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fff '''{{{+1 문지원}}} [br]Moon Ji-won'''}}}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 문지원 작가.jpg |width=100%]]}}} || ||<|2> '''출생''' ||[[1982년]] || ||[[인천광역시|인천직할시]]|| || '''국적''' ||[include(틀:국기,국명=대한민국)] || || '''학력''' ||[[고등학교]] {{{-2 (중퇴)}}}[br]하자작업장학교 {{{-2 (영상디자인학 / 졸업)}}} [* [[연세대학교]]가 [[서울시]]에서 위탁을 받아 운영하는 청소년 학습센터. 2004년 졸업.] || || '''경력''' ||독립영화협의회 독립영화워크숍{{{-2 (67기)}}}[* 독립영화협의회가 운영하는 예비영화인들을 위한 입문과정 워크숍이다. 1985년 영화인 낭희섭이 만든 작은영화워크숍을 시작으로 현재까지도 운영되어오고 있다. 대표적인 출신 인물로는 한국영화의 거장인 영화감독 [[류승완]], 류승완의 아내이자 영화사 (주)외유내강을 운영하는 영화제작자 [[강혜정(영화제작자)]], [[D.P.]]를 연출한 영화감독 [[한준희(영화감독)]], [[엑시트]]를 연출한 [[이상근(영화감독)]] 감독 등등 다양하다.] [br]2006 [[MBC]] 시청자위원회 위원[br][[한국콘텐츠진흥원]] 콘텐츠창의인재동반사업 창의교육생 || || '''수상''' ||[[2005년]] 서울국제여성영화제 최우수 신인감독상[* 수상한 작품은 하자작업장학교에서 만든 단편영화 《헬멧》으로 학교 졸업작품이다.] [br][[2016년]] 제5회 롯데시나리오대상공모전 대상[br] [[2022년]] [[아시아태평양 어워즈|제8회 APAN 스타 어워즈]] 작가상 || || '''데뷔''' ||[[2003년]] 단편영화 《헬멧》[br][[2019년]] 장편영화 [[증인(영화)|증인]] [* 장편영화 데뷔로 제5회 롯데시나리오대상 공모전에 본 작품 시나리오가 대상으로 당선되었다가 2년여만에 영화가 제작되어 시나리오 작가로 데뷔하였다.]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시나리오 작가]]이자 [[영화 감독]], [[작가]]. 2019년 영화 [[증인(영화)|증인]]의 각본으로 장편 영화에 데뷔했고, 2022년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로 드라마계에 데뷔했다. == 생애 == 인천 출신.[* 하자작업장 졸업작품의 가사를 문지원(원)이 썼는데 인천 촌년이라는 가사가 있다.] 중학교 시절 영화감독을 꿈꾸었고, 학교를 그만두고 더 많은 것들을 배워보고 싶어 고등학교를 중퇴하였다. 이후 상경하여 하자작업장학교에서 영상을 공부하면서 단편영화들과 다른 영상들을 연출 하였고 그중 한 작품인 단편 《헬멧》으로 서울국제여성영화제 최우수 신인감독상을 수상하였다. 하자작업장학교 시절 모습은 유튜브에 나와있는 졸업영상에서 찾아볼 수 있다. ([[https://youtu.be/Ne72dM4nbVM]|링크]]) 영화를 좋아하지만 방송도 그만큼 좋아해 [[일간스포츠]]에서 2003년부터 2006년동안 '원의 드라마 읽기'라는 제목으로 칼럼을 연재한 적이 있다. 또한 2006년 [[MBC]] 시청자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한 이력이 있다. 2013년 한국콘텐츠진흥원에서 진행하는 콘텐츠창의인재동반사업[* [[한국콘텐츠진흥원]]에서 국비로 지원되는 인재육성사업으로 매달 100만원씩을 장기간 지급하고, 다양한 기존 창작자들의 강의부터 창작 이외에 심리, 대중문화평론가, 대학교수, 전문가, 학술연구진 등을 초빙해 강의를 한다고 한다.]의 창의교육생으로 선정되어 매달 100만원씩 지급받으며 시나리오들을 썼다. 실제로 문지원 작가가 인터뷰에서 이 시기를 회고하기를 생활이 궁핍해 창작의 뜻을 잘 이룰 수 없었는데 본 사업에 선정되면서 생계를 유지하면서도 좋은 창작 역량이 발현되었고, 지금까지도 이어지는 많은 것들을 배웠다고 한다. 2016년 [[롯데]]에서 주최하는 제5회 롯데시나리오대상공모전에서 대상을 수상하였다. 이때 쓴 시나리오가 [[증인(영화)]]으로, 시나리오 당선후 영화 [[완득이]],[[우아한 거짓말]]의 이한 감독이 메가폰을 잡아 2년여만에 제작/개봉하였다. 증인에 나오는 자폐 소녀 지우가 [[변호사]]가 되었으면 어땠을까 하는 방향으로 쓴 시나리오가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극본 집필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고 한다. 증인을 좋게 본 제작사 에이스토리가 2019년 먼저 작가에게 제안해 시작된 작품이라고 한다. 2022년 [[ENA]], [[넷플릭스]]에서 방영된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가 그야말로 '우영우 신드롬'이라 불리울 정도로 폭발적인 인기와 화제성으로 큰 호평과 주목을 받았다. '''전국 시청률이 17.5%, 수도권 시청률이 19% 이상에 육박하는 흥행가도에 오르면서 문지원 작가의 대성공작이 되었다.''' 심지어 작가의 드라마 첫 데뷔작이다. 차기작 <데프 보이스>는 마루야마 마사키의 일본 소설을 각색해 각본과 연출을 동시에 맡아 상업영화 감독으로도 [[입봉]]할 예정이다. [[코다]](CODA, 농인 부모의 청인 자녀) [[수어]]통역사가 주인공인 작품으로, 즉 2연속으로 [[자폐성 장애]]를 다룬 데 이어 이번에는 [[청각장애]] 분야에 도전하는 것이다. == 필모그래피 == === 영화 === * 단편영화 《바다를 간직하며》 (2002) * 단편영화 《헬멧》 (2003) * 단편영화 《창문 너머 별》 * 장편영화 《[[증인(영화)|증인]]》 (2019) === 드라마 === *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2022)''' == 여담 == * 본인이 집필한 영화 [[증인(영화)|증인]]의 주연 배우인 [[정우성]]이 2019년 백상예술대상 영화 부문 대상을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의 주연 배우인 [[박은빈]]이 2023년 백상예술대상 TV 부문 대상을 수상하는 진기록을 세웠다. == 논란 == ===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논란 및 사건 사고#s-2.1|박원순 연관 논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상한 변호사 우영우/논란 및 사건 사고, 앵커=박원순 헌정 및 미화 의혹 논란)] [[분류:한국 영화 감독]][[분류:대한민국의 영화 각본가]][[분류:대한민국의 드라마 각본가]][[분류:한국 여성 작가]][[분류:1982년 출생]][[분류:인천광역시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