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장성군의 고등학교]] [include(틀:전라남도 장성군의 고등학교)] ||||
<:>'''{{{+1 문향고등학교}}}[br]文鄕高等學校[br]Munhyang High School''' || |||| [[파일:문향고등학교 로고.png|width=50%]] || |||| [include(틀:지도, 장소= 문향고등학교, 너비=100%, 높이=100%)] || || '''개교''' || 1969년 3월 16일 || || '''유형''' || 일반계 고등학교 || || '''성별''' || [[남녀공학]] || || '''형태''' || [[공립]] || || '''교장''' || 양기열 || || '''교훈''' || 성실(誠實) [br] 그대 비상(飛上)하라 || || '''교화''' || [[철쭉]] || || '''교목''' || [[향나무]] || || '''교색''' || [[녹색]] || || '''학생 수''' || 239명[*기준 2022년 3월] || || '''교직원 수''' || 47명[*기준] || || '''관할 교육청''' || [[전라남도교육청]] || || '''주소''' || [[전라남도]] [[장성군]] 장성읍 문화로 94(기산리 386-2) || || '''홈페이지''' ||<:> [[https://jne.jne.kr/user/indexMain.action?siteId=munhyang_hs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https://www.youtube.com/channel/UC-sj33TKjd_wPaWnqTmoba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목차] [clearfix] == 개요 == [[전라남도]] [[장성군]] 장성읍 기산리에 있는 공립고등학교로 1969년 개교하였다. == 학교 연혁 == ||
1969. 03. 16. || 장성여자종합고등학교 개교 || || 1990. 03. 01 || 교명 변경 (장성여자상업고등학교) || || 2001. 03. 01. || 교명 변경 (장성생활정보고등학교) || || 2006. 03. 01. || 교명변경 문향(文鄕)고등학교 || || 2014. 03. 01. || 학칙 변경(보통과 12학급) || == 교훈 및 상징 == *그대 비상(飛上)하라 *성실(誠實) === 교표 === [[파일: 문향고등학교 로고.png|width=600]] 문향고등학교 ('''M'''un'''H'''yang) 의 영어 이니셜을 담아 만들어졌다. === 교화 === *철쭉 [[파일:철쭉.jpg|width=300]] 절개와 슬기, 고결한 기품 === 교목 === *향나무 [[파일:향나무.jpg|width=300]] 변함없는 강인한 의지 === 교색 === *녹색 [[파일:녹색.jpg|width=300]] 생동적이며 진취적인 기상 === 교가 === [[파일:문향고등학교 교가.jpg|width=400]] [[https://jne.jne.kr/user/schoolSongDown.action?siteId=munhyang_hs|교가 음원 다운로드]] == 학교 특징 == * 1969년 개교했지만 일반고(인문계)로 완전히 전환된 건 2014년이다. * 문향고등학교는 [[남녀공학]]의 성격을 유지하며 1:1 성비에 맞춰지고 있다. 2021학년도 입학생까지는 여학생이 비교적 많았지만[* 일반고로 전환되기 이전의 장성여자종합고등학교 시절에는 여고였었던 영향이다.] 2022학년도에는 남학생 비율이 여학생보다 높아져 1:1에 가까워지고 있다.[* 2022학년도 1학년은 남학생 44 : 37 여학생이었다.] 하지만 2023학년도 입학생은 여학생의 비율이 남학생보다 많다. * 전라남도 고등학교치고는 많은 편이지만, 인근 지역[* 광주,나주,함평,화순,담양 등]의 고등학교에 비하면 학생 수(정원)가 적은 편이다. 학년 당 정원 80명으로 한 반당 20명 내외, 총 4반으로 구성된다. * 사교육을 많이 받지는 않는 편이다. 장성읍의 학원이나 광주의 학원을 주로 다니며 기숙사 학생의 경우 인강을 더 많이 듣는다. == 학교 시설 == === 기숙사 === * 공식 이름은 '문향학사'이며, 학교 내에서는 그냥 기숙사라고 부른다. * 남학생동과 여학생동이 한 건물안에 있지만 출입구가 나뉘어져 있고 복도 중간에 잠긴 문이 있어 기숙사 안에서는 남학생과 여학생이 만날 일이 없다. 사실상 다른 건물이다.[* 경계와 가까운 호실의 학생들은 벽간 소음을 경험해 약간의 소통이 가능하다고 전해진다.] * 최대 남학생 60명, 여학생 92명을 수용할 수 있다. 재학생의 30~40%가 기숙사 입소가 가능한 규모이다. 하지만 코로나 이후 4인실에서 3인실로 개편되면서 수용인원이 적어졌다.[* 이는 코로나 사태가 마무리되면 다시 4인실로 바뀔 가능성이 높다. (코로나 전 4인실-> 코로나 확산기 2인실 -> 현재 3인실)] * 기숙사생은 야간자율학습이 의무이며, 기숙사 면학실 자습도 특정 시간대는 의무이다. 의무인 자습만해도 끝나면 저녁 11시가 넘어서 자습시간 확보에는 효율적이다. 원하는 학생들은 1시까지 자습이 가능하다.[* 시험기간(고사 2주 전부터)에는 더 연장된다.] 반면 자습을 원치 않는 학생들은 고통받는다는 이야기가 많다.[* 기숙사를 퇴사하는 학생들의 실질적 퇴사사유 중 하나이다.] == 학교 생활 == ||
<:>아침 조회|| 8:30 || ||<:>1교시 ~ 4교시|| 8:50 ~ 12:50 || ||<:>점심시간[* 3학년은 3교시 후 점심시간으로 1,2학년과 다르다]|| 12:50 ~ 13:50|| ||<:>5교시 ~ 7교시|| 13:50 ~ 16:50|| ||<:>방과후(8교시)|| 17:00 ~ 17:50|| ||<:>석식시간||17:50 ~ 19:00|| ||<:>야간자율학습(9~10교시)[* 9교시 후 쉬는 시간이 있다.][* 9교시에 심화스포츠반(방과후)가 운영된다]||19:00 ~ 21:50|| == 운동부 == * 조정부: 방과후, 동아리 같은 취미가 아닌 전문적으로 선수 양성을 위한 훈련이 이루어진다. 장성 내 중학교의 여자 선수들이 주로 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