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해군 공병대대''' 바다벌(Seabees)이란 별명으로 더 잘 알려진 미 해군 [[공병대대]]는 [[미 해군]] 공병대(U.S. Naval Construction Force)를 구성하고 있다. 이 별명은 "공병 대대(Construction Battalion)"라는 단어의 첫 글자 "CB"의 이니셜을 합성한 다음, 근면한 곤충인 벌의 이미지를 가져다 붙인 것이다. 문맥에 따라 "씨비"는 미 해군 제13병종(OF-13)에서 복무중인 모든 장병들, 더 나아가 미해군 공병대(NCF)에 소속된 모든 장병이나 직할 부대를 가리키기도 한다. 그러므로 미 해병대원도 일부 NCF 안팎에서 복무하고 있다. [[제2차 세계대전]] 중 [[해병대]]는 해군 전투폭파 부대(Naval Combat Demolition Unit)와 수중 폭파 팀([[UDT]] / Underwater Demolition Team)을 운영하고 있었는데, 그 무렵 해군 장병들은 이들을 가리켜 이미 "씨비"라고 부르고 있었다. 또한 씨비는 미 해병대의 구성원으로 활동한 컵스(Cubs), 라이온스(Lions), 에이컨스(Acorns)도 활동했으며 또한 일급기밀 장비였던 화염방사전차 부대에도 병력을 제공했다. 오늘날 씨비는 [[캠프 데이비드]](Camp David)와 국무부 해군 지원부대를 시작으로 많은 특수 임무를 맡고 있다. 씨비는 해군 대서양/태평양 함대 사령부와 여러 기지 공공사업 및 미 해군 잠수 사령부(USN diving command)에서도 복무하고 있다. 해군 공병대대는 [[진주만]] 기습 이후 전투 지역에서 종종 필요한 민간 건설 회사를 대체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당시 민간 건설업체들은 약 7만 명의 인력을 해외에서 파견하도록 해군과 계약을 맺고 있었다. 문제는 국제법상 민간 근로자는 공격을 받더라도 무기로 저항하는 것은 불법이었다는 점이다. 응사하면 [[게릴라]]로 분류되어 즉결 처형될 수 있었는데, 상대가 [[일본군]]이었으므로 이 문제는 중요한 논점이었다. [[웨이크 아일랜드]](Wake Island) 전투의 여파 속에서 공병대대가 결성된 것은 2차 대전 당시 [[존 웨인]]의 주연으로 만들어진 선전 영화 '파이팅 시비(The Fighting Seabees : 1944)'의 배경 스토리에 영감을 주었다. 벤 모렐(Ben Moreell : 1892~1978) 제독이 고안해낸 모델인 CB는 해병대 훈련을 받은 군인으로서 민간 기업과 마찬가지로 어떤 조건이나 상황에서도 어디서나 작업할 수 있었다. [[노르망디]]와 [[오키나와]]에서 [[이라크]]와 [[아프가니스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창의력을 발휘한 유서 깊은 전통을 가지고 있다. [[어니스트 킹]](Ernest King : 1878~1956) 제독은 공병대대 창설 2주년을 맞아 씨비들에게 "여러분의 독창성과 불굴의 의지는 해군에서 전설이 되었습니다."라는 편지로 그들의 공로를 높이 치하했었다. [[1927년]]에 창간호가 나와 미국의 전통 깊은 항공 잡지로 자리잡은 플라잉(Flying)은 [[1944년]] 10월호에서 씨비를 "2차대전이 가져온 하나의 현상"으로 묘사했다. [[분류:태평양 전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