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000 문병권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파일:퐁황.jpg|width=60]] '''1981 [[봉황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s-3]] MVP''' || ---- ||
[br] [[파일:lgv1.png|width=auto&height=70]][br]'''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반지}}}''' || || '''[[1990년 한국시리즈|{{{#ffffff 1990}}}]]''' || ---- ||<-5> '''{{{#fff [[MBC 청룡|{{{#fff MBC 청룡}}}]] / [[LG 트윈스|{{{#fff LG 트윈스}}}]] 등번호 43번}}}''' || || 결번 || {{{+1 →}}} || '''{{{#fff 문병권[br](1988~1993)}}}''' || {{{+1 →}}} || 박노식[br](1995~1999) || }}} || ---- ||<-2>
'''{{{+2 문병권}}}[br]文炳權 | Mun Byeong-Kwon''' || ||<|2> '''출생''' ||[[1965년]] [[4월 4일]] ([age(1965-04-04)]세) || ||[[대구광역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경북고등학교 야구부|경북고]] - [[연세대학교 야구부|연세대]] || || '''포지션''' ||[[투수]] || || '''투타''' ||[[우사우타]] || || '''프로입단''' ||[[한국프로야구/1988년/신인드래프트#s-3|1988년 2차 3라운드]] ([[MBC 청룡|MBC]]) || || '''소속팀''' ||[[MBC 청룡]]-[[LG 트윈스]] (1988~1993) || [목차] [Clearfix] == 개요 == 전 [[LG 트윈스]]의 투수. 투구폼은 사이드암. == 선수 경력 == 경북고를 졸업한 정통 TK였다. 고교시절에는 [[성준(야구선수)|성준]], [[류중일]] 등과 함께 아직도 전설로 회자되는 혈투인 [[박노준]], [[김건우(1963)|김건우]]의 선린상고와의 1981년 [[봉황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 결승전 맞대결 당시 새내기였음에도 3학년 에이스인 성준의 백업으로 활약하며 우승에 기여했으며[* 류중일은 최고의 수비를 선보인 선수에게 수여하는 미기상을 수상했다.] 성준이 졸업한 이듬해에는 경북고의 에이스 역할을 했다. 대학 졸업을 전후로 한 1988년 프로 1차지명에서 [[류명선]], [[정윤수]], 홍성연 등에 밀려 고향팀 [[삼성 라이온즈|삼성]]으로부터 외면받았고, 대신 [[MBC 청룡]]에 입단했다. 1990년 10승 5패, 방어율 3.72의 호성적을 기록하면서 팀의 우승에 큰 공을 세웠지만 6경기 연속 완투[* 당시 3일 간격으로 등판하면서 삼성전의 10이닝 완투승, 롯데전의 13이닝 완봉승 등 긴 이닝을 소화했다고 한다.]를 비롯하여 [[패전처리 투수]] 역할까지 소화하는 등 혹사당한 결과 이듬해에는 규정이닝을 채운 선수 중 최소승(3승13패), 방어율 최하위(5.15)라는 불명예 2관왕으로 급추락하게 된다. [[백인천]]의 만행을 이야기할 때 간간히 언급되는 선수이다. 그러나 선수로서의 본인에 대한 평가도 썩 좋지는 않은 편. 일단 성실한 편은 아니었던 것 같다. 고교 때의 활약에도 불구하고 대학시절을 거치면서 기량이 전혀 늘지 않은 듯하다. 연세대 동기인 [[김성규(야구선수)|김성규]](전 [[해태 타이거즈]])는 대학 시절 문병권이 훈련 태도도 불성실하고 뺀질거리기만 했다면서 졸업해서 프로에 온 후에도 이를 갈면서 계속 디스하고 다니기도 했다. 경북고의 에이스 출신이었음에도 불구하고 1차 지명에서 '''3명'''이나 뽑을 수 있던 그 시절에 고향팀 [[삼성 라이온즈|삼성]]의 지명을 못 받은 이유를 짐작할 수 있는 부분이다. 심지어 선수 시절 최고의 성적을 기록했던 [[1990년]]조차 후반기에는 투구폼의 속도를 조절하는 변칙스타일이 간파되어 공략당하기 시작했다. 결국 10승 투수임에도 불구하고 [[1990년 한국시리즈]]에서는 선발 로테이션에서 제외되어 불펜으로 배치전환될 정도였다. 같은 1990년에 급격한 기량향상을 보인 [[김태원(야구선수)|김태원]]이 그 후에도 괜찮은 활약을 유지한 것을 생각하면, 1991년의 저조한 성적이 혹사에만 기인한 것인가에 대해서는 이견이 있을 수 있다. == 연도별 성적 == ||<-15>
{{{#ffff00 역대 기록}}} || || {{{#ffff00 연도}}} || {{{#ffff00 소속팀}}} || {{{#ffff00 경기수}}} || {{{#ffff00 이닝}}} || {{{#ffff00 승}}} || {{{#ffff00 패}}} || {{{#ffff00 세}}} || {{{#ffff00 홀}}} || {{{#ffff00 ERA}}} || {{{#ffff00 피안타}}} || {{{#ffff00 피홈런}}} || {{{#ffff00 볼넷}}} || {{{#ffff00 사구}}} || {{{#ffff00 탈삼진}}} || {{{#ffff00 WHIP}}} || || 1988 ||<|2> [[MBC 청룡|MBC]] || 19 || 65⅓ || 1 || 3 || 0 || 0 || 3.72 || 66 || 4 || 21 || 4 || 26 || 1.33 || || 1989 || 20 || 52 || 4 || 1 || 0 || 0 || 4.33 || 62 || 0 || 14 || 5 || 16 || 1.46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수}}} || {{{#ffffff 이닝}}} || {{{#ffffff 승}}} || {{{#ffffff 패}}} || {{{#ffffff 세}}} || {{{#ffffff 홀}}} || {{{#ffffff ERA}}} || {{{#ffffff 피안타}}} || {{{#ffffff 피홈런}}} || {{{#ffffff 볼넷}}} || {{{#ffffff 사구}}} || {{{#ffffff 탈삼진}}} || {{{#ffffff WHIP}}} || || 1990 ||<|4> [[LG 트윈스|LG]] || 27 || 138 || 10 || 5 || 0 || 0 || 3.72 || 142 || 5 || 36 || 12 || 45 || 1.29 || || 1991 || 28 || 131 || 3 || 13 || 0 || 0 || 5.15 || 137 || 12 || 50 || 19 || 46 || 1.43 || || 1992 || 32 || 100 || 6 || 7 || 2 || 0 || 5.13 || 110 || 8 || 53 || 8 || 45 || 1.63 || || 1993 || 21 || 43⅓ || 1 || 2 || 1 || 0 || 4.36 || 58 || 4 || 16 || 7 || 23 || 1.71 || ||<-2> '''[[KBO 리그|KBO]] 통산''' [br] (6시즌) || 147 || 529⅔ || 25 || 31 || 3 || 0 || 4.45 || 575 || 33 || 190 || 55 || 201 || 1.44 || == 은퇴 후 == 경상북도 상주시의 리틀야구단에서 코치로 활동하고 있다.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각주] [[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1965년 출생]][[분류:우완 투수]][[분류:우사우타]][[분류:사이드암 투수]][[분류:MBC 청룡-LG 트윈스/은퇴, 이적]][[분류:경북고등학교 출신]][[분류:연세대학교 출신]][[분류:남평 문씨]][[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