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문승원)] [목차]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6cba9c0d-d864-47fd-98ca-6e679fb28a33.jpg|width=100%]]}}} || [[SSG 랜더스]] 소속 투수 [[문승원]]의 선수 경력을 정리한 문서. == 아마추어 시절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문승원 고려대.png|width=100%]]}}} || || '''고려대 시절.''' || 원래 고등학교 시절 주로 내야, 외야, 특히 주로 [[3루수]]를 맡던 유틸리티 플레이어였지만, 고등학교 3학년 때 [[투수]]로 전향했다. 이후 고려대로 진학해서[* 이때 [[원광대학교]] [[체육교육과]]에도 장학생으로 뽑혔다. 그러나 부모님은 간판이 좋은 대학을 가라고 해서 고려대로 진학. 참고로 문승원의 경우는 흔히 세종캠퍼스 사회체육학과로 알려져 있지만, [[https://www.youtube.com/watch?v=|실제로는 서울캠퍼스 체육교육학과가 맞다]]. 서울 정기 연고전은 서울캠퍼스 학생들만 참여 가능하며(연고전 관람은 2캠퍼스 학생들도 할 수 있다. 단, 선수들의 참여는 안 된다) 체육특기생들은 03학번 뒤로는 무조건 체교과밖에 못 들어가기 때문이다.] [[임치영]], [[윤명준]]과 함께 주축 투수였다. 드래프트를 앞둔 시점에서 많은 주목을 받는 선수는 아니었으나 [[회장기 전국대학야구 하계리그|대학 하계리그]]에서 2경기 연속 완봉승에 최고구속 150km/h를 찍으며 주가가 급상승하여 드래프트 즈음엔 최대어 중 1명이 되어 있었다.[* 길홍규 감독은 이런 문승원에 대해 "막차 타고 들어와서 1등으로 나간 선수"라고 언급했다. 그만큼 문승원이 얼마나 많은 노력을 했는지 보여지는 부분이다.] 2012년 드래프트에서 SK에게 1라운드 전체 8순위에 지명을 받고 [[SK 와이번스]]에 입단했다. 이 해 드래프트 7라운드엔 같은 고려대 출신 [[임치영]]도 지명되었는데 정작 임치영이 문승원보다 2달 먼저 데뷔했다.[* 고려대 08학번 동기로 임치영 외 [[황정립]], [[윤명준]], [[박세혁]], [[김상호(1989)|김상호]], [[썩코치]]가 있다. 또한 한 학번 아래에 [[김준완]], 두 학번 아래에는 [[문상철]]이 있다.][* 이때 [[박동희(기자)|박동희]]는 1라운드 지명에서 문승원의 롯데행을 예상했는데 롯데가 [[김원중(야구선수)|김원중]]을 지명해 박동희의 예상은 틀렸다. 박동희가 SK 1차 지명을 예상한 선수는 바로 [[변시원|변진수]]. 변진수는 2라운드에서 [[두산 베어스|두산]]이 지명했다.] == [[SK 와이번스]]-[[SSG 랜더스]] == === 2012 시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130110023050_0_59_20130110175714.jpg|width=100%]]}}} || || {{{#ffffff '''KBO 리그 데뷔전에서 전력투구하는 문승원.'''}}} || 6월 21일 롯데 전에 팀이 6:2로 뒤지고 있는 상황에서 처음으로 1군 등판을 치렀다. 이승화를 3루 땅볼로, 정훈은 우익수 플라이로 잘 잡아냈지만 전준우에게 좌전 안타 허용 후 김주찬에게 사구를 내준 상황에서 [[김성현(1987)|김성현]]이 실책으로 기록되지는 않았으나 공을 빠뜨리며 전준우가 홈인해 1실점했다. 이후 용덕한을 삼진으로 처리하며 1군 첫 등판을 마무리했다. 6월 23일 KIA 전에 팀이 2:8로 지고 있는 주자가 3루에 있는 상황에서 등판해 김원섭을 1루수 땅볼로 잡아냈으나 그 사이 3루 주자 윤완주가 홈인하며 실점했다. 이후 흔들리지 않고 김선빈을 3구 삼진으로, 홍재호도 삼진으로 잡아내 2연속 삼진을 기록했다. === 2013 시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문승원2013.jpg|width=100%]]}}} || 3월 30일 LG전에 구원 등판해서 1이닝 동안 무실점 투구를 기록했다. 4월 2일 두산전에서 0이닝 3피안타 2실점으로 부진했다. 13일 NC전에서 구원 등판해서 1이닝 무피안타 무실점으로 쾌투했다. 19일 KIA전에서 1⅓이닝동안 1피안타 2볼넷 1K 무실점을 기록했다. 21일 KIA전에서 1이닝 3피안타(1피홈런) 1실점을 기록했다. 5월 23일 NC전에서 선발투수로 등판했지만 무너진 [[윤희상]]을 대신해 팀의 두번째 투수로 등판했다. 4이닝 2피안타(2홈런) 1볼넷 5K 2실점으로 제 몫을 다했다. 6월 5일 NC전에서 1⅓이닝 동안 2피안타(1피홈런) 1K 2실점을 기록했다. 9일 한화전에서 ⅓이닝 동안 2피안타 무실점을 기록했다. 13일 두산전에서 1이닝동안 1볼넷 1K 무실점을 기록했다. 7월 6일 한화전에서 구원등판했다. 1이닝 무피안타 무실점으로 호투했다. 13일 LG전에서 1⅔이닝 동안 5피안타 1볼넷 1K 2실점으로 부진했고 결국 말소됐다. [[SK 와이번스/2013년/9월/12일|9월 12일 두산전]]에서 약 두 달만에 1군 등판을 했는데 ⅓이닝 동안 1사구 무실점을 기록하면서 악몽같은 9회초를 어떻게든 마무리지었다. 24일 삼성전에서 2⅓이닝 동안 2피안타 2K 1실점을 기록했다. 다음날인 25일에는 ⅓이닝 무실점 투구를 했다. 30일 롯데전에서 1⅔이닝 1피안타 1사구 1K 무실점을 기록했다. 10월 4일 롯데전에서는 '''데뷔 첫 선발 기회'''를 얻었는데 6이닝동안 8피안타(1피홈런) 볼넷 6실점(5자책)을 기록했다. 시즌 최종 기록은 24⅓이닝 1패 ERA 5.55. === [[상무 피닉스 야구단]] 시절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OXLJIBPJMHPSAE2XGFW7RPITQ.jpg|width=100%]]}}} || 2013 시즌 이후 [[정영일(야구선수)|정영일]]과 함께 [[상무 피닉스 야구단]]에 최종 합격하여 2014, 2015 시즌은 상무에서 보내게 되었다. 2014 시즌은 39경기에 출장해서 1승 4패 1세이브 4홀드 46⅔이닝 ERA 5.79로 다소 부진했으며, 모든 경기를 구원 투수로 등판했다. 그 다음 해인 2015 시즌은 ERA 4.44로 지난 해보다 나아진 모습을 보였으며 16경기에 선발로 출전해서 10승 3패 99⅓이닝을 기록했고, 이 시즌부터 본격적으로 선발 투수로 등판하기 시작했다. === [[문승원/선수 경력/2016년|2016 시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16091818120029630_4.jpg|width=100%]]}}} ||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문승원/선수 경력/2016년)] || 상무에서의 선발 경험과 2군에서의 활약으로 인해 선발 투수로 낙점되어 전반기에만 4승을 올렸지만 후반기들어 갑작스럽게 부진하여 아쉬운 성적을 기록했다. === [[문승원/선수 경력/2017년|2017 시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17081321423627589.jpg|width=100%]]}}} ||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문승원/선수 경력/2017년)] || '''필패카드에서 필승카드로 환골탈태'''하며 '''[[박종훈]]과 함께 SK의 토종 선발 구축에 성공'''했다. === [[문승원/선수 경력/2018년|2018 시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18110610372233054.jpg|width=100%]]}}} ||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문승원/선수 경력/2018년)] || 전반기에는 타선의 지원을 받지 못한 경기가 많았지만 후반기에는 문어저와 문가놈을 오가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그래도 2017년보다 더욱 더 성장한 모습. 가을야구에선 선발로 등판해 다소 운이 따르지 않고 아쉬웠지만, 마지막에 본 실력을 보여주며 '''한국시리즈 6차전 MVP'''도 수상했다. === [[문승원/선수 경력/2019년|2019 시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99cd7d2b-7bf3-466c-a1f2-33e89b9df45f.jpg|width=100%]]}}} ||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문승원/선수 경력/2019년)] || '''커리어 하이 시즌.''' 마침내 데뷔 첫 '''10승'''을 달성한 시즌. === [[문승원/선수 경력/2020년|2020 시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M5FH43PYUKXUH7SAQFP53XHZA.jpg|width=100%]]}}} ||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문승원/선수 경력/2020년)] || 팀의 에이스 선발 투수로 활약했지만, SK가 창단이래 최악의 하락세를 타 6승밖에 얻어내지 못했다. 또한 시즌 막판 팔꿈치 뼛조각 제거 수술을 받기로 결정하면서 시즌을 마감하게 됐다. === [[문승원/선수 경력/2021년|2021 시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69e5068-b25b-4b94-a238-8b503f2e0567.jpg|width=100%]]}}} ||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문승원/선수 경력/2021년)] || [[SSG 랜더스]]로 시작하는 첫번째 시즌. 지난해의 좋았던 분위기를 올해에도 이어서 보여주고 있었지만 팔꿈치 부상으로 인해 갑작스럽게 시즌 아웃되면서 본인과 팀 모두에게 아쉬운 한 해가 됐다. ==== [[비FA 다년계약]] ==== 2021년 12월 14일, '''5년 55억에 연장계약'''을 체결했다. [[안치홍]]의 요청에 따른 KBO의 유권해석에 의해 선수 계약에 대한 규약이 변경되어, 올해부터 FA가 되기 전의 선수도 다년계약이 가능해졌는데, KBO 최초의 비FA 다년 계약으로 그 스타트를 끊게 되었다. [[박종훈]]과 함께 같은 날 계약을 체결하였다. === [[문승원/선수 경력/2022년|2022 시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문승원 22시즌.jpg|width=100%]]}}} ||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문승원/선수 경력/2022년)] || [[토미 존 수술]] 이후 맞이하는 첫 번째 시즌. 팀 사정상 불가피하게 불펜으로 활약하며 프로 데뷔 처음으로 선발 대신 오직 불펜으로만 시즌을 치뤘다. 한국시리즈에서도 불펜으로 활약하며 생애 2번째 우승 반지를 얻게 됐다. === [[문승원/선수 경력/2023년|2023 시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문승원 23.jpg|width=100%]]}}} ||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문승원/선수 경력/2023년)] || '''커리어 로우 시즌.''' 본인의 원래 보직인 선발로 돌아갔으나 부진한 모습을 보였고 결국 시즌 초반 불펜으로 전환됐다. 전환 후 전반기까진 나름대로 제 몫을 보여줬지만, 후반기 들어 부진했고 본인과 함께 장기계약 듀오인 [[박종훈]]이 부진하자 다시 선발 로테이션에 합류했다. 그러나 여전히 부진한 모습을 보였고 장기계약 트리오인 [[박종훈]], [[한유섬]]과 함께 시즌 내내 좋았던 기간보다 부진했던 기간이 더 길었을 정도로 팀에 도움이 되질 못했고, 현재까진 비FA 다년계약의 실패 사례로 남게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그나마 시즌 막판엔 [[한유섬]]과 더불어 어느 정도 반등엔 성공하며 시즌이 끝날 때까지 반등하지 못한 박종훈과는 대비됐다. == 연도별 주요 성적 == ||<-17> {{{#ffffff 역대 기록}}} || || 연도 || 소속 || 출장 || 이닝 || 승 || 패 || 세 || 홀 || 승률 || ERA || 피안타 || 피홈런 || 4사구 || 탈삼진 || 실점 || 자책점 || WHIP || || 2012 ||<|12> [[SK 와이번스|SK]]-[[SSG 랜더스|SSG]] || 2 || 2 || 0 || 0 || 0 || 0 || 0.000 || 4.50 || 2 || 0 || 0 || 3 || 1 || 1 || 1.00 || || 2013 || 16 || 24⅓ || 0 || 1 || 0 || 0 || 0.000 || 5.55 || 29 || 5 || 6 || 13 || 16 || 15 || 1.44 || || 2014 ||<-15><|2> 군복무 ([[상무 야구단]]) || || 2015 || || 2016 || 20 || 63⅔ || 4 || 4 || 0 || 0 || 0.500 || 6.64 || 86 || 12 || 33 || 49 || 52 || 47 || 1.87 || || 2017 || 29 || 155⅓ || 6 || 12 || 0 || 0 || 0.333 || 5.33 || 181 || 25 || 54 || 86 || 98 || 92 || 1.51 || || 2018 || 31 || 150⅔ || 8 || 9 || 1 || 1 || 0.471 || 4.60 || 180 || 24 || 37 || 122 || 86 || 77 || 1.44 || || 2019 || 26 || 144 || 11 || 7 || 0 || 2 || 0.611 || 3.88 || 130 || 23 || 33 || 99 || 63 || 62 || 1.13 || || 2020 || 25 || 145⅔ || 6 || 8 || 0 || 0 || 0.429 || 3.65 || 136 || 13 || 45 || 117 || 64 || 59 || 1.24 || || 2021 || 9 || 50⅓ || 2 || 2 || 0 || 0 || 0.500 || 2.86 || 42 || 1 || 20 || 32 || 20 || 16 || 1.19 || || 2022 || 23 || 24⅔ || 1 || 1 || 3 || 3 || 0.500 || 5.11 || 32 || 3 || 9 || 25 || 15 || 14 || 1.58 || || 2023 || 50 || 105 || 5 || 8 || 1 || 9 || 0.385 || 5.23 || 138 || 12 || 41 || 65 || 67 || 61 || 1.65 || ||<-2> '''[[KBO 리그]] 통산[br](10시즌)''' || 231 || 865⅔ || 43 || 52 || 5 || 15 || 0.453 || 4.62 || 956 || 118 || 309 || 611 || 482 || 444 || 1.41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문승원, version=501, paragraph=2)] [[분류:야구선수/커리어]][[분류:문승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