 2월 3일||[[하우스 IN & OUT]]|| ||557||2018년 2월 17일||[[토토가3 - H.O.T.]] 1, 2부(G: [[H.O.T.]])|| ||558||2018년 2월 24일||토토가3 - H.O.T. 3, 4부(G: [[H.O.T.]])|| ||559||2018년 3월 3일||[[셀럽이 되고 싶어]](G: [[셀럽파이브]])|| ||<-3>크게 3파트로 나뉘었다. 처음엔 조세호 합류 100일을 기념한 예능 돌잔치, 중반부엔 --HOT 커버댄스 재공연을 빙자한-- 셀럽파이브와의 콜라보로 구성, 그리고 후반부엔 컬링 특집의 프롤로그 격 내용으로 여자 컬링 대표팀을 향한 도전장을 찍어 보냈다.|| ||560||2018년 3월 10일||보고 싶다 친구야(G: [[김제동]], [[지상렬]], [[김민종]], [[김종민]], [[박나래]], [[남창희]])|| ||<-3>친구의 아바타가 되어 각종 미션을 수행한 특집. [[유재석]]-[[김제동]], [[박명수]]-[[지상렬]], [[정준하]]-[[김민종]], [[하하(가수)|하하]]-[[김종민]], [[양세형]]-[[박나래]], [[조세호]]-[[남창희]] 조합이었다. [[갤럭시 S9]]이 PPL로 등장했으며, 기존의 방송 시간대에선 처음으로 [[중간광고]]가 삽입됐다.[* 앞서 [[토토가3 - H.O.T.]]에서 중간광고가 처음 시행됐지만, 기존 시간대 편성이 아닌 심야편성이었고 타이틀도 토토가 3여서 논외.]|| ||561||2018년 3월 17일||컬벤져스(G: [[팀킴|대한민국 여자 컬링 국가대표팀]][* [[김은정(컬링)|김은정]], [[김영미]], [[김선영(컬링)|김선영]], [[김경애]], [[김초희]]], [[김민정(컬링)|김민정]], [[김나진]], [[장반석]])|| ||<-3>여자 컬링 국가대표팀과의 콜라보 특집. 의성실내체육관과 [[경북컬링훈련원]]에서 녹화했다. 처음에는 의성실내체육관에서 경기 뒷이야기를 비롯한 팀을 결성하게 된 계기와 김경애이 좋아하는 [[강다니엘]]과 김은정이 좋아하는 [[샤이니]] [[태민]]과의 전화연결 등의 간단한 인터뷰 시간을 가졌다. 이후에는 경북컬링훈련원으로 이동해서 본격적인 대결을 시작. 대결을 하기전, 선수들은 가볍게 몸풀기를 했는데 실제 경기가 아닌 일회용 게임임에도 불구하고 다들 좀전의 발랄함은 싹 감추고 진지한 자세로 연습에 임했다. 이후 무도 멤버들 역시 이런저런 컬링기술을 배워가며 연습을 했고 연습이 끝난후 실력차이를 감안해 대표팀과 멤버들이 섞이기로 한다. 그래서 [[유재석]]과 대표팀 주장 [[김은정(컬링)|김은정]]을 중심으로 팀을 나눈끝에 재석팀(재석, 세호, 하하, 경애, 선영)과 은정팀(은정, 영미, 초희, 세형, 명수)으로 나눠 경기를 했고, 어느 팀에도 못 들어간 정준하는 깍두기 찬스로 나왔다. 예고편에서 공개된 알까기 경기는 방송되지 못하고 [[https://youtu.be/N-oVkiMu0oo|미공개 영상]]으로 나왔다. 한편 이 날 방송에선 "이제 스타일 날도 얼마 안 남았다", "다음주'''에는''' 또 방송이 됩니다"는 등 무한도전 종영을 암시하는 발언이 나왔다. 여담으로 LG측이 [[중간광고]]로 컬링 국가대표팀이 모델인 [[LG전자/제품#s-8|LG 코드제로]] 광고를 송출했다. --간만에 일한 [[LG전자/마케팅|마케팅팀]]-- 이후 팀킴과 김민정 감독과의 불화가 터지면서 재조명받기도 했다.|| ||562||2018년 3월 24일||[[조금 더 보고싶다 친구야]] 1부(G: [[김제동]], 도엄 스님, 혜안 스님)|| ||563||2018년 3월 31일||조금 더 보고싶다 친구야 2부(G: [[박나래]], [[김민종]], [[지상렬]]) / '''무한도전 종영'''|| ||특집||2018년 4월 7일||13년의 토요일 1부|| ||특집||2018년 4월 14일||13년의 토요일 2부|| ||특집||2018년 4월 21일||13년의 토요일 3부|| == 시청률 == ||
'''회차''' || '''기획명''' || '''전국 시청률(닐슨 코리아)''' || '''수도권 시청률(닐슨 코리아)''' || ||552||[[무한도전 파퀴아오 주먹이 온다|파퀴아오 주먹이 온다]] 2부/그것이 알고싶다||11.7%||12.1%|| ||553||면접의 신 ||11.7%||11.6%|| ||554||[[무한도전 1시간 전|1시간 전]] 1부 ||12.7%||13.3%|| ||555||1시간 전 2부 ||14.3%||14.4%|| ||556||[[하우스 IN & OUT]] ||12.5%||13.0%|| ||557||[[토토가3 - H.O.T.]] 1, 2부||13.6%||14.3%|| ||558||토토가3 - H.O.T. 3, 4부||13.0%||14.2%|| ||559||[[셀럽이 되고 싶어]]||10.8%||11.3%|| ||560||보고 싶다 친구야||11.3%||12.0%|| ||561||컬벤져스||14.3%||15.6%|| ||562||[[조금 더 보고싶다 친구야]] 1부||12.8%||13.6%|| ||563||조금 더 보고싶다 친구야 2부||11.1%||11.4%|| ||특집||13년의 토요일 1부||6.4%||-|| ||특집||13년의 토요일 2부||7.0%||7.2%|| ||특집||13년의 토요일 3부||5.2%||-|| '''평균: 12.5%(전국), 13.1%(수도권)''' == 편성 변경/결방 사유 == ||
'''날짜''' || '''사유''' || || {{{-2 [[2018년]] [[2월 10일]]}}} || {{{-1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 == 연출진 == *'''기획''': [[김태호(PD)|김태호]] *'''연출''': 정다히, 김선영, 임경식 *'''조연출''': 장우성, 박현석, 김지우, 소인지, 전재욱, 손수정, 한승훈 *'''외부조연출''': 이헌정, 이정아 *'''대본''': 이언주 *'''구성''': 김란주, 이유정, 김정미, 장종현, 최혜진, 최은솔, 김수경, 송인영 == 여담 == * [[강성태]]가 무한도전에 출연했다는 소식이 있었으나 기대 이상의 재미를 주기 어렵다는 제작진의 결론과 프로그램 종영 문제가 겹쳐 미방영됐다. * 13년 동안의 대장정 동안 MBC는 물론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예능 프로그램이었음에도 2018년 MBC 방송연예대상에서는 어찌 된 일인지 전혀 조명되지 않았다. 유재석, 박명수, 정준하, 하하는 아예 시상식에 불참했다. [[분류:무한도전/2018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