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사건사고)] [include(틀:북미관계 관련 문서)] ||<-3> '''{{{+2 미국 기자 북한 억류 사건}}}[br]2009 imprisonment of American journalists by North Korea ''' || ||<-2> '''일시''' ||[[2009년]] [[3월 17일]] || ||<-2> '''장소''' ||[[북중국경]] 두만강 || ||<-2> '''원인''' ||북중국경을 취재하던 미국 케이블TV 기자의 북한 경내로 불법 월경 || ||<-2> '''경과''' ||미국 기자 [[유나 리]](Euna Lee), [[로라 링]](Laura Ling)에 대한 구금 || ||<-2> '''영향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br][include(틀:국기, 국명=북한)][br][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br][include(틀:국기, 국명=스웨덴)]|| [목차] [clearfix] == 개요 == 2009년 3월 17일 미국 [[샌프란시스코]]의 독립 케이블TV인 '''Current TV'''에서 북중국경 지대에서 취재하던 중 우발적으로 얼어붙은 두만강을 도강하여 북한 경내로 들어갔고, 이를 발견한 [[북한군]]이 체포를 위해 추격하자 카메라맨 등 총 5명이 도망가던 중 로라 링이 넘어지면서 이를 돌보려고 멈춰선 유나 리와 함께 북한군에 체포된 사건이다.[* 금방 북한군에게 발각되어 추적 당했기 때문에 실제로 북한 지역에 머문 것은 1분 정도라고 한다.][* [[https://www.voakorea.com/a/interview-eunalee-030612-141563013/1369046.html|유나리의 VOA 인터뷰]] ] 북한이 누명을 씌운 [[오토 웜비어]] 사망사건과는 본질적으로 다른 점은 유나 리와 로라 링이 불법으로 북한에 입경하였다는 점이다. == 일지 == 2009. 3. 17. = 북.중 접경지대서 탈북자 문제 취재 중이던 미국 커런트 TV 소속 로라 링(Laura Ling), 유나 리(Euna Lee) 기자 북한 당국에 억류. 로라 링은 중국계, 유나 리는 한국계 미국인으로 확인됨. 2009. 3. 19. = 미 [[국무부]], 북.미 뉴욕채널과 북한 주재 스웨덴 대사관을 통해 북한의 여기자 억류에 대해 유감 표명. 2009. 3. 24. = 미 국무부, 북한이 미국인 여기자 2명의 신변 안전을 보증한다는 입장을 전해왔다고 발표. 2009. 3. 30. = 미 국무부, 북한 주재 스웨덴 외교관 통해 유나 리ㆍ로라 링 기자 면담한 사실 공개. 2009. 4. 17. = [[국경없는 기자회]](RSF), 북한에 미국인 여기자의 즉각 석방을 요구하는 성명 발표. 2009. 4. 24. = 북한 조선중앙통신, 유나 리ㆍ로라 링 기자 재판 회부 결정 발표. 2009. 5. 1. = [[버락 오바마]] 미 대통령ㆍ[[힐러리 클린턴]] 미 국무장관, [[세계 언론 자유의 날]](5. 3.) 기념 성명에서 북한에 억류된 여기자 문제에 대해 우려 표명. 2009. 5. 15. = 북한 주재 스웨덴 대사, 유나 리ㆍ로라 링 기자 2차 접견. 2009. 6. 1. = 북한 주재 스웨덴 대사, 유나 리ㆍ로라 링 기자 3차 접견. 2009. 6. 4. = 북한 중앙재판소, 로라 링ㆍ유나 리 기자에 대한 재판 시작. 2009. 6. 7. = 힐러리 클린턴 미 국무장관, 여기자 석방 위해 북한에 직접 서한 보냈다고 밝힘. 2009. 6. 8. = 북한 중앙재판소, 로라 링, 유나 리 기자에 대해 조선민족적대죄, 비법국경출입죄 명목으로 각각 12년의 [[노동교화형]] 선고. 2009. 6. 8. = 로라 링ㆍ유나 리 기자 가족, 공동 성명 통해 북한에 두 기자의 석방 탄원. 2009. 6. 8 = 힐러리 클린턴 미 국무장관, 북한에 국외추방 형식으로 미국인 여기사 석방해 달라고 요청. 2009. 6. 9. = [[국제언론인협회]](IPI), 헬싱키에서 열린 제58차 세계총회에서 북한에 억류된 로라 링, 유나 리 기자의 조속한 석방 촉구하는 결의문 채택. 2009. 6. 23. = 북한 주재 스웨덴 대사, 유나 리ㆍ로라 링 기자 면담. 2009. 7. 7. = 로라 링 기자, 미국 가족에게 전화 걸어 북한 법규 위반 사실 인정, 미국 정부에 외교적 해결책 강구 요청. 2009. 7. 20. = 힐러리 클린턴 미 국무장관, 여기자 억류 문제에 대해 "매우 희망적"이라고 언급하며 북.미간 물밑 접촉이 모종의 성과를 내고 있음을 시사. 2009. 8. 4. = [[빌 클린턴]] 전 미국 대통령, 여기자 석방 교섭 위해 방북. [* [[https://www.hani.co.kr/arti/politics/defense/369376.html|#한겨례 신문기사]]] == 상세 == 취재단은 한국계 미국인 유나 리, 중국계 미국인 로라 리[* 언니 [[리사 링]]은 [[내셔널 지오그래픽 ]] 다큐멘터리 '''Inside North Korea (2006)'''으로 유명한 저널리스트이다. 로라 링도 관련하여 비슷한 취재 커리어를 쌓으려고 했던 것 같다.], 이탈리아 계(백인) 카메라맨 등과 중국 현지의 조선족이 가이드로 있었다. 처음에는 비아시아계(백인)으로만 구성했으나 탈북자 취재는 비공식적으로 이루어 지기 때문에 중국 현지에서 눈에 띄지 않는 아시아계 기자들로 교체했다고 한다.[* 탈북자 문제에 정통한 두리하나선교회 천기원 목사가 해당 취재단에 아시아계가 취재하는 것이 낫다고 조언을 한 바 있는데 천목사는 나중에 인터뷰에서 확인했다] 억류 기간 중에는 [[초대소]]에 감금되어 24시간 감시를 받았고 주로 한식이 제공되었는데 쌀밥에 돌이 섞여있어서 고역이었다고 한다. [* [[https://woman.donga.com/people/3/search/12/141239/1|여성동아 2009년 9월 2일 기사]] ] 빌 클린턴 전 대통령은 북한과의 석방 교섭 중에 북한에게 현대아산 직원과 연안호 선원들의 조속한 석방을 요청했다고 알려졌다. == 미디어 == 유나 리는 2010년 회고록 을 출판했다.[[https://www.amazon.com/World-Bigger-Now-Journalists-Forgiveness/dp/B008SLOKKY|아마존 링크]] [[분류:북한/대미 도발]][[분류:김정일 시대]][[분류:오바마 행정부]][[분류:2009년/사건사고]]