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무주 황제)] ||<-3> '''{{{#fff 무주 추존 황제}}}[br]{{{#fff {{{+1 顯祖 文穆帝 | 현조 문목제}}}}}}''' || ||<-2> '''[[묘호|{{{#fff 묘호}}}]]''' ||'''[[현조]](顯祖)''' || ||<|2> '''[[시호|{{{#fff 시호}}}]]''' || '''[[당나라|{{{#ece5b6 당}}}]]''' ||안성(安成) || || '''[[무주(당나라)|{{{#fff 무주}}}]]''' ||입극문목황제(立極文穆皇帝) || ||<-2> '''[[작위|{{{#fff 작호}}}]]''' ||태원군왕^^(太原郡王)^^ → 주왕^^(周王)^^ || ||<-2> '''[[성씨|{{{#fff 성씨}}}]]''' ||무(武) || ||<-2> '''[[휘|{{{#fff 휘}}}]]''' ||화(華) || ||<-2> '''{{{#fff 부황}}}''' ||열조(烈祖) 무검(武儉) || ||<-2> '''{{{#fff 출신지}}}''' ||병주(并州) 문수현(文水縣) || [목차] [clearfix] == 개요 == [[측천무후]]의 할아버지로 묘호는 [[현조]](顯祖), 시호는 입극문목황제(立極文穆皇帝)이다. 태조(太祖)로 추존된 [[무사확]]의 아버지이다. == 상세 == 무검(武儉)의 아들로 태어난 무화는 [[수나라]]에서 동도승(東都丞)을 지냈고, 577년에 조씨(趙氏)와의 사이에서 무사확이 태어났다. 사실 무화 본인의 행적은 상술한 내용이 전부이다. 무화 슬하의 아들들은 무사릉(武士棱), 무사일(武士逸), 무사양(武士讓), 무사확으로 총 4명이며, 무사확의 딸이 바로 측천무후이다. 무화는 측천무후에 의해 684년에 태원군왕으로 추증되었다가, 689년에 주왕(周王)으로 추증되고 안성(安成)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측천무후가 무주혁명을 일으킨 뒤, 무화는 현조(顯祖) 입극문목황제(立極文穆皇帝)로 추존되었다. [[분류:수당시대/황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