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반지하게임즈]][[분류:모바일 게임]][[분류:한국 게임]][[분류:2017년 게임]]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문샷"은 여기로 연결됩니다. N.Flying의 Man on the Moon 수록곡인 Moonshot, rd1=Man on the Moon, paragraph1=2.1)] [include(틀:반지하게임즈)] |||| '''문샷!''' |||| |||| [[파일:문샷! 로고.webp|width=80%]] |||| || '''개발''' || [[반지하게임즈]] || || '''장르''' || 시뮬레이션 || || '''플렛폼''' || [[안드로이드(운영체제)|[[파일:안드로이드(운영체제) 로고.svg|width=100]]]] || || '''설치''' || [[http://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SemiBasement.MoonShootPro&hl=ko`|[[파일:Google Play 아이콘.svg|height=25]]]] || [목차] == 개요 == > "우리는 사람을 달로 쏘아 보낼 겁니다" [[반지하게임즈]]가 [[허언증 소개팅!]] 다음으로 2017년에 출시한 [[모바일 게임]]이다. 무료인 Lite 버전과 정식 버전[* 1000원을 주고 살 수 있다. --불쌍한 개발자에게 컵라면 한 끼 사주세요. ㅜ.ㅜ 뀨--]이 있다. 자신과 라이벌 중에 누가 더 먼저 로켓 연구에 성공하여 달로 보내는지를 겨루는 간단한 [[시뮬레이션 게임]]이다. == 플레이 == 시작하면 라이벌을 고르는 창이 뜬다. 뉴기니우주학회, [[NASA|나사]], 연방우주국, [[구글|지글]], 낙성대, 로켓단[* 지글, 낙성대, 로켓단은 Lite 버전에서는 할 수 없다.]이 있다. 라이벌을 고르고 나면 게임이 시작되며 강의, 연구, 출판 버튼이 있다. 자금, 명성도 적혀있다. 로켓은 내 연구, 학계수준이다. '''강의'''를 누르면 강의를 하고 5원을 받는다. '''연구'''를 누르면 10원을 사용하여 연구하고 성공하면 내 연구 수준이 1 올라간다. 10원이 없을 경우 눌리지 않는다. '''출판'''은 내 연구 수준이 학계 수준보다 높다면 20원을 사용하여 연구 결과를 출판한다. 출판을 하면 명성이 1 올라가고 돈을 받는 대신 학계와 자신의 연구 수준이 같아진다. 한 번 출판할 때 학계를 더 깜짝 놀래킬수록 돈을 더 많이 얻는다. '''내 연구'''는 자신의 연구 수준이다. 연구를 통해 올릴 수 있다. '''학계 수준'''은 학계의 연구 수준이다. 학계도 꾸준히 연구를 하여 연구 수준을 올린다. '''내 자금'''은 자신의 돈이다. 강의를 통해 얻고 연구를 하거나 출판을 할 때 사용된다. '''내 명성'''은 연구를 출판할 때마다 1만큼 오른다. 명성이 높을수록 정부 보조금을 더 많이 얻을 수 있다. 명성 10을 소비해서 특성을 추가할 수 있다. === 라이벌 === |||| '''Lite 선택 가능 라이벌''' |||| || '''뉴기니우주학회''' || || 뉴기니우주학회에선 태평양 지역의 우수한 과학자들이 최고의 실적을 보이고 있다. 연구 성공시 0~2만큼의 추가 연구 성과를 얻는다. || || '''나사''' || || 나사는 풍부한 재원과 안정적인 인프라를 바탕으로 꾸준히 목표를 성취해간다. 10만큼의 연구 성과를 갖고 시작하며 연구 성공률이 항상 4%로 유지된다. || || '''연방우주국''' || || 연방우주국은 연방의 기술 혁신을 위해서라면 무슨 짓이든 한다. 내 연구가 앞서있다면 1% 확률로 내 연구를 훔쳐간다. || |||| '''Lite 선택 불가능 라이벌''' |||| || '''지글''' || || 지글은 빅 데이터와 젊은 인재들을 바탕으로 발빠르게 트렌드를 따라간다. 내가 출판한 직후 7일간 연구 성공률이 2배가 된다. || || '''낙성대''' || || 낙성대는 오늘도 진리 탐구를 위해 힘쓴다. 내가 강의를 150번 할 때마다 낙성대가 1%의 추가 성공률을 얻는다. || || '''로켓단''' || || 로켓단은 순수하게 나쁜 목적을 가지고 우주 개발 산업에 뛰어들었다. 1% 확률로 100원을 훔쳐간다. 훔쳐간 돈 500원당 연구 성공률이 1% 오른다. || === 특성 === || 유명인사 || 출판할 때마다 50% 확률로 추가 명성 +1 || || 연구센터 || 정부 보조금 2배 || || 학회장 || 학계에서 발표시 15% 확률로 명성 +1 || || 명예교수 || 강의시 추가 자금 +5 || || 선구자 || 내 연구가 학계보다 앞설때 강의시 추가 자금 +10 || || 노력파 || 내 연구가 학계보다 뒤처질때 연구 성공률 50%, 연구 비용 공짜 || || 인기작가 || 출판 인세 2배 || || 조교 채용 || 매일 자금 -5(주의!), 연구 성공률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