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포켓몬스터의 명대사)] [목차] == 개요 == [[파일:attachment/민진/min.jpg]] >もう これは 一から 育て直しかな・・・ >Maybe I need to start again from scratch. [[포켓몬스터 오메가루비·알파사파이어]]에서 [[민진]]이 하는 대사. 주인공이 [[배틀하우스]]에서 어떤 종목이든 50연승을 달성해 트로피 하나를 따면 민진과 다시 배틀할 수 있다. 그 배틀에서 이긴 뒤 다음에 가서 민진을 한번 더 이기면 들을 수 있다.[* 정확히 말하면 4차전부터 공통 멘트를 사용하는 것.] == 실전 포덕의 상징 == 단순히 '자신의 훈련 방법이 잘못되었고, 그것을 뜯어고쳐서 더 강해지겠다' 등 자책 겸 분발의 의지가 담긴 대사로도 볼 수 있겠지만, 어째선지 '''처음부터'''라는 말이 추가되어 매우 비정한 뉘앙스가 되어 버렸다. 이 대사를 하는 시점에서 민진은 [[대우가 안 좋은 포켓몬]]으로 평가받는 [[델케티]]와 [[파비코리]][* 메가파비코리는 델케티 정도의 폐급은 아니지만 [[메가엘레이드]]를 채용했기 때문에 메가진화 슬롯이 부족하다.]를 빼고 6세대 메타 최상위권 [[사기 포켓몬]]이었던 '''[[한카리아스]], [[파이어로]]'''와 앞의 둘만큼은 아니지만 충분히 강하다고 평가받는 [[마릴리]]를 멤버에 포함하고 있었기 때문에 플레이어들은 게임 시스템적으로 '''처음부터 다시 키운다'''고 할 수 있는 행위들인 [[기초 포인트]] 분배, [[포켓몬스터/기술|기술]] 배치, 그리고 '''[[포켓몬스터/알까기|개체 노가다]]'''[* 이 대사를 말하기 직전의 배틀에서 민진의 포켓몬의 개체치는 20. 개체치는 31이 최대치다.]를 새로 하겠다는 의미로 받아들이게 되었다.[* 영어판의 경우, start from the scratch는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겠다는 관용어구이다.] 위의 맥락으로 이해할 경우, 여행을 떠날 때만 해도 평범하게 포켓몬을 좋아할 뿐인 소년인 민진이 알까기나 [[개체치]]를 신경쓰는 [[포켓몬스터/대전|실전]]러로 타락한 상황을 간접적으로 묘사했다고 볼 수밖에 없다. 특이한 점은 해당 대사가 나오는 배틀은 '''주인공이 배틀하우스에서 50연승을 하지 않으면 경험할 수 없다는 것'''이며, 주인공이 배틀에서 승리하면 내뱉는 대사가 저것이다. 즉, 이 대사를 들을 정도의 플레이어는 강력한 실전용 포켓몬을 최소 3마리 이상 육성하여 배틀하우스를 정복하였다는 뜻이다. 만약 플레이어가 실전러가 되지 않는다면 흑화한 민진을 볼 일은 없다고 봐도 된다. 즉, 민진은 처음에는 평범하게 여행을 좋아했던 플레이어가 어느새 실전러의 길에 빠져 흑화해버린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장치라고도 볼 수 있다. == 용례 == 같은 시리즈의 [[피아나]]와는 달리 민진 자체를 까기 위한 대사라기보단 민진과 비슷하게 '''타락해버린 실전러'''를 지적할 때, 주로 스스로를 자학하는 표현으로 많이 쓰인다.[* 애초에 피아나와 달리 민진이 딱히 비판받는 캐릭터도 아니긴 하다. ] 비슷하게 포켓몬 유저들의 행동을 꼬집는 후속작에 나오는 [[루자미네]]의 '''쓸모없는 포켓몬은 멋대로 파티에서 제외하잖아?'''란 대사와 같이 쓰일 때도 있다.[* 다만 루자미네는 본인이 한 짓이 있는 만큼 그다지 설득력은 없다고 여겨지고 오히려 뜬금없는 대사로 비판받는 반면 민진은 스토리 전반을 길게 걸쳐 평범한 포켓몬 트레이너가 실전러로 타락해가는 과정을 표현하고 있기에 훨씬 주제의식 면모에선 뛰어나다고 평가받는다.] [[분류:포켓몬스터 오메가루비·알파사파이어]][[분류:포켓몬스터/밈/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