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941년 전투]][[분류:독소전쟁/전투]] [include(틀:2차 세계대전의 전투 목록(유럽 및 아프리카))] ||<-3> {{{+1 '''뮌헨 작전'''}}} || ||<-3>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소전쟁]]의 일부 || ||<-3> [[파일:Южен_фронт_ВСВ_(22.06_-_10.07.1941).png|width=70%]] || ||<-3> 뮌헨 작전 진격로. || ||<-3> '''날짜''' || ||<-3> [[1941년]] [[7월 2일]] ~ [[7월 26일]] || ||<-3> '''장소''' || ||<-3> 헤르차 주, 북부코비나, [[베사라비아]] || || '''교전국''' ||<^|1>[include(틀:국기, 국명=소련)] ||<^|1>[include(틀:국기, 국명=나치 독일)][br][[파일:루마니아 국기.svg|width=23]] [[루마니아 왕국]] || || '''지휘관''' ||<^|1>[[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width=23]] 야코프 체레비첸코 [br] [[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width=23]] 이반 튤레네프 [br] [[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width=23]] 파벨 포네들린 [br] [[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width=23]] 필리프 옥챠브스키 ||<^|1>[[파일:루마니아 국기.svg|width=23]] [[이온 안토네스쿠]] [br] [[파일:루마니아 국기.svg|width=23]] 니콜라에 추페르카 [br] [[파일:루마니아 국기.svg|width=23]] 페트레 두미트레스쿠 [br]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width=23]][[오이겐 리터 폰 쇼베르트]] || || '''참전 군단''' ||<^|1>오데사군구 소속 [br] [[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width=23]] 9군 [br] [[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width=23]] 12군 [br] [[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width=23]] 18군 ||<^|1>안토네스쿠 집단군 [br] [[파일:루마니아 국기.svg|width=23]] 3군 [br] [[파일:루마니아 국기.svg|width=23]] 4군 [br]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width=23]] 11군|| || '''병력''' ||[[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width=23]] 364,700명 [br] 전차 700대 [br] 항공기 1750대 [br] 연안 감시선 5대 [br] 장갑무장보트 22대 ||[[파일:루마니아 국기.svg|width=23]] 325,685명 [br] 전차 201대 [br] 항공기 672대 [br] 해안감시선 1대 [br] 연안감시선 6대 [br] 무장보트 4대 이상 [br]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width=23]] 5개 사단 [br] 항공기 420대 || || '''피해''' ||[[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width=23]] 전체: 17,893명 [br] 8,519명 사망/실종, 9,374명 부상 [br] 항공기 255대 [br] 연안 감시선 2대 손상 [br] 장갑무장보트 7대 침몰 ||[[파일:루마니아 국기.svg|width=23]] 전체: 21,738명 [br] 4,112명 사망, 12,120명 부상, 5,506명 실종 [br] 항공기 58대 || [목차] [clearfix] == 개요 == 뮌헨 작전은 루마니아가 1940년에 소련에 양도한 헤르차주 북부코비나 베사라비아 지역을 점령한 작전이다. 독일군은 루마니아군과 함께 진격했으며 이는 베사라비아 지역 유대인에 대한 학살로 이어졌다. == 전개 == 7월 2일 루마니아군이 북부 지역을 공격하면서 시작되었다. 7월 5일에는 북부코비나의 수도인 [[체르니우치]]를 제3, 제23 브너토리 데문테(Vânători de Munte) 대대가 점령했다. 7월 16일, 126대의 [[LT vz. 35|R-2]] 경전차를 대동한 루마니아 제1기갑사단이 격렬한 전투끝에 베사라비아의 수도인 [[키시너우]]를 함락시켰고, 7월 26일에는 전 지역이 루마니아군과 독일군의 지배하에 들어갔다. 8월 17일에 베사라비아와 북부코비나는 다시 루마니아에 통합되었다. 한편 남부 베사라비아 지역에서의 공세는 양측의 포병, 군함, 항공기, 육군, 해병대가 뒤엉켜 매우 복잡하게 이루어였다. 소련의 다뉴브 소함대는 연안감시선 7대, 장갑무장보트 22대, 7대의 기뢰제거선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루마니아의 다뉴브 소함대는 7대의 연안감시선과 4대 정도의 소형 무장보트로 이루어져 있었다. 이들은 이미 작전 며칠 전부터 교전을 시작하였고, 첫 교전은 6월 23일 루마니아군의 해상봉쇄를 부수기 위한 소련군의 공격으로 시작되었다. 6월 26일, 콘스탄챠(Constanța) 해상에서의 기습을 지원하기 위해 장갑무장보트들은 칠리아 베체(Chilia Veche)에 병력을 상륙시켜 루마니아 제15해병대대의 많은 병력을 포로로 잡았고, 루마니아군은 468명을 잃고 만다. 이 대대의 잔존 인원들은 한 대의 무장보트와 2대의 모터보트의 지원을 받으며 스티포크 섬(Stipoc Island)을 소련군의 공격으로부터 방어해냈다. 루마니아 제17해병대대는 소련군의 공격을 며칠동안 방어해내면서 페리프라바(Periprava) 지역을 방어해냈고, 이동안 포병들은 소련의 무장선 4대를 침몰시켰다. 7월 9일 밤에서 10일 새벽 사이에는 소련 군함은 봉쇄선을 돌파하여 탈출하였으며 7월 18~19일 밤에 소련 다뉴브 소함대는 다뉴브 삼각주에서 후퇴하였다. 7월 22~23일 밤, 대대는 타타르부나리(Tatarbunary)를 점령하였고, 결국 소련 다뉴브 소함대의 손실은 최종적으로 연안감시선 2대가 파손되고, 장갑무장보트 5대가 침몰하였고 1대는 손상되었다. 그리하여, 7월 22일, 루마니아군은 레니(Reni), 이즈마일(Izmail), 킬리야(Kiliya), 빌코프(Vylkove)를 점령했다. === 해전 === 루마니아군의 툴체아 그룹(Tulcea Group)은 소련 해군과 여러번의 해전을 벌였고, 이 전투로 소련군 감시선 2대와 2대의 장갑무장보트를 손상시켰고, 1대의 장갑무장보트는 침몰시켰다. 7월 13일에는 루마니아 감시선 미하일 코걸니체아누(Mihail Kogălniceanu)는 코파나 발카(Copana Balca) 마을 근처에서 소련 감시선과 조우하였고, 양방의 포격이 있었고 소련 감시선은 직격탄을 얻어맞고 바로 포격을 가했지만, 피해를 주진 못했다. 7월 14일, 미하일 코걸니체아누는 이번에는 이스마일 근처에서 소련 감시선 우다르니(Udarnyy)를 공격하였다. 전날과 비슷하게 소련 감시선은 직격탄을 얻어맞으며 반격을 가했지만 피해를 주지 못했다. 어느 날은 루마니아의 무장바지선이 이자체아(Isaccea)근처에서 장갑무장보트를 포격하여 침몰시키기도 하였다. === 공중전 === 첫번째 공중전은 루마니아군 소속 에스카드릴라 51(Escadrila 51)의 테오도르 모스쿠(Teodor Moscu) 부중위에 의해 발생했다. 하인켈 He112 전투기를 몰고 남부 베사라비아 공중을 비행하던 도중에 5대의 폴리카르포프 I-16 전투기편대의 공격을 받았고, 그는 즉시 3대를 빠르게 격추하였고 나머지 2대는 후퇴하였다. 8대의 소련 항공기가 이 전투동안 격추되었고 40대는 지상에서의 공격으로 파괴되었다. 그러나 루마니아군은 오직 11대만 지상에서의 공격으로 파괴되었다. 7월 12일, 소련군의 반격에 대비하여 루마니아군은 폭격기 59대와[* 대부분이 폴란드, 이탈리아제 폭격기들이었다.] 이를 호위할 전투기 54대를[* 루마니아제 [[IAR-80]]들 포함] 집결시켰다. 이 혼성군은 지상군을 쓸기 전에 소련 공중을 싹슬이했다.[* 한 예시로, IAR-80 조종사였던 바실레 클라루(Vasile Claru)는 폴리카르포프 6대가 추격해오자 3대를 격추시켰는데, 탄약이 떨어지자 4번째 비행기를 그의 길동무로 삼았고 비행대장(M.Shamanov)를 죽였다.] 루마니아 공군의 분전으로 소련군의 반격은 엄청난 손실을 입으며 실패했고, 7월 26일까지 북부코비나와 베사라비아의 제공권을 장악한 루마니아 공군은 88대를 공중전에서 격추시키고 지상에서 108대를 파괴시켰고, 58대를 손실했다고 주장했다. 또 루마니아 대공포는 59대를 격추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