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대한민국의 고속도로 터널]][[분류:중부내륙고속도로]] ||<-5> [[고속도로/대한민국|{{{#white '''대한민국의 고속도로'''}}}]] || ||<-5> [[중부내륙고속도로|{{{#ffffff '''중부내륙선'''}}}]] || || [[내서IC|{{{#gray 창원}}}]] {{{#gray 방면}}}[br][[문경1터널|{{{#000000,#ffffff 문경1터널}}}]] || {{{+1 ←}}} || {{{#000000,#ffffff '''문경새재터널''' }}} || {{{+1 →}}} || [[양평IC|{{{#gray 양평}}}]] {{{#gray 방면}}}[br][[연풍IC|{{{#000000,#ffffff 연풍IC}}}]] || [목차] == 도로 터널 ==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 각서리와 [[충청북도]] [[괴산군]] 연풍면 주진리를 잇는 [[중부내륙고속도로]] 상의 터널. 터널명의 유래는 본 터널 근처에 있는 [[문경새재]]로, 이 터널은 문경새재가 아닌 옆의 [[이화령]]을 관통한다. 이미 이화령터널이라는 이름은 먼저 건설된 [[3번 국도]]상의 [[이화령#이화령터널|터널의 이름]]으로 정해졌기 때문에, 주변의 고개들 중 가장 유명한 고개인 문경새재의 이름을 따 온 것. 이 터널의 개통과 함께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과 [[대구광역시|대구]], [[부산광역시|부산]], [[창원시|창원]], [[김천시|김천]]까지의 길이 가까워졌다. 도로에 화물차가 많고 터널 길이가 긴 만큼 사고가 자주 일어나는 편이다. 그리고 [[이화령#이화령터널|이화령터널]]은 완전히 몰락해 2007년 무료통행으로 전환되었다. == 역사 == * 2004년 12월 15일: [[중부내륙고속도로]] [[북상주IC]] ~ [[괴산IC]] 구간과 함께 개통되었다. == 상세 == * 터널 기본 정보 || || 창원 || 양평 || || 길이 || 2,645m || 2,635m || || 시점 {{{-2 (내서IC 기점)}}} |||| 188.6km || || 종점 {{{-2 (내서IC 기점)}}} |||| 191.3km || * 거리표에 따른 주소 |||| 거리표 ||<|2> 주소 || || 창원 || 양평 || ||||<#ff0000> {{{#ffffff '''188.6 ~ 190.4'''}}} ||<#ff0000>{{{#ffffff '''경북 문경시 문경읍 각서리'''}}}|| |||| 190.4 ~ 191.3 ||충북 괴산군 연풍면 주진리|| 문경새재터널은 [[중앙고속도로]]의 [[죽령터널(중앙고속도로)|죽령터널]]이나 [[통영대전고속도로]]의 [[육십령터널]]과 달리 [[중부내륙고속도로]]의 최장거리 터널은 아니다. [[장연터널]](터널길이 3,100m)이 [[중부내륙고속도로]] 최장거리 터널. 한국 유명 [[고개]]를 넘는 터널은 보통 해당 고속도로의 최장거리 터널로 지정하여 관리하는데 [[중부내륙고속도로]]만 특이하다.[* 그도 그럴 것이 이 터널은 터널이름에 있는 그 유명한 고개를 전혀 지나가지 않는다.] == 관련 문서 == * [[터널/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