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2 {{{#ffffff '''물금역'''}}}}}} || ||<-3> {{{#!folding 일반열차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 [[서울역|{{{#!html
서울 방면}}}]][br][[밀양역|밀 양]][br]← 30.8 ㎞ || [[ITX-새마을|{{{#!html
경부선
ITX-새마을
}}}]] || [[부산역(경부선)|{{{#!html
부산 방면}}}]][br][[구포역|구 포]][br]12.8 ㎞ → || || [[서울역|{{{#!html서울 방면}}}]] ||<|2> [[무궁화호|{{{#!html
경부선
무궁화호
}}}]] || [[부산역|{{{#!html
부산 방면}}}]] || ||<|2> [[원동역|원 동]][br]← 9.2 ㎞ ||<|2> [[화명역(경부선)|화 명]][br]9.4 ㎞ → || ||<|2> [[무궁화호|{{{#!html
경전선
무궁화호
}}}]] || || [[목포역|{{{#!html목포 방면}}}]] || [[포항역|{{{#!html포항 방면}}}]] || || [[보성역|{{{#!html
보성 방면}}}]][br][[삼랑진역|삼랑진]][br]← 18.3 ㎞ || [[남도해양관광열차|{{{#!html
S-train}}}]] || [[부산역|{{{#!html
부산 방면}}}]][br][[구포역|구 포]][br]12.8 ㎞ → ||}}}}}} || ||<-3> [include(틀:지도, 장소=물금역, 너비=100%, 높이=225px)] || ||<-3> '''{{{#ffffff 다국어 표기}}}''' || || [[영어]] ||<-2> Mulgeum || || [[한자]] ||<-2><|2> 勿禁 || || [[중국어]] || || [[일본어]] ||<-2> [ruby(勿禁, ruby=ムルグム)] || ||<-3> '''{{{#ffffff 주소}}}''' || ||<-3> [[경상남도]] [[양산시]] [[물금읍]] [[황산로(양산)|황산로]] 347 (물금리) || ||<-3> '''{{{#ffffff 관리역 등급}}}''' || ||<-3> [[보통역]] (3급)[br]([[구포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부산경남본부) || ||<-3> '''{{{#ffffff 운영 기관}}}''' || || [[경부선]] ||<-2><|2> [[한국철도공사|[[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width=100]]]] || || [[양산화물선]] || ||<-3> '''{{{#ffffff 개업일}}}''' || || [[경부선]] ||<-2> 1905년 1월 1일 || || [[양산화물선]] ||<-2> 2006년 5월 10일 || || [[ITX-새마을|[[파일:ITX_saemaeul.png|width=80px]]]] ||<-2> 2014년 5월 12일 || || [[무궁화호|{{{#ffffff 무궁화호}}}]] ||<-2> 1984년 1월 1일 || || [[남도해양관광열차|{{{#ffffff S-train}}}]] ||<-2> 2013년 9월 27일 || ||<-3> '''{{{#ffffff 열차거리표}}}''' || || [[서울역|{{{#!html
서울 방면}}}]][[원동역|원 동]][br]← 9.2 ㎞ || '''[[경부선]]'''[br]물 금 || [[부산역|{{{#!html
부산 방면}}}]][[화명역(경부선)|화 명]][br]9.4 ㎞ → || || {{{#!html
기점}}} || '''[[양산화물선]]'''[br]물 금 || [[양산화물역|{{{#!html
양산화물 방면}}}]][[양산화물역|양산화물]][br]3.5 ㎞ → || {{{+1 勿禁驛 / Mulgeum Station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물금역.jpg|width=100%]]}}}|| || {{{#ffffff '''물금역'''}}} || [목차] == 개요 == [[경부선]]과 [[양산화물선]]의 [[철도역]]으로 [[보통역]]이다. [[경상남도]] [[양산시]] [[물금읍]] [[황산로(양산)|황산로]] 347 (물금리)[* 물금리 372-3]에 위치해 있다. [[서울역]] 기점 412.4㎞. 2023년 초부터 [[구포 경유 KTX]]가 정차한다.[* [[https://m.khan.co.kr/local/Gyeonggnam/article/202204121503001|내년 초 양산 물금역에도 KTX 선다…승강장 확장 착수]] ] == 명칭 == 勿(말다 물)에 禁(금하다 금). 옛날 [[신라]]와 [[금관국|가락국]]이 [[낙동강]]을 사이에 두고 [[국경]]을 접하던 곳이라 관리들의 검색이 심하여 [[강]]을 건너는 두 나라 사람들이 매우 불편한 까닭에 이 지역만은 서로 '금하지 말자' 는 뜻이라는 설이 있다. 역사학계에서는 이 쪽을 미는 듯. 왜냐하면 물금 지역이 [[파사 이사금]] - [[수로왕]] 시절부터 [[신라]]와 [[금관국|금관가야]]의 국경선이었기 때문이다. 양산 지역에서는 [[지마 이사금]] 때부터 신라와 금관가야가 '''400년 가까이''' 피 튀기게 싸웠다. [[지증왕]] 이전의 신라와 금관가야 국력이 고만고만해서 [[소모전]]으로 간 건 덤. 물론 저 물(勿)자가 발음을 적은 [[이두]] 표기로서 "물"(水)을 말할 가능성도 있다. 왜냐하면 우리나라 지명들의 상당수가 소리를 적은 [[이두]]표기의 잔재가 남아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내'가 들어가는 지명이 그러하다. == 수요 == [[양산시]]의 관문격인 역이라고 할 수 있지만 [[경부선]]상에 있는 다른 도시들에 비해서 이 역의 위상은 다소 낮은 편이다.[* 그래도 장유 본시가지랑 한참 동떨어져 있는 [[장유역]]보다는 사정이 훨씬 낫다.] 양산시 시가지의 중심지역과는 상당히 거리가 떨어져있기 때문. 현재는 물금역이 속한 [[물금읍]]과 [[양산신도시]]가 개발되어 중심지가 물금지역으로 상당히 옮겨왔으나 물금역 개통 당시 양산군[* 양산군이 양산시로 승격된 것은 1996년의 일이다.]의 중심지는 지금보다 한참 북쪽인 양산면[* 현재의 양산시 북부동, 중부동, 남부동 일대이다.]이었다. '''당시의 상서면 물금리'''[* '''당시의 물금은 읍면 명칭조차 아닌 '상서면 물금리'지역이었고''' 상서면이 물금면으로 변경된 것은 [[1936년]], 물금면이 물금읍으로 승격한 것은 [[1996년]]이다. ]'''는 허허벌판인 논이었고 양산읍내와는 직선거리로만 7km 남짓 떨어져 있는데다 제법 큰 강인 양산천을 건너야 하는 등 '양산' 이름을 붙이기엔 애로사항이 많았다.''' 따라서 양산에 여객열차가 서는 [[기차]][[역(교통)|역]]이라고는 [[원동역]]과 이 역 둘 뿐이었음에도 이 역 이름이 지역대표성을 가진 [[양산역]]이 아닌 일개 리 이름을 따서 물금역으로 지어진 것은 이 역이 당시 양산을 대표하는 관문 역할을 하기에는 너무도 외진 위치에 있었던 이유가 컸다.[* 2007년에 이 역의 이름을 양산역으로 바꿔보려는 시도가 있기도 했지만 결국 [[양산역]]이라는 이름은 물금역이 개통한 지 100년도 더 지난 뒤 양산으로 연장된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의 새로 생긴 역이 차지했다.] 경부선이 지나가는 전국 모든 도시 중에서 경부선 의존도가 가장 낮았다. 양산시민들도 [[철도]]를 이용할 일이 있으면 [[밀양시]], [[청도군]] 등 단거리 이동을 제외하고는 무궁화/새마을 필수정차역인데다 KTX도 정차하는 [[부산광역시]]의 [[구포역]]을 주로 이용했으며 [[경부고속선]] 2단계가 개통한 이후에는 [[양산 버스 3000]]을 이용해 [[울산역]]에서 [[KTX]]를 타는 사람도 많아졌다. 그러나 양산 구시가지와 물금 사이에 [[양산신도시]]가 개발되고, 물금읍 범어리, 가촌리, 증산리 일대에 대규모의 아파트단지가 들어서면서 낙후되었던 물금역 바로 앞의 물금리까지 대규모 아파트단지들이 입주하면서 앞으로의 전망이 매우 밝다. [[양산시]]. 특히 물금읍의 인구가 늘어나고[* '''2020년 7월 현재 물금읍의 인구는 약 11만 8천명으로, 수도권의 [[화도읍]], [[와부읍]]을 누르고 전국 읍면 중 인구수 1위를 자랑하며 어지간한 중소 시보다 인구가 많다!'''. 당장 양산시 바로 옆의 [[밀양시]]의 인구가 10만 6천명으로 물금읍에 훨씬 못 미친다.] [[역세권]]이 개발되면서 물금역의 위상도 점점 올라가고 있는데 2014년부터는 [[ITX-새마을]]이 정차하기 시작했으며, [[구포 경유 KTX]]의 물금역 정차를 [[한국철도공사]], [[국토부]]에 요구하기까지 하였다.[[http://news20.busan.com/controller/newsController.jsp?newsId=20150504000029|##]] 2017년 들어서 [[http://news20.busan.com/controller/newsController.jsp?newsId=20170328000287|물급읍의 인구증가를 이유를 들어 KTX 정차와 무궁화호 추가 정차등을 지속적으로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본래 [[http://www.busanilbo.com/news2000/html/2007/0709/030020070709.1010102535.html|경부고속선 2단계 개통 시, 구포 경유 KTX를 완전 폐지하는 것으로 가닥을 잡았으나 지자체와 정치권의 항의 끝에]] [[구포 경유 KTX]]를 감편하는 것에서 일단락되었다. 그럼에도 점진적으로 [[구포 경유 KTX]]가 감편되고 있기 때문에 과연 본 역에 KTX가 정차할 지는 알 수 없는 상황. 그런데 2019년 1월 경, '''[[KTX 산천]] 열차가 물금역에 정차한 것으로 보이는 영상'''이 유튜브에 올라왔다(!!) [[https://www.youtube.com/watch?v=vd6Yr3Wcg_w|링크]] 일단 역은 물금역이 맞는데, 왜 이 열차가 이곳에 정차했는지가 의문이다. 심지어 승객 몇 명이 타고 내리는 것도 영상에 포착되었다. 이유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하지만 물금역 이용객의 증가에 걸림돌이 있다면 '''물금역과 연계하는 대중교통편이 눈물날 정도로 부실하다.''' 일단 물금역 정류장에 정차하는 노선은 [[양산 버스 21|21번]], [[양산 버스 26|26번]], [[양산 버스 137|137번]], [[양산 버스 138|138번]]이 전부다. 이 중에서 137번(4회)과 138번(8회)은 원동면 농어촌버스라 운행횟수가 금붕어 눈물만큼 밖에 안 되며, 석산지구를 경유하는 26번도 평일 14회, 주말 7회에 불과하다. 사실상 물금역에서 탈 만한 버스는 20분 간격의 21번 외에는 없다고 봐야 한다. 물금역에서 도보 5분 거리에 있는 물금읍행정복지센터 정류장에는 1500번, 32번, 128번, 128-1번이 정차하지만 별반 차이 없다(개별적으로는 그렇고 이 셋은 노선이 비슷하기 때문에 먼저오는 것을 골라탈 수 있는 메리트는 있다). 원래는 근처에 물금종점이 있어서 버스노선이 많았지만 증산공영차고지 개장으로 노선이 개편되면서 물금역으로 가는 버스가 많이 줄었다. 추가노선 확충이 시급하다. 차라리 부산1호선을 노포~양산~물금, 2호선을 북정역으로 보냈으면 훨씬 좋았을텐데 말이다. 역의 지리적 특성상 서울 쪽으로 가는 승객이 월등히 많다.[* 부산 쪽으로 가는 경우 시내로 가는 버스를 타고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양산역]]이나 [[호포역]]에서 [[부산 도시철도]]를 이용(양산역까지 40분)하거나 물금에서 [[명륜역]]으로 가는 직행좌석 [[양산 버스 1500|1500번]](명륜역까지 1시간 17분)등 부산으로 가는 방법은 많기 때문에 굳이 여기서 탈 이유는... 다만 소요시간은 무궁화가 압도적. 무궁화 기본 운임으로 [[화명역(경부선)|화명역]] 미정차 기준(화명역에 정차한다면 2 ~ 3분 정도 더 걸린다) [[부산역]]이나 [[부전역(동해선)|부전역]]까지 '''25분''', 구포역까지 딱 '''8분'''걸린다. 비슷한 이유로 [[서울역|서울]]~[[수원역|수원]]구간에도 단거리 무궁화 승객이 많다. 현재 물금역 주변 아파트가 대부분 입주 완료되어 출퇴근 시간에는 부산-물금 구간 승객이 제법 많은편이다. 특히 부산역 인근에 직장이 있고 물금역에 거주하는 사람이라면 이보다 더욱 좋은 교통수단은 없다.] 이 때문인지 2015년에 들어서서 늦게나마 부산행 플랫폼에도 지붕을 설치하였다. 고객대기실은 상행 플랫폼에만 있으며 노후된 채로 사용하던 걸 2018년 말 리모델링했다. 2016년 1월 13일 확인결과 승강장 연결 과선교로 올라가는 다리에 엘리베이터를 설치 중이었으며 승강장 육교에서 승강장 남쪽으로 가는 계단 두 곳이 모두 철거됐고, 공사가 2016년 4월 27일까지 진행되었다. 2016년 5월 20일(금) 물금역 이용결과 엘리베이터는 모두 설치되어 운용중이다.[* 다만 승강장 계단이 너무 걷기에 이상하다. 계단의 높이가 반계단 정도이다. --미스테리 계단..--] 역세권에는 소규모로 마을이 있었으나 2020년 기준으로 [[양산신도시]]와 물금지구 개발에 따라 아파트단지들이 상당히 많이 들어섰다. 역 남쪽으로 흘러가는 [[낙동강]]변에 [[4대강 사업]]을 통해 [[자전거도로/국토종주길|낙동강종주자전거길]]과 [[황산문화체육공원]]이 조성되었고, 공원 안쪽에는 [[강민호 야구장]]을 비롯한 여러 스포츠 시설과 여가 시설도 있다.[* 즉 [[황산문화체육공원]]에서 가장 가까이에 인접한 철도역이지만 그마저도 걸어가려면 빠른 걸음으로 도보 15분 정도는 잡았어야 했으나, 바로 옆에 육교가 생겨 1분이면 갈수 있다.] 맞은편에는 벚꽃길[* 양산시민들에게는 물금역 벚꽃길로도 불린다.] 겸 황산공원 통로가 있어 벚꽃축제하는 기간에는 철조망 사이를 통해 플랫폼 옆쪽에서 벚꽃을 볼수있다.--원동역 팀킬?-- == 일평균 이용객 == 물금역을 이용하는 일반철도 일일 승객 수이다. 아래 표는 승차객+하차객의 총합이다. ||<-10> [[무궁화호|{{{#ffffff 무궁화호}}}]] ||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 424명 || 531명 || 485명 || 432명 || 503명 || 598명 || 681명 || 798명 || 885명 || 1,048명 ||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 1,183명 || 1,129명 || 1,281명 || 1,717명 || 2,069명 || '''2,112명''' || ||<-10> [[남도해양관광열차|{{{#ffffff S-train}}}]] || ||<-10> [[ITX-새마을|{{{#ffffff ITX-새마을}}}]] ||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 73명 || 112명 || 129명 || 225명 || 282명 || '''325명''' || * 출처: [[http://info.korail.com/mbs/www/jsp/board/list.jsp?boardId=9863289&id=www_060702000000|철도통계연보]] * 산으로 단절되어 있어 교류가 미미한 웅상지역을 제외한 양산시의 중심역이다. 다만 KTX가 정차하지 않기 때문에 KTX를 원하는 이용객은 [[울산역]],[[구포역]]으로 나뉜다. * 지난 5년간 이용객이 꾸준하게 증가해온 역이다. KTX 개통 이후 대다수의 일반철도역 이용객이 감소해온 가운데, [[물금신도시]]의 발전을 기반으로 성장하고 있다. == 구 역사 == [[파일:구 물금역.png]] 이렇게 생겼다고 한다. 이웃한 [[원동역]]과 상당히 비슷한 구조로서, [[1939년]]에 지은 역사다. 구역사의 모습은 영화 <[[엽기적인 그녀]]>(2001) 첫 장면에서 볼 수 있다. 산 위에서 찍은 물금역 주변 모습과, 구역사를 클로즈업하는 장면으로 영화가 시작된다. 영화를 보면 알겠지만 역 주변은 완전 농촌 그 자체. 지금과는 상전벽해라 할 만하다. 현재 쓰이는 역사는 [[2003년]] 완공한 것. == 열차 운행 정보 == 상행 23편, 하행 22편 총 45편의 열차가 정차하며, [[양산화물선]]이 분기하는 역이다. [[2014년]] [[6월 30일]] 개정 이후로 [[ITX-새마을]]이 1일 2왕복 정차한다.(2018.12.24. 현재 1일 3왕복 정차) [[http://www.yangsan.go.kr/depart/contents.do?mId=0600000000|시간표]] == 비운의 교통과 KTX 정차? == 부산/울산의 중간에 있어 교통과 물류의 요충지인 곳이지만, 희한하게도 철도교통은 가장 낙후된 도시이다. [[경부고속선]]의 경남에서의 KTX 정차역이 단 한 곳도 없는 것을 이유로 들어 시에서는 30만 인구와 주변 수요를 이유로 기장군과 함께 [[KTX 양산역]]을 건의하였지만 한국철도공사는 신나게 깠고, 그 후 물금역에서의 [[구포 경유 KTX]] 정차마저 무산되었다. 사실 부산과 울산의 위성도시이니 "[[부산역]], [[울산역]], [[구포역]]을 이용하면 되지 않느냐?" 또는 "또 [[오송역]] 꼴 낼건가?" 라는 이야기도 나올 만 하지만, 기묘하게도 양산 시가지의 위치가 이 역들과 모두 애매한 거리에 있다는 것을 알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울산역]]-[[양산역 환승센터]]를 오가는 버스의 소요시간은 1시간 이상이며, 도시철도를 이용하여 [[구포역]]을 이용하는 경우 40분, [[부산역]]까지는 1시간이 소요되는 모두 애매한 위치이다. 그나마 [[양산신도시]] 거주자라면 도시철도를 이용해 멀지 않은 [[구포 경유 KTX]]를 이용할 수 있지만.. 그마저도 해당 열차는 배차시간이 긴 편이고, 게다가 '''[[웅상]] 거주자는 [[그런 거 없다]]''' --[[양산선]] 완공 이후에 1호선 급행이 생기더라도 답이 없다-- 아무튼 이 이유를 들어 물금역 KTX 정차나 [[KTX 양산역]] 신설 중 하나는 양산시 인구가 40만명이 돌파한다면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겠으나 그 때쯤이라면 물금역의 위치로 인한 웅상의 반발로 인해 [[KTX 양산역]]이 건설 될 가능성이 가장 높다고 볼 수 있다. 2020년 [[4.15 총선]]에 출마한 [[윤영석]] 의원[* 당선된 상태이다.]이 2023년까지 KTX 정차를 이끌어 내겠다는 공약을 다시 내세웠다. [[http://www.g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6176|#]] 이 공약은 [[더불어민주당]]과 [[미래통합당]] 모두 예전부터 앞다투어 공약으로 내놓은데다, 2023년이면 [[사송신도시]]로 인해 사실상 인구가 40만명이 돌파하게 되므로, 사실상 늦어도 2024년까지는 KTX 정차가 확실시 될 것으로 보인다. --[[밀양시|이]][[구포동(부산)|분]]들이 싫어합니다-- --그 때쯤이면 구포 경유 KTX가 있긴 할까-- 2022년 4월 11일 기사에 따르면 2023년 초 [[구포 경유 KTX]] 정차가 확정되었다.[* [[https://m.khan.co.kr/local/Gyeonggnam/article/202204121503001|내년 초 양산 물금역에도 KTX 선다…승강장 확장 착수]] ] [[분류:대한민국의 철도역]][[분류:1905년 개업한 철도역]][[분류:경부선]][[분류:양산화물선]][[분류:양산시]][[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