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고려의 인물]][[분류:조선의 공주]][[분류:몰년 미상]] [include(틀:조선의 왕녀/익조 ~ 연산군)]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51232, #94153e 20%, #94153e 80%, #751232)" '''{{{#ffd400 조선 도조의 왕녀[br]{{{+1 문숙공주 | 文淑公主}}}}}}'''}}} || || '''{{{#gold 생몰년}}}''' ||<-2>[[생몰년 미상|미상]] || || '''{{{#gold 본관}}}''' ||<-2>[[전주 이씨]] || || '''{{{#gold 부왕}}}''' ||<-2>[[도조(조선)|도조]] || || '''{{{#gold 모후}}}''' ||<-2>[[경순왕후]] || || '''{{{#gold 부군}}}''' ||<-2>김마분(金馬粉) || || '''{{{#gold 시호}}}''' ||<-2>'''문숙공주(文淑公主)''' || [목차] [clearfix] == 개요 == [[고려]]의 인물. 사후 [[조선]]의 [[공주]]로 추존되었다. [[태조 이성계]]에게는 [[고모]]가 된다. == 생애 == [[고려]]에서 [[다루가치]]직을 지낸 [[도조(조선)|이춘]]과 그의 첫 번째 부인 [[경순왕후|박씨]] 사이에서 차녀로 태어났다. 이후 [[다루가치]] 김마분(金馬粉)과 혼인하였다. === 사후 === [[조선]]의 [[창업군주]]인 태조 이성계의 4대조를 [[왕|임금]]으로 추존하는 과정에서 문숙공주의 부모이자 이성계의 2대조인 이춘과 문주 박씨(文州 朴氏)가 각각 ‘도조(度祖)’와 ‘경순왕후(敬順王后)’로 가상되었다.[* [[https://sillok.history.go.kr/id/kca_11104022_001|#]]] 부모가 왕과 왕비가 되었으니 그 둘의 장녀인 문숙공주도 자연스럽게 공주(公主)가 되었다. 이후 왕실 족보인 《선원보략》에도 ‘문숙공주(文淑公主)’로 정식 등재되었다. == 가족관계 == * '''친정([[전주 이씨]])''' * 조부 : [[익조(조선)|익조]](翼祖) 이행리(李行里) * 조모 : [[정숙왕후]] 최씨(貞淑王后 崔氏) * 부 : [[도조(조선)|도조]](度祖) 이춘(李椿) * 모 : [[경순왕후]] 박씨(敬順王后 朴氏) * 남매 : [[완창대군]](完昌大君) 이자흥(李子興) * 남매 : [[환조(조선)|환조]](桓祖) 이자춘(李子春) * '''조카 : [[태조(조선)|태조]](太祖) 이성계(李成桂)''' * 남매 : [[완원대군]](完原大君) 이자선(李子宣) * 남매 : [[완천대군]](完川大君) 이평(李平) * 남매 : [[완성대군]](完城大君) 이종(李宗) * 언니 : [[문혜공주]](文惠公主) * 여동생 : [[문의공주]](文懿公主) * '''배우자''' * 남편 : 김마분(金馬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