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후지큐 하이랜드)] [include(틀:롤러코스터/일본)]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01227, #CF2210)" {{{+1 {{{#ffffff '''문설트 스크램블'''}}}}}}[br]{{{#ffffff '''MOONSAULT SCRAMBLE'''}}}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문설트 스크램블.jpg|width=100%]]}}}|| || '''이름''' ||문설트 스크램블 (MOONSAULT SCRAMBLE) || || '''운행기간''' ||[[1983년]] [[6월 24일]]~[[2000년 4월]] || || '''상태''' ||[[철거]]됨 || || '''기종''' ||Shuttle || || '''위치''' ||[[후지큐 하이랜드]] 센트럴 파크 || || '''제작사''' ||[[롤러코스터/분류/기타 제조사|메이쇼특수산업]][* 현 [[https://sanoyasrides.com|사노야스 라이드 주식회사]]] || || '''트랙 길이''' ||460m || || '''운행 시간''' ||1분 30초 || || '''낙하 횟수''' ||4회 || || '''최고 높이''' ||70.1m (1,509 ft) || || ''' 탑승인원 ''' ||28명 || || '''최고 속도''' ||90km/h || || '''최대 중력가속도[br](G-Force)''' ||'''6.5G''' || || '''인버전''' ||2회 || || '''라이더 인버전''' ||4회 || || '''실내 구간''' ||없음 || || '''특수 트랙''' ||2개[* '''Catch Car Lift Hill''', '''Pretzel Knot'''] || ||<:><-2>{{{#!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01227, #CF2210)" [[후지큐 하이랜드|{{{-2 {{{#ffffff '''FUJI-Q HIGHLAND'''}}}}}}]]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Moonsault_Scramble_29.webp|width=100%]]}}} || [[후지큐 하이랜드]]에 있던 [[롤러코스터]]. 현재는 [[철거]]되었다. == 특징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i_5dmityWEM)]}}}||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01227, #CF2210)" '''▲ 탑승 영상'''}}} || 이월드의 [[허리케인(이월드)|허리케인]]과 [[카멜백]]을 제작한 메이쇼 특수산업에서 제작했으며, 최고속도 95~105km/h, 최고높이 70미터로 설치당시 세계에서 가장 높은 롤러코스터 기록을 세웠다.[* 단, 이 기록에 대해서 논란이 있다. 셔틀코스터 특성상 열차 전체가 최고높이에 도달하지 않기 때문.] 철거된지도 오래되었고, 트랙자체도 매우 단순하며, 비슷한 시기에 철거된 다른 롤러코스터도 있었지만, 이 기구만 현재까지 종종 회자되는 이유는 바로 '''극강의 G포스.''' 자그마치 '''6.5G 이상의 강력한 중력이 탑승객에게 전달되었다!!!''' 이런 막장 중력가속도가 나왔던 이유는 70미터 높이에서 시속 100키로미터 정도의 속도로 그대로 낙하하여 20여 미터 높이밖에 안되는 프레첼 루프 코스에 그대로 진입하기 때문이다.[* 대부분 저 크기의 루프를 가진 코스터들이 대부분 30~40미터 정도의 높이에서 낙하하는걸 생각해보면 이 기구는 얼마나 격렬했을지 대략 알수있다.] 이러한 디자인이 나온 이유는 바로 두번째 언덕에는 따로 열차를 다시 위로 올려주는 시스템 없이 설계를 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이월드의 [[부메랑(롤러코스터)|부메랑]]을 보면 한번 코스를 돈 후에 체인리프트로 열차를 다시 위로 올려서 위치에너지를 증가시켜 트랙을 완주시키게 만든다.] 원래의 열차 속도를 더 줄여버린다면 열차가 다시 스테이션에 진입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수정도 어려웠을 것이다. 정상적인 수치가 나오려면 아예 다시 만들어야 했을 수준이었으니. 때문에 아무런 트랙 수정 없이 철거때까지 그대로 운영되었다. 또한 같은 제작사가 이 기구를 건설하기 얼마전 타 공원에 360도 루프 셔틀코스터를 설치하였는데, 여기서도 5G 이상의 강력한 중력가속도가 나와 열차수를 늘리고 캐치카가 좀더 낮은곳에서 해제되게 하여 속도를 줄여서 중력가속도를 줄이는데 겨우 성공하였다. 문설트 스크램블과 다른 점은 트랙이 매우 간단하였기에 이러한 수정이 가능했던것. 360도 루프 하나가 끝이었다. 이러한 실패사례를 겪고도 전혀 교훈을 얻지 못한 것. 이렇게 극강의 G포스로 명성을 떨치다가 2000년 4월 경 [[도돈파]] 설치 공사로 인해 철거되었다. == 여담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4b654e3b.jpg|width=100%]]}}} || * 철거된 이후엔 비클이 자이언트코스터의 비클과 함께 전시되어 있다. * 탑승한 사람의 경험을 들어보면 강한 가속도도 가속도지만, 메이쇼 특유의 타이어 브레이크를 사용하기 때문에 고무타는 냄새가 많이 났다고 한다. * 1985년 영화 My Lucky Stars에 등장했다. * 미국 롤러코스터 외의 롤러코스터들 중 극강의 G 포스를 가하는 3대 롤러코스터들 중 하나였다.[* 나머지 2개는 갤럭시랜드의 [[마인드 벤더]]와 루돌프 바르트의 드라여 루핑 코스터. 이중에서도 문설트 스크램블이 극강의 G 포스를 자랑한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후지큐 하이랜드, version=370, paragraph=4.2.2)] [[분류:후지큐 하이랜드]][[분류:일본의 롤러코스터]][[분류:없어진 롤러코스터]][[분류:1983년 설립]][[분류:2000년 폐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