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K-차트)] [목차] == 개요 == [[한국방송공사|KBS]] [[뮤직뱅크]]의 상반기 및 연말 결산 사항을 정리한 문서. == 상반기 결산 == 2011년 이후부터는 순위 발표가 생략되었는데, 아마도 하반기 곡과의 유불리 문제[* 상반기 결산은 있지만 하반기 결산은 없기 때문. 하반기에는 연말 결산만 한다.]때문인 듯 하다. === 2008년 === 결산일은 7월 4일. 이 날 1위 발표가 없었으며 홈페이지에는 온라인 음원, 모바일, 음반 차트로 나누어 발표했다. === 2009년 === * 1위 후보: [[슈퍼주니어]] vs [[SS501(아이돌)|SS501]] vs [[소녀시대]] || '''가수''' || 슈퍼주니어 || SS501 || '''소녀시대''' || || '''곡명''' || SORRY, SORRY || 내 머리가 나빠서 || '''Gee''' || || '''디지털 음원 점수''' || 2678 || 2228 || '''4072''' || || '''시청자 선호도 점수''' || 1062 || 425 || '''1430''' || || '''음반 점수''' || '''2000''' || 1150 || 1621 || || '''방송 횟수 점수''' || 737 || 420 || '''1898''' || || '''총점''' || 6477 || 4223 || '''9021''' || * 특이 사항 : [[소녀시대]] 상반기 결산 1위. 결산일은 6월 26일, 집계 기간 1월 1일~6월 21일. 집계 기준은 2009년 6월 개편분을 따랐다. === 2010년 === * 1위 후보: [[소녀시대]] vs [[2AM]] || '''소녀시대''' || '''가수''' || 2AM || || '''Oh!''' || '''곡명''' || 죽어도 못 보내 || || 2516 || '''디지털 음원 점수''' || '''3105''' || || '''1576''' || '''시청자 선호도 점수''' || 408 || || '''2217''' || '''음반 점수''' || 662 || || '''2487''' || '''방송 횟수 점수''' || 1219 || || '''8796''' || '''총점''' || 5394 || * 특이 사항: [[소녀시대]] 상반기 결산 1위. 결산일은 6월 25일, 집계 기간 1월 1일 ~ 6월 20일. 집계 기준은 2010년 5월 개편분을 따랐다. [[2AM]]은 주간 1위도 못하더니 상반기 결산에서도 [[콩라인]]을 탔다. 그리고 연말 결산에서 이 모습이 재현된다... 2AM이 소녀시대를 이긴건 2월 7일 인기가요에서 소녀시대를 앞지르고 뮤티즌송을 탄것정도 게다가 여기에선 소녀시대 팬들도 2AM이 고생을 엄청했다는것을 알고있었는지 우는 [[정진운]]하고 [[조권]]을 달랬다... === 2011년 === 상반기 결산일은 7월 1일. 이 날 상반기 결산 방송을 했지만, 상반기 결산 차트와 주간 시상 모두 생략되었다. === 2012년 === 상반기 결산일은 6월 29일. 이 날 상반기 결산 방송을 했지만, 상반기 결산 차트는 발표되지 않았다. 그러나 지난해와는 달리 주간 1위 곡을 방송에서 발표해버리는 바람에 신나게 까였다. === 2013년 === 상반기 결산일은 7월 5일. 이 날 방송에서는 다른 해와는 달리 해외 팬들이 뽑은 K-POP BEST 7 차트를 발표했다. 1월 1주부터 5월 5주까지의 1위 후보곡들에 한해 투표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소녀시대]]의 가 12166표를 얻어 1위를 하였다. 한편 이 날 7월 1주차 1위 시상도 중간에 했다. === 2014년 === 상반기 결산일은 6월 27일. 이 날 방송은 [[KBS 월드]] 개국 11주년 특집으로 진행했는데, [[청해진해운 세월호 침몰 사고]]의 여파로 별다른 특집을 진행하지 않았다. 이 날은 6월 4주차 1위 시상도 중간에 했다 참고로 1위곡은 지금은 [[하이라이트(아이돌)|하이라이트]]로 활동하고 있는 [[비스트(아이돌)|비스트]]의 Good luck.[* 나온지 단지 11일만에 수상했다...] == 연말 결산 == 집계 기준은 당시의 주간 기준을 따라서 1년치를 합산하지만, 시청자 선호도 점수는 연말에 다시 조사한다. 왜냐하면 시기나 체류 기간에 따라 유불리 문제가 생기기 때문. 그러나 2014년부터는 연말 결산도 순위 발표를 하지 않고 있다. === 2007년 === * 1위 후보: [[원더걸스]] vs [[SG워너비]] vs [[BIGBANG|빅뱅]] || '''가수''' || '''원더걸스''' || SG워너비 || 빅뱅 || || '''곡명''' || '''Tell Me''' || 한 여름날의 꿈 || 거짓말 || || '''디지털 음원 점수''' || 891 || 905 || '''968''' || || '''시청자 선호도 점수''' || '''4502''' || 278 || 1279 || || '''음반 점수''' || 228 || '''1021''' || 493 || || '''총점''' || '''5612''' || 2204 || 2740 || * 특이 사항: [[원더걸스]] 연말 결산 1위. 결산일은 12월 28일. 음원 50% + 선호도 30% + 음반 20%로 집계하였다. [[원더걸스]]의 엄청난 선호도 점수가 논란이 되었다. === 2008년 === 결산일은 12월 26일. 이 날 [[동방신기]]가 MVP의 영광을 안았다. 홈페이지에 나와있는 차트는 온라인 음원, 모바일, 음반, 시청자 선호도 차트로 나뉘어져 있어 이 MVP는 따로 나누어져 있는 각 항목을 더해서 시상한 듯 하다. === 2009년 === * 1위 후보: [[소녀시대]] vs [[슈퍼주니어]] vs [[2NE1]] || '''가수''' || '''소녀시대''' || 슈퍼주니어 || 2NE1 || || '''곡명''' || '''Gee''' || SORRY, SORRY || I Don`t Care || || '''디지털 음원 점수''' || '''2887''' || 1898 || 2468 || || '''시청자 선호도 점수''' || '''1590''' || 719 || 399 || || '''음반 점수''' || 1009 || '''1477''' || 1070 || || '''방송 횟수 점수''' || '''1779''' || 937 || 500 || || '''총점''' || '''7265''' || 5031 || 4437 || * 특이 사항: [[소녀시대]] 연말 결산 1위. 결산일은 12월 25일, 집계 기간 1월 1일~12월 20일. [[소녀시대]]가 상반기 결산에 이어 연말 결산까지 쓸어갔다. 이 추세는 2010년에도 마찬가지. 집계 기준은 2009년 6월 개편분을 따랐다. === 2010년 === * 1위 후보: [[소녀시대]] vs [[2AM]] || '''소녀시대''' || '''가수''' || 2AM || || '''Oh!''' || '''곡명''' || 죽어도 못 보내 || || 2010 || '''디지털 음원 점수''' || '''2445''' || || '''1597''' || '''시청자 선호도 점수''' || 771 || || '''1225''' || '''음반 점수''' || 360 || || '''2097''' || '''방송 횟수 점수''' || 1147 || || '''6929''' || '''총점''' || 4723 || * 특이 사항: [[소녀시대]] 연말 결산 1위. 결산일은 12월 17일, 집계 기간 1월 1일~12월 12일. 집계 기준은 2010년 5월 개편분을 따랐다. [[2AM]]은 주간 1위도 못하고 상반기 결산에서도 2위더니 결국 연말 결산마저 2위를 했다. === 2011년 === * 1위, 2위: [[아이유]] vs [[티아라(아이돌)|티아라]][* 시상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1위 후보를 공지하고 방송을 시작하지 않았다.] || '''아이유''' || '''가수''' || 티아라 || || '''좋은 날''' || '''곡명''' || Roly-Poly || || 2368 || '''디지털 음원 점수''' || '''2935''' || || '''1116''' || '''시청자 선호도 점수''' || 520 || || '''77''' || '''음반 점수''' || 38 || || '''2291''' || '''방송 횟수 점수''' || 1873 || || '''5852''' || '''총점''' || 5366 || * 특이 사항: [[아이유]] 2010년 노래로 2011년 연말 결산 1위. 결산일은 12월 23일, 집계 기간 1월 1일~12월 11일. 분명 결산 방송이었으나 영상으로 20위부터 1위까지 순위 발표만 했고 연말 결산 1위 시상은 별도로 하지 않았다. 이것 때문에 시청자들의 비난이 쇄도하기도 했다. [[아이유]]가 2010년 12월 노래로 2011년 연말 결산 1위를 하였다. 1월 1일부터 집계여서 음원 점수에 손해를 봤음에도 <좋은 날>의 음원 점수가 높은 편이다. [[티아라(아이돌)|티아라]]는 가 주간 2위만 했었는데, 결국 연말 결산마저 2위를 하였다. 점수 집계 기준은 2011년 11월 개편분을 따랐다. === 2012년 === * 1위, 2위: [[싸이]] vs [[씨스타]] [* 작년과 같이 1위 후보를 공지하고 방송을 시작하지 않았다.] || '''싸이''' || '''가수''' || 씨스타 || || '''강남스타일''' || '''곡명''' || Loving U || || '''3270''' || '''디지털 음원 점수''' || 2493 || || '''2228''' || '''시청자 선호도 점수''' || 629 || || '''143''' || '''음반 점수''' || 28 || || '''6802''' || '''방송 횟수 점수''' || 1394 || || '''12443''' || '''총점''' || 4544 || * 특이 사항: [[싸이]] 연말 결산 1위. 결산일 12월 21일, 집계기간 1월 1일~12월 9일. 연말 결산 1위곡의 영광은 당연히 [[싸이]]의 <[[강남스타일]]>에 돌아갔다. 연말 결산 총점이 처음으로 10000점이 넘어간 것도 기록이라면 기록. 사실 주간 1위도 10000점이 안되는 경우도 많다. 방송 점수가 대략 1회당 12.9점이었으므로 <[[강남스타일]]>의 연간 방송 횟수는 527회 정도가 된다. 작년과 같이 별도의 시상은 하지 않았으며, 점수 집계 기준은 2011년 11월 개편분을 따랐다. === 2013년 === * 1위, 2위: [[조용필]] vs [[크레용팝]] || '''조용필''' || '''가수''' || 크레용팝 || || '''Bounce''' || '''곡명''' || 빠빠빠 || || '''1292''' || '''디지털 음원 점수''' || 1278 || || '''1621''' || '''시청자 선호도 점수''' || 892 || || '''387''' || '''음반 점수''' || 0 || || 278 || '''방송 횟수 점수''' || '''1133''' || || '''3678''' || '''총점''' || 3303 || 결산일 12월 20일, 집계기간 1월 1일~12월 8일. 돌아온 가왕. 2년 연속으로 아이돌 가수가 연말 결산 1위를 하지 못하였다. 특히나 압도적으로 높은 시청자 선호도 점수가 돋보인다. 작년과 같이 별도의 시상은 하지 않았으며, 점수 집계 기준은 2011년 11월에 정해진 기준에 따른 2013년 8월 수정 집계방법을 따랐다. === 2014년 === 결산일 12월 19일. 청해진해운 세월호 침몰사고의 여파로 연말 선호도 조사를 실시하지 않아서 이 해 결산자료를 발표하지 않았다. 사실상 이 때부터 없어진 셈이다. [[분류:K-차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